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외국인에게 가르치고 싶은 한국문화 사례 및 중요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다문화가족의 이해와 지원 방안
1.1. 다문화가족의 정의와 현황
1.2. 다문화가족의 문제와 어려움
1.2.1. 문화, 종교의 차이점
1.2.2. 언어 장벽
1.2.3. 세대 갈등
1.3. 다문화가족 지원 정책과 프로그램
1.3.1. 다문화가족 방문교육 서비스
1.3.2. 결혼이민자 통번역 서비스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다문화가족의 이해와 지원 방안
1.1. 다문화가족의 정의와 현황
다문화가족의 정의와 현황이다.
다문화가족이란 대한민국 국민과 결혼이민자-대한민국 국적을 가지지 않았지만 대한민국에 거주할 목적을 가지고 합법적으로 체류하고 있는 자-로 구성된 가족을 의미한다. 또한 국적법에 따라 인지, 귀화를 통해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사람과 대한민국에서 출생했거나 인지, 귀화를 통해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구성된 가족도 다문화가족에 해당한다.
정부에서 운영하는 다문화가족 지원 포털인 '다누리'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우리나라의 결혼이민자 수는 17만 3,882명이다. 이 중 여성 결혼이민자가 13만 9,254명으로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족이 대부분 한국 남성과 외국 여성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왔음을 보여준다.
결혼이민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2007년 8만 7,964명에서 2019년 17만 3,882명까지 늘어났다. 이에 따라 다문화가족의 수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이들 가정에서 태어난 자녀들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19년 기준으로 만 16-18세 사이의 다문화 가정 자녀 수가 1만 6,993명에 이르러, 다문화 자녀들이 이제 청소년기에 접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2. 다문화가족의 문제와 어려움
1.2.1. 문화, 종교의 차이점
다문화가족의 구성원들 사이에서는 문화와 종교의 차이로 인한 갈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결혼이민자들은 한국의 전통적인 유교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가족 내에서의 위계질서나 호칭, 예의범절 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특히 시어머니와 며느리 사이에서는 이런 문화적 차이로 인한 ...
참고 자료
송덕유. 역할극을 활용한 한국어 상대높임법 교육 연구. 전남대학교. 2016.
이희성. 한국어 높임법에 대한 외국인들의 인식 조사 및 역할극을 활용한 교수-학습 전략 연구. 계명대학교. 2009.
찾기쉬운생활법령정보, 다문화가족
다문화가족지원법
다문화가족지원포털 ‘다누리’(liveinkorea.kr)
머니투데이, 이재은, 2018.12.17. 베트남 신부가 한국을 찾은 이유
김현미, 사회문제의 측면에서 본 다문화가족 문제의 실태 분석 및 해결 방안 연구
매일경제, 카드뉴스, 2020.10.25. 자녀와도 대화 단절.. 다문화 가정의 고민
복지로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