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1.1. 노화에 따른 비뇨생식기계 변화
나이가 들면서 신사구체의 네프론 수가 감소하고 혈관의 변화로 신장으로 공급되는 혈류량이 줄어 사구체여과율이 저하된다. 노화로 인한 변화는 신장피질에 주로 발생하며, 성별과 인종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30대에 시작하여 70대쯤 심해진다. 콩팥으로 흐르는 혈류는 10년 동안 10%가량 줄어들며, 청소년 시기 1,200mL/min에서 80세 무렵 600mL/min 수준까지 감소한다. 항이뇨호르몬에 대한 민감도 감소로 인해 나트륨과 수분의 재흡수가 줄어들고 칼륨 배출이 증가하여 소변 농축 기능이 저하된다. 또한 방광 용적이 감소하여 자주 요의를 느끼며, 방관근의 긴장소실로 인해 불안정한 요 배출이 나타나 요실금이 생길 수 있다.
1.2. 요실금의 정의와 종류
요실금은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소변을 보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요실금에는 아무 유발 요인 없이 소변이 배출되는 진성 요실금, 기침 등에 의해 복압이 올라갔을 때 발생하는 복압성 요실금, 소변을 보고 싶을 때 소변을 참지 못하는 절박 요실금, 방광에 소변이 가득 차 넘쳐흘러서 발생하는 일류성 요실금, 기동장애, 환경적인 문제로 인한 요실금인 기능성 요실금,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이 함께 있는 복합성 요실금이 있다""
1.3. 요실금의 원인
요실금의 원인은 비뇨기계에서 매우 흔한 질환으로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발생이 가능하지만, 여성에서 더 흔하게 발생한다""요실금의 원인은 방광과 요도괄약근의 기능적 이상에 의해 나타난다"". 크게 구조적·신체적 요인, 물리적 요인, 사회심리적 요인과 약물 관련요인으로 나뉜다""
구조적·신체적 요인으로는 괄약근의 약화 또는 손상, 요도손상, 방광요도 접합부의 변화, 배뇨근의 불안정, 복부와 회음부의 근긴장 감소 등이 요실금의 원인이 된다""
물리적 요인으로는 스스로 화장실이나 변기를 이용할 수 없는 기동성 장애에서 요실금이 발생하며, 뇌졸중, 골절, 허약감과 어지럼증 등이 화장실이나 변기의 자유로운 사용을 어렵게 한다""
사회심리적 요인은 단순한 혼돈부터 치매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요실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약물 관련요인으로는 역류성 요실금과 관련이 있는데, 방광 충만감에 손상을 주는 마약성 진통제, 정신안정제, 진정제 및 수면제와 알코올, 이뇨제, 항히스타민제, 아트로핀과 유사약물, 혈압강하제 등이 요실금을 유발할 수 있다""
배뇨 기능의 이상도 요실금의 주요 원인이 되는데, 복압성 요실금은 일차적으로 골반근육이 이완된 여성에게서 흔하며, 남성의 경우 전립샘 절제술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절박성 요실금은 배뇨근의 불안정성과 방광 감각의 과민성, 신경학적 질환, 방광출구의 폐쇄 등이 원인이 된다""복합성 요실금은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이 혼합된 형태이며, 일류성 요실금은 방광출구의 폐쇄, 신경근육질환, 수술 또는 마취 등이 원인이 된다""기능성 요실금은 노년기의 균형감각과 기동성 저하가 흔한 원인이며, 진성 요실금은 요관이나 방광에 구조적인 이상이 있어 소변이 정상적으로 저장되지 못하고 항상 흘러나오는 현상이다""
1.4. 요실금의 증상
요실금의 증상은 크게 여섯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복압성 요실금은 기침, 재채기, 줄넘기 등 복압이 증가할 때 방광의 수축 없이 소변이 누출되는 현상으로, 여성 요실금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전체 요실금의 80~90%를 차지한다.
둘째, 절박성 요실금은 소변마려운 순간 강하고 급작스런 요의 때문에 소변이 누출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방광이 가득 차면 배뇨근이 수축하여 배뇨를 유도하지만, 중풍, 신경성 문제, 방광 자극 등으로 인해 방광 감각이 과민해지면서 방광근의 불안정성이 생겨 소변이 누출된다. 절박성 요실금은 전체 요실금의 20~30% 정도를 차지한다.
셋째, 복합성 요실금은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이 혼합된 형태로, 나이가 든 여성에게 많이 발생한다.
넷째, 일류성 요실금은 방광에 충분한 양의 소변이 차있는데도 불구하고 방광이 정상 용적보다 커져서 소변이 새어나가는 현상이다. 당뇨병, 암 수술 등으로 인해 방광 기능이 장애를 받을 때 발생한다.
다섯째, 기능성 요실금은 신경질환이나 정신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나타나는데, 방광과 요도의 기능은 정상이지만 환자가 소변을 가리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해 옷을 입은 상태에서 소변을 보는 경우이다. 치매 노인에게 흔히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진성 요실금은 요관이나 방광에 구조적인 이상이 있어 소변이 정상적으로 저장되지 못하고 항상 흘러나오는 현상으로, 이소성 요관, 방광질 누공, 요관질 누공이 있는 경우 발생한다.
요실금의 증상은 환자의 성별, 나이, 원인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간호사는 개별 환자의 증상을 정확히 사정하여 요실금의 유형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1.5. 요실금의 사정
1.5.1. 병력 청취
병력 청취는 요실금의 발생 기전을 사정하여 기침, 재채기 등에 의한 건지, 소변이 자주 마렵고 급할 때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또한 요실금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이나 악화요인이 없는지에 대한 내용도 포함된다. 이를 통해 요실금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계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질병의 유무, 요실금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 복용 여부, 그리고 과거 수술력 등을 확인한다. 또한 요실금으로 인한 대상자의 불편함 정도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1.5.2. 증상 점수표
증상 점수표는 요실금 환자의 불편 정도나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이다"" 여러 가지 증상 점수표가 개발되어 있는데,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는 Incontinence of Quality of Life (I-QoL), King's Health Questionnaire (KHQ), International Consultation of Incontinence Questionnaire (ICIQ) 등이 있다"" 이러한 증상 점수표는 요실금의 유형과 심각도, 삶의 질 저하 정도를 평가하는데 유용하다""
1.5.3. 배뇨일지
배뇨일지는 매우 간단하면서도 환자의 요실금 종류를 알아보기 위해 유용한 도구이다"" 3일간 환자가 스스로 작성하며 소변을 본 시간, 소변량, 요절박의 유무, 요실금의 유무를 시간 별로 일지를 작성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요실금의 유형과 증상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배뇨 행동과 패턴을 확인하여 치료계획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배뇨일지는 객관적 데이터를 제공하며, 환자가 직접 작성하기 때문에 의료진의 주관적 판단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요실금의 유형, 발생 시간과 상황, 소변량 등을 파악할 수 있어 요실금 환자의 체계적인 사정과 맞춤형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
1.5.4. 신체검사
'1.5.4. 신체검사'는 요실금 환자의 진단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신체검사를 통해 요실금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체검사에는 신경학적 검사와 골반 검사가 포함된다.
먼저, 신경학적 검사를 실시한다. 환자의 걸음걸이가 부자연스럽거나 다리를 저는 경우, 말이나 표정이 정상이 아닌 경우에는 신경학적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