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체세포 분열
1.1. 실험의 목적
양파 뿌리털 조직을 채취하여 체세포분열에 대한 관찰을 수행하는 것이 실험의 목적이다. 활발히 생장하는 조직인 양파 뿌리 조직을 관찰함으로써 체세포분열의 각 단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1.2. 실험 결과
1.2.1. 전기
전기는 체세포분열의 첫번째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핵속에 퍼져 있던 염색사가 응축되어 염색체가 되고, 각 염색체는 2개의 염색분체가 붙어있는 모양으로 변화한다. 핵막과 인은 사라지고, 동물세포에서는 중심체가 있는 경우 중심체에 있는 두 개의 중심립이 각각 한 개씩 양극으로 이동하며, 이 중심립에서 방추사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핵막이 사라지고 염색체가 응축되는 등 세포가 분열을 준비하는 상태인 것이다.
1.2.2. 중기
중기는 염색체가 적도면에 일렬로 배열되는 단계이다"" 전기에서 응축된 염색체들이 적도면에 일렬로 배열된다. 이때 각 염색체의 동원체가 방추사에 연결되어 있다. 이 단계에서 염색체 복제로 만들어진 두 개의 염색분체가 서로 분리되지 않고 있다. 방추사의 양극이 연결되어 있는 동원체부분은 양극으로 향하는 힘을 받아 서로 분리되기 시작한다. 이후 후기와 말기로 이어지면서 각 염색분체들이 양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1.2.3. 후기
후기에는 방추사가 연결된 동원체부터 끌려서 염색분체가 양극으로 이동한다"이다. 이 단계에서 여러 개의 염색체가 각자의 극으로 이동하여 두 개의 딸세포 핵이 형성된다. 염색체가 분리되고 핵막과 핵소체가 다시 나타나면서 염색체는 풀어져 다시 염색사가 된다. 이후 세포질 분열이 일어나면서 두 개의 딸세포가 완성된다. 이처럼 후기는 본격적인 세포분열이 일어나는 단계로, 균등하게 분리된 염색체를 바탕으로 새로운 핵이 형성되고 세포질 분열로 인해 두 개의 동일한 딸세포가 만들어진다.
1.2.4. 말기
말기에는 양극으로 분리된 염색분체가 바탕이 되어 딸세포가 형성된다. 응축되었던 염색분체가 다시 풀어져 염색사가 되며, 핵막과 인이 다시 나타난다. 이로써 체세포분열의 마지막 단계가 완성되는 것이다. 핵은 더 이상 분열되지 않고, 세포질 분열로 인해 모세포에서 두 개의 딸세포가 생성된다. 이러한 말기의 과정을 통해 체세포분열이 완성되며, 생물체의 성장과 개체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1.3. Discussion
실험 과정에 따라 조교님께서 나눠주신 양파 뿌리털 위에 아세트산카민 용액을 떨어뜨리고 날카로운 핀셋을 가지고 뿌리 끝을 잘게 찢었다. 그런 후 샤프 뒷부분으로 두드려서 한층이 되도록 한 후 커버글라스를 덮고 물기를 제거한 후 관찰하였다. 그러나 관찰 해본 결과, 세포가 한겹이 되도록 피는 과정이 부족했는지 세포들이 관찰하기 어렵게 뭉쳐 있었고, 핵도 찾아볼 수 없었다. 결국 새로운 양파 뿌리털을 받아 두 번째 표본을 만들었고, 두 번째 표본은 염색시간을 더 길게 하여 핵은 관찰할 수 잇었으나, 마찬가지로 세포들이 뭉쳐 있는 모습을 보여 관찰하지 못했다. 이어서 만든 세 번째 표본도 관찰하기 어려웠다. 결국 같이 실험하던 여섯 개의 조 중 유일하게 한 조만이 체세포분열 관찰에 성공했고, 우리조는 성공하지 못했다. 아무래도 핀셋이 충분히 날카롭지 못했고, 뿌리끝을 찢는 과정이 더 세심해야 했다고 생각한다. 결국 위의 결과에 쓴 세포관찰 사진은, 전기의 경우 외에는 인터넷에서 다른 사람이 관찰한 것을 첨부한 것이다. 올바르게 관찰에 성공했다면, 전기의 세포가 가장 많이, 보였을 것이며, 중기의 세포가 가장 드물게 보였을 것이다."이다.
1.4. 체세포 분열의 중요성
체세포 분열의 중요성은 세균, 아메바 등의 단세포 생물과 다세포 생물 모두에게 매우 중요하다. 단세포 생물에 있어 체세포 분열은 자기복제에 의한 개체증식에 해당하며, 다세포 생물에 있어서는 생장 또는 결손부위의 보충을 의미하고 수정란에서는 세포분화를 의미한다. 즉, 체세포 분열은 생물체의 생장과 개체 유지에 필수적인 과정이다.
단세포 생물의 경우, 체세포 분열을 통해 개체수를 늘림으로써 자신의 종을 보존하고 번성할 수 있다. 이는 생존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게 해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