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양축 한중 설화 비교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설화의 이해
1.1. 설화의 정의와 특징
1.2. 설화의 하위 장르
1.3. 설화의 구술적 특성과 문헌화
2. 한국과 중국의 설화 비교
2.1. 견우와 직녀 설화
2.1.1. 중국 설화 "우랑 직녀"
2.1.2. 한국 설화 "견우와 직녀"
2.2. 설화에 나타난 문화적 차이
2.2.1. 남성 지위의 변화
2.2.2. 여성 역할의 축소
3. 양산백과 축영대 설화
3.1. 양축설화의 내용과 배경
3.2. 중국에서 한국으로의 전파 과정
3.3. 소수민족 전설에 나타난 문화적 특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설화의 이해
1.1. 설화의 정의와 특징
설화는 특정 문화 집단이나 민족, 각기 다른 문화권 속에서 구전되는 이야기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한 문화 집단의 생활, 감정, 풍습, 신념 등이 반영되어 있으며 초자연적이고 신비적인 특징이 두드러지기도 한다. 설화는 기본적으로 구조화된 이야기의 형식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설화가 서사물, 즉 소설의 모태라는 판단의 유력한 근거가 된다. 설화의 하위 부류를 대체로 신화, 전설, 민담으로 분류하는 것이 통례화되어 있으나, 학자에 따라서는 설화와 민담을 동일시하거나 민담을 다른 개념의 상위 개념으로 두기도 한다. 그러나 설화가 말 그대로 이야기----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이야기라는 점에서 다른 세 개념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설화의 가장 큰 특징은 전승 방식이 구전된다는 것이다. 구전이라는 점에서 소설과 다르고, 구조화된 이야기라는 점에서 소설과 유사하다. 구전이란, 서사의 내용이 구연자로부터 청자에게로 직접 소통되는 방식을 가리킨다. 따라서 구전되는 이야기는 이야기에 대한 문화 집단 내부의 관습을 존중하고 이야기의 골간을 훼손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야기의 일부분을 구연자가 재량껏 변형시킬 수 있다. 즉 구연자는 시간과 장소의 상황에 따라 자신의 의도와 말솜씨를 발휘해서 이야기의 세부(細部)나 형태적 요소들을 변형시킬 수 있다. 실화가 가지는 이러한 유동성 때문에 텍스트로서의 설화의 원형을 찾는 일이란 불가능하다. 말하자면 소설 텍스트라는 말은 가능해도 설화 텍스트라는 말은 성립할 수 없다. 설화 연구자들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설화를 문자로 정착시키려는 시도를 계속해 왔다. 그것이 바로 문헌 설화이며 이는 곧 넓은 의미에서 문학의 범주에 속하게 된다. 모든 문학이 그러하듯 설화 또한 인간과 인간의 상호 의식적인 교류를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설화가 일정한 구조를 갖는 다른 문학과 동일하나 개인이 창작하는 소설 등과 같이 복잡성이나 특수성을 같지는 않는다. 그것은 설화는 구전이라는 형태로서 존재하기에 그러하다. 구전은 인간 상호간에 존재하는 언어 행위이고 이 행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간결한 구조를 갖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1.2. 설화의 하위 장르
설화의 하위 장르로는 신화, 전설, 민담이 있다. 신화는 신이나 초월적인 존재들의 기원이나 활약을 다루는 이야기이며, 전설은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이다. 민담은 일반 민중들 사이에서 전해 내려오는 단순한 이야기들이다.
이 외에도 설화는 구비 전승되는 서사 문학의 한 종류로, 시조, 민요, 판소리 등과 같은 다른 구비 문학 장르들과 구분된다. 설화는 구술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개별 구연 상황에 따라 형태가 변화할 수 있는 가변성이 있다. 이런...
참고 자료
이원수, 손동운 엮음, <牽牛와 織女>, 『이무기가 살려 준 친구』,한국전래동화집2, 창작과 비평사, 2003
소금표, 「축영대 소전」, 『의흥 형계현 신지』, 청나라때 발간.
李相俊, 「고대 동아시아의 칠석 연구」, 『일어일문학연구』, 일어일문학회, 2008.
이진성·고희가, 『한·중 민간설화 비교연구』, 보고사, 2006.
장문훈, 『백족문학사』, 운남인민출판사, 1959.
전관수, 「牽牛織女說話에 대한 古代天文學的 試論」, 정신문화연구,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