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환자 소개 및 선정 이유
본 대상자는 37세 여성으로, 2022년 9월 16일 완전 전치태반(placenta previa totalis), 조기분만(preterm labor with delivery) 진단을 받고 응급 제왕절개술을 시행한 산모이다.
대상자는 싱가폴에서 정기적인 산전검사를 받던 중 9월 초 전치태반을 진단받고 대학병원에서의 치료 및 분만을 권유받았으나, 202년 -월 --일 외래 진료를 위해 본원을 방문하던 중 9월 16일 오후 12시 경 active한 질출혈을 주소로 분만실에 내원하였다.
대상자는 초산모로, 첫 임신 때 10주에 자연유산을 경험한 바 있다. 이번 임신은 원하는 임신이었으며, 남편도 아이를 원했다. 임신 동안 기분변화와 불안이 있었으나, 특히 전치태반 진단 이후에는 아기가 잘못될까봐 걱정이 되었다고 한다.
대상자의 임신력은 G2-P0-L0-D0-A1이며, 이번 임신 33+4주에 응급 제왕절개술을 시행하여 1.9kg의 남아를 출산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이 대상자를 선정하여 전치태반과 제왕절개술에 대한 간호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1.2. 문헌고찰
제왕절개술(Cesarean section)이란 복벽과 자궁벽의 절개를 통해 태아를 분만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제왕절개 분만 빈도는 1970년에 4.9%, 1980년 16.3%이었던 것이 1990년 30.1%, 2008년도에는 36.3%까지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제왕절개 분만의 급격한 증가는 출산연령의 고령화, 태아의 상태를 어느 정도 판단할 수 있는 전자태아감시장치 사용의 보편화, 의료소송에 대한 부담감 등이 원인인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제왕절개술의 가장 흔한 4가지 적응증은 선행 제왕절개술, 난산, 둔위(태아의 위치가 거꾸로 있는 것), 태아곤란증으로 전체 제왕절개술 중 85% 이상이 이들 적응증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왕절개술의 일반적인 적응증을 보면 선행 제왕절개술 혹은 자궁근종 절제술 같은 자궁수술을 받은 경험이 있어 진통시 자궁파열의 위험이 있는 경우, 난산으로 인해 분만진행이 잘 안되는 경우, 태아의 위치이상(둔위 혹은 횡위), 태아곤란증(태아의 건강상태가 나빠지는 것), 전치태반, 제대탈출, HIV 산모, 생식기 헤르페스가 활동기인 경우 등이다.
수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자궁내막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예방적으로 항생제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수술 부위 감염, 요로 감염, 위장관계 합병증, 골반 혈전 정맥염, 심부정맥 혈전증, 양수색전증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재래식 제왕절개는 자궁체부를 수직으로 절개하며, 방광과 자궁하부의 유착이 광범위할 때, 횡위, 전치태반일 때 이용합니다. 자궁하부 제왕절개는 실혈량이 적고, 봉합이 용이하며, 활동성이 적은 부위여서 다시 임신한다 해도 반흔이 적어 파열 가능성이 적으며, 수술 후 감염이 적고, 장폐색을 감소시킵니다.
수술 전 간호로는 심호흡, 기침, 조기 이상, 피부 및 위장관 준비, 도뇨관 삽입, 정맥 수액 공급, 수술 동의서 작성 등이 이루어지며, 아트로핀 등의 수술 전 투약이 이루어집니다. 수술 후 간호로는 출혈 및 섭취/배설량 사정, 진통제 투여, 호흡기능 증진, 영양/수분 균형 유지, 배뇨간호, 모아애착 증진 등이 포함됩니다. 퇴원 교육으로는 불편감 관리, 운동, 합병증 관리 등이 이루어집니다.
2. 대상자 사정
2.1. 일반적 사항
환자의 일반적 사항은 다음과 같다.
성명은 000이며, 37세 여성 산모이다. 병실은 C7이며, 입원일은 5월 22일이다. 결혼 여부는 유(2021년 결혼)이며, 직업은 교육자이다.
신장은 157cm, 임신 전 체중은 52kg이다. ABO & Rh 혈액형은 O형, Rh+이다. 배우자의 신장은 172cm, 임신 전 체중은 68kg이며, ABO & Rh 혈액형은 B형, Rh+이다.
현재 통증은 없는 상태이며, 주호소는 "임신으로 내원함"이다. 산전 관리는 싱가폴(KK women's hospital)에서 진행했으며, 마지막 초음파는 2022년 2월 9일에 시행했다. 기형아 검사와 정밀초음파는 외국 병원에서 진행했고, 임신성 당뇨 검사는 2022년 2월 9일 한국의 다른 병원에서 시행했다.
분만 예정일은 2022년 5월 24일이며, 임신 주수는 25주 2일이다. 월경은 규칙적이며, 간격은 28~30일, 기간은 6~7일이다. 산전 검사는 유(외국 병원 결과 지참)이며, 산과력은 T0, P0, A0, S0, L0이다.
수유 계획은 모유수유이며, 교육 경험은 없다. 다둥이 예비맘이 아니며, 소개자는 본인(집 근처)이다. 마지막 자궁경부암 검사는 2021년 1월에 시행했고, 결과는 정상이다.
과거병력은 없으며, 수술력은 2020년 난소 근종 제거술(서울대학교병원)이 있다. 알레르기와 수혈력은 없다. 가족력으로는 당뇨(부)와 종양(관계 미상)이 있다. 흡연력과 음주력은 없다.
2.2. 신체검진
대상자의 신체검진은 다음과 같다.""
체중: 임신 전 약 49kg, 현재 58.9kg이다. 신장: 162cm이다. 활력징후는 입원 당일인 9월 16일 12시 40분에 혈압 140/96mmHg, 맥박 89회/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