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과학과 철학의 만남
1.1. 과학 지식의 본질
과학 지식의 본질은 철학적 관점에서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포퍼의 실증주의적 입장에 따르면 과학 지식은 관찰과 실험을 통해 자연이 보여주는 대로 따라가면서 이론을 정립해 나가는 것이다. 즉, 과학자는 철저하게 자연과 관찰 결과에 기반하여 이론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쿤의 패러다임 관점에서 보면 과학자들은 이미 가지고 있는 이론적 틀, 즉 패러다임에 기반하여 자연을 바라보고 해석한다. 따라서 과학 지식은 인간의 주관적 해석이 개입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쿤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자신의 패러다임을 유지하려 하기 때문에, 패러다임이 붕괴되어 혁명이 일어나는 경우에만 새로운 지식이 생산된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과학 지식의 본질에 대해서는 실증주의적 입장과 구성주의적 입장이 대립하고 있다. 저자는 이러한 상반된 관점을 소개하면서도, 다원주의적 관점에서 다양한 패러다임을 인정하고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시한다.""인간이 획득할 수 있는 과학 지식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데카르트는 인간이 가진 인식능력의 한계로 인해 지식의 불확실성에 빠져든다고 주장했다. 데카르트의 이러한 입장은 절망적 인식론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저자는 이러한 절망적 생각을 긍정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본다. 구체적으로 관측과 측정의 정밀성 향상을 통해 인간 인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관측과 측정을 더욱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인간의 인식 능력도 점차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이 저자의 입장이다. 또한 측정을 위한 기준의 창조와 개선을 통해 인식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혁명적 발전도 가능하다고 본다. 이처럼 저자는 과학 지식의 한계를 인정하면서도, 끊임없는 노력과 기술의 발전으로 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고 낙관적으로 전망한다.""
1.2. 과학 지식의 한계와 극복
데카르트의 인식론적 회의주의에 따르면 우리가 가진 지식은 결코 확실할 수 없다고 한다. 데카르트는 우리가 지각한 물리적 세계가 실제 세계를 반영하는지 의심스러워했으며, 이에 따라 우리가 획득할 수 있는 지식의 한계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저자는 이러한 회의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있다고 말한다. 저자에 따르면, 정밀한 관측과 측정을 통해 점진적으로 지식을 확장해나가는 것이 가능하다. 즉, 과학이 정확한 관찰과 실험을 통해 새로운 발견을 이뤄낼수록 우리가 획득할 수 있는 지식의 범위가 점차 넓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저자는 과학 지식의 발전이 선형적이지 않고 과학혁명을 통해 단계적으로 이뤄진다고 주장한다. 쿤의 패러다임 이론에 따르면, 기존의 패러다임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새로운 관찰 결과가 등장하면 기존 패러다임이 붕괴되고 새로운 패러다임이 등장하는 과학혁명이 일어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과학 지식이 점진적으로 발전해나가게 된다.
이처럼 저자는 정밀한 관찰과 실험, 그리고 패러다임의 전환을 통해 과학 지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과학은 결코 완결된 지식의 체계가 아니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