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최근에 발표한 장애인 관련 통계(2011)에 의하면 2010년에 우리나라 등록된 장애인 수가 약 250만 명을 넘어섰고, 해마다 장애인의 수는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리하여 특수교육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인식도 매우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는 장애인에 대한 교육권이 강화되었고 특수교육에 대한 대상자 선정도 매우 구체적으로 제시되었는데 정서장애로 포함되었던 자폐성 장애가 따로 분리하고 이에 대한 특수교육의 대상으로 규정되고 있다. 이는 자폐성 장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대한 범주가 확대되고 출현율도 증가함으로 특수 교육적인 지원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폐성 장애는 상호작용에 질적인 장애를 나타내고, 상대방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며, 행동과 흥미 그리고 활동의 형태가 제한되며, 반복적이고 상동적 형태를 보인다. 이에 본 리포트에서는 박나래(2012)의 용인대학교 석사논문인 "음악을 활용한 표현활동이 자폐성 장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폐성 장애아에 대한 음악치료의 효과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2. 자폐성 장애 개요
2.1. 자폐성 장애의 정의 및 특성
자폐성 장애는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보이며, 제한된 관심사와 반복적인 행동 등의 특성을 나타내는 발달장애이다. 자폐성 장애아는 타인과의 눈 맞춤, 몸짓 등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술에 현저한 결함을 보이며, 또래와의 적절한 관계가 형성되지 않고 사회적 상호작용이 결여된다. 또한 언어 발달에 지체를 보이며 반향어, 중얼거림, 침묵증 등의 언어적 문제를 나타낸다. 자폐성 장애아는 몸을 좌우로 흔들거나 손가락을 움직이는 등 상동행동을 보이며, 특정 사물에 강한 집착을 보이기도 한다. 이 외에도 자기자극 행동, 자해 행동, 공격적 행동 등의 문제행동을 보일 수 있다. 이처럼 자폐성 장애의 주요 특성은 사회성 및 의사소통 결함,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등이다.
2.2. 자폐성 장애의 원인
자폐성 장애의 원인은 다양한 생물학적 요인들이 추정되고 있으나 대다수의 경우 명확한 원인인자를 입증하지는 못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과거에는 아동의 정서적 욕구에 무관심한 부모들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