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특히나 예의범절을 중시하는 문화로 유명하다고 할 수 있다. 기본적인 인성을 이루는 것 중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기본적인 예의를 얼마나 갖추고 있는지가 중시된다. 어른을 공경하는 것은 물론이고 처음 만나게 된 사람이라던가, 공식적인 자리 등의 상황적인 조건에 따라 차려야 하는 예의가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는 것처럼 예의범절이라는 문화적인 특성을 대표적인 것으로 손꼽을 수 있다. 이에 외국인들이 처음 우리나라에 와서 가장 놀라는 부분은 이 예의와 관련된 부분인 존댓말이다. 높임법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이 존대표현들은 한국어가 가지고 있는 가장 중요한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다른 나라의 언어들과 비교했을 때 한국어가 뚜렷하게 가지고 있는 특징으로 우리나라의 인간관계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에 이 글에서 필자는 외국인들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우선적인 교육으로 우리나라의 높임법을 선정하고자 한다.
2. 다문화가족 관련 국내 현황
2.1. 다문화가족의 개념 및 현황
다문화가족의 개념 및 현황은 다음과 같다.
다문화가족이란 결혼이민자-결혼이민자는 대한민국 국민과 혼인을 했거나 혼인한 적이 있는 자로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지는 않았지만 대한민국에 거주할 목적을 가지고 합법적으로 체류하고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와 국적법에 따라서 출생, 인지, 귀화 등을 통해서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구성된 가족을 의미한다. 즉, 대한민국 국민과 결혼 이민자로 구성된 가족이나 이들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를 포함하는 개념이 다문화가족이다.
2019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결혼이민자 수는 17만 3,882명이다. 이 가운데 남성이 34,628명이고, 여성이 13만 9,254명이어서 여성 결혼이민자 수가 남성 결혼이민자 수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가족 구성 형태 가운데 다문화가족이라고 할 수 있는 대한민국 국민과 외국 국적을 가진 결혼 이민자 사이의 결합은 한국 남성과 외국 여성의 결합 형태가 한국 여성과 외국 남성 사이의 결합 형태보다 압도적으로 많다.
결혼이민자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07년 한 해 동안 집계된 결혼이민자의 수는 8만 7,964명이었는데, 해를 거듭할수록 점차 증가해서 2019년에는 17만 3,882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가족의 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다문화 가족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들의 수도 늘어나고 있다.
실제로 만 16-18세 사이의 다문화 자녀들의 수가 2007년에는 1,341명이었던 것이 2019년에는 1만 6,993명까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이제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이 성인이 되어 우리 사회의 어엿한 구성원이 되는 시대가 되었다는 의미이다.
2.2. 결혼이민자 및 다문화가족 자녀의 현황
결혼이민자 및 다문화가족 자녀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정부에서 운영하는 다문화가족 지원 포털인 '다누리'에 따르면 2019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결혼이민자 수는 17만 3,882명이다. 이 중 남성은 34,628명, 여성은 13만 9,254명으로 여성 결혼이민자 수가 월등히 많다. 이는 우리나라의 가족 구성 형태 중 대한민국 국민과 외국 국적을 가진 결혼이민자의 결합, 즉 다문화가족의 주된 형태가 한국 남성과 외국 여성의 결합인 것을 보여준다.
결혼이민자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2007년 8만 7,964명이던 결혼이민자 수가 2019년에는 17만 3,882명까지 늘어났다. 이에 따라 자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