소개글
"가족변화론, 가족진화론에 대한 본인의 생각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가족치료 이론과 실천
1.1. 가족치료 이론의 개념과 특징
1.1.1.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
1.1.2. 자아분화, 삼각관계, 다세대 전수과정
1.2. 가족치료 기법
1.2.1. 가계도 작성
1.3. 가족생활주기와 실천모델
1.3.1. 현재 가족의 생활주기 및 특징
1.3.2. 생활주기별 문제와 도움 필요
1.3.3. 과제 중심 실천 모델의 적용
1.4. 이타주의에 관한 진화생물학적 이론
1.4.1. 이타성과 이기성의 관계
1.4.2. 합리적 이타주의 관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가족치료 이론과 실천
1.1. 가족치료 이론의 개념과 특징
1.1.1.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은 진화모델과 연속모델, 감정모델의 특징을 가진다. 첫째, 진화모델은 문제의 발생지인 원가족에서부터 세대를 거쳐 전수되는 과정에서 투사되고 삼각관계가 형성되어 갈등이 심각해지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는 인간이 생존하며 발달하는 지적 능력의 진화 과정을 의미한다. 둘째, 연속모델은 원가족에서 비롯된 문제가 다음 세대로 전이되면서 악순환의 고리를 형성하고 연속적으로 현 가족까지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감정모델은 개인을 움직이고 생존하게 하는 근본적인 힘이 감정이라는 것에 주목한다.
보웬의 이론에서 자아분화는 가족체계 내에서 기능 수준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내적 또는 외적인 정서적 압력에 대해 자동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냉철하게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자아분화 수준이 낮으면 가족 내 삼각관계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 삼각관계가 감정적 갈등을 다루는 기제로 작용한다. 또한 보웬은 정서체계가 미분화된 핵가족에서 가족 구성원들이 자신의 불안을 다른 가족에게 투사하는 과정을 가족투사과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보웬의 이론에서는 정서와 감정, 태도, 가치관 등이 하나의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계승되는 다세대 전수과정이 중요하게 다뤄진다. 이러한 전수는 주로 가족 내 관계를 통해 이루어지며, 태내기부터 시작되어 출생 이후에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결국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은 가족이 겪는 문제의 근원을 세대를 거쳐 전해져 온 감정과 역동에서 찾고, 이를 바탕으로 가족의 기능과 건강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1.2. 자아분화, 삼각관계, 다세대 전수과정
자아분화는 내적 또는 외적인 정서적 압력이 있을 때도 자동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즉, 가족체계 내에서 개인의 기능 수준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자아가 분화된다는 것은 불안에 직면하더라도 유연하고 현명하게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삼각관계는 가족 내에서 자주 형성되는데, 가족 구성원의 자아분화 수준이 낮을수록 삼각관계가 형성될 가능성이 더 크다....
참고 자료
보웬 이론에 기초한 기독교 결혼예비교육 프로그램 제안/이현욱/장로회신학대학교/2010
분노에 대한 기독교 상담학적 연구/최진혁/서울기독교대학교/2010
한국심리학회, 심리학용어사전, 2014.04.
박태영, 가족생활 주기와 가족치료, 학지사, 2006.03.20.
최세영,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개정판), 어가, 2022.02.21.
김춘경, 상담학 사전, 학지사, 2016.01.15.
김혜경외, “가족복지론”, 공동체, 2006
조성숙, “도덕교육 밀어내는 가족이기주의”, 한국교육개발원, 1993
부승희, “자본주의 발전과 가부장제적 가족의 해체”, 제주대, 2006
황명희, “청소년 헌혈자들의 이타적 성향에 관한 연구”, 2000
조효진, “공감능력과 이타성향간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대, 2007
김운용, “부케티츠의 도덕적 개인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강원대,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