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우리나라의 현대화 이전과 이후의 노인의 지위와 역할변화에 대해 논하고 그에 따른 노인문제와 개입에 대한 필요성을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현대화 이전과 이후, 노인의 지위와 역할 변화
2.2. 현대화 이후의 노인문제 및 개입 필요성
2.2.1. 경제적 타당성
2.2.2. 심리사회적 타당성
2.2.3. 윤리적 타당성
2.2.4. 노인복지의 기본 원칙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산업화 과정에서 인구의 도시 집중화 현상은 우리의 대가족제도를 붕괴시키고 핵가족화 가족구조로 바꾸어 놓았다. 이에 따라 전통적 부양의식이 약해지고 특히 부양을 담당했던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확대되면서 부양을 책임져줄 주체가 없어진 셈이다. 핵가족화에 따른 노인 단독세대가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한 노인들의 우울증을 유발시키고 신병을 비관하여 생을 포기하는 자살로 이어지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2020)「응급실 손상환자 표본 심층조사」에 따르면 60세 이상 84세까지의 조사대상 노인들의 자살 수는 10만 명당 1997년 127.5명이었는데 2007년에는 367명으로 10년 동안에 노인 자살률이 무려 3배나 증가하였으며 고령층으로 갈수록 자살률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는 OECD 국가 중에서도 제일 높은 자살률을 보여 우리사회에 커다란 고통과 그에 따른 사회적비용이 커다란 부담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우리나라의 현대화 이전과 이후의 노인의 지위와 역할 변화에 대해 논하고, 그에 따른 노인문제와 개입에 대한 필요성 설명해 보겠다.
2. 본론
2.1. 현대화 이전과 이후, 노인의 지위와 역할 변화
근대화 이전에는 고령자의 지위가 지금과는 크게 달랐다. 노인이 삶의 진리를 배우고 세상의 논리를 이해하는 사람이 된 것을 존경했기 때문이다. 마을마다 '노인'이라고 불리는 사람이 있어 존경을 받고 있었으며, 마을이나 집에서 사적인 일이 일어날 때마다 노인의 지혜로 문제를 해결했다. 당시 농업은 주력 산업이었고 대가족 형태였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조부모와 관계를 맺음으로써 어른에 대한 존중과 예의를 배웠다. 이러한 경험은 어른의 가족이 아니라 다른 노인들을 대하는 태도에 영향을 주었다. 결국 노동은 중요한 재산 시대의 대가족이 인간 이타주의를 최대한 발휘하고 세대 간 융합에 기여했다. 또한 당시에는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지 않았고 지식의 보급과 전파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농업사회에 필요한 독자적인 지식을 가진 노인들은 가...
참고 자료
김응열 외(2004)한국의 노인복지,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한국학 연구총서5)
김정석․심정은, 2011, “노인학대에 대한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인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김은경(2009). 노인정보화 교육을 위한 혼합형 교수-학습방안.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대학원.
권현수, “노인의 사회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우울,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제18권 5호, 한국생활과학회지, 2009.
NewDaily충청·세종·강원. 대한민국 저출산‧고령화 위기 심각…2030년 ‘인구지진’. 22-07-06. https://cc.newdaily.co.kr/site/data/html/2022/07/16/2022071600008.html
부산시보. 평균 은퇴 나이 57세… 노후 준비, 자산분석부터. 21-01-24. https://www.busan.go.kr/news/snsbusan04/view?dataNo=65017
권중돈(2004). 노인복지론. 학지사.
장인협, 최성재(2003),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출판부.
통계청(2011). 2011 고령자 통계.
조흥식 외(2015). 사회복지학개론. 창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