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코로나19 정의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최초 생성일 2024.08.28
3,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코로나19 정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코로나바이러스-19 개요
1.1. 코로나바이러스의 정의
1.2. 코로나바이러스-19의 역학
1.3. 코로나바이러스-19의 감염과정
1.4. 코로나바이러스-19의 인체 영향

2. 코로나바이러스-19 검사 및 진단
2.1. 검사대상
2.2. 진단검사 방법
2.3. 기타 검사법

3. 코로나바이러스-19 예방 및 관리
3.1. 개인위생 실천
3.2. 기침 예절 지키기
3.3. 접촉 최소화 및 외출 자제
3.4. 환경 소독 및 청소

4. 코로나바이러스-19 환자 관리
4.1. 확진환자 이송 및 격리
4.2. 의료진 및 접촉자 관리
4.3. 확진환자 격리 해제 및 퇴원

5. 코로나바이러스-19 국내외 현황
5.1. 국내 현황
5.2. 국외 현황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코로나바이러스-19 개요
1.1. 코로나바이러스의 정의

코로나바이러스는 외피를 가지며, 유전체로서 약 30kb 길이의 단일 가닥 RNA를 가지며 표면돌기 단백질을 구성하는 골프채 모양의 돌기가 왕관과 같은 코로나모양(crwon-like corona)을 형성하여 태양광한(colona) 또는 왕관(crown)모양을 다서 코로나 바이러스로 명명되었다.


1.2. 코로나바이러스-19의 역학

코로나바이러스-19의 역학은 다음과 같다.

코로나바이러스-19는 2019년 12월 31일 중국 후베이성 보건위원회에서 우한시에서 발생한 설명할 수 없는 폐렴 집단발병에 대해 최초로 발표하였다. 처음에는 환자수를 27명으로 발표하였으나 2020년 1월 11일 41명으로 수정하면서 7명이 중증 상태이고 1명은 사망하였음을 발표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19는 최초 박쥐에서 유래하여 수산물 시장에서 판매된 야생 동물을 중간숙주로 하여 사람에 전파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 천산갑(pangolin), 뱀 등이 중간숙주로 가능성이 제시되는 등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19는 법정 감염병 제1급감염병 신종감염병증후군이며 질병코드는 U07.1이며 병원체는 SARS-CoV-2: coronaviridae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이다. 코로나바이러스-19의 전파경로는 감염자의 비말 및 호흡기 분비물과의 접촉이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이 기침, 재채기를 했을 때 공기 중으로 날아간 비말이 다른 사람의 호흡기로 들어가거나, 손에 묻은 바이러스가 눈·코·입 등을 만질 때 점막을 통해 바이러스가 침투하여 전염된다. 현재까지 정해진 치료법은 없으나 증상에 따라 수액보충, 해열제 등 보존적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자가 호흡이 어려운 경우 기도삽관 후 인공호흡기 치료와 중환자실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재생산지수(RO)가 우한 폐렴이 1.4~2.5, 사스가 2~5, 메르스가 0.4~0.9로 제시했다. 즉,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전파력은 사스보다는 낮고 메르스 보다는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치사율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치사율을 보면 코로나신종 바이러스가 4%, 메르스가 20~40%, 사스가 10% 수준이다.


1.3. 코로나바이러스-19의 감염과정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수용체에 대한 연구결과, 2019-nCoV는 SARS-CoV가 사용하는 ACE 2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의 몸체 위에 솟아난 스파이크(S)가 우리 몸 안의 세포 표면의 'ACE2'라는 단백질 수용체와 결합해 들어온다. 이 수용체는 일반 세포나 혈관 내피세포 뿐만 아니라 특히 구강 상피세포에도 다량 존재한다. 코나 목과 같은 부위는 바이러스에 노출되기 쉬우며, 곧바로 구강 세포와 결합도 가능해 본격적인 상기도 감염이 시작된다. 세포 속에 들어간 바이러스는 복제를 시작하고, 면역체계가 작동하면서 붓거나 기침, 코막힘, 인후염 등 감기 증상들이 나타난다. 병세가 악화될 수 있는 경우중 하나인 폐렴이 나타나는 과정을 살펴보면 바이러스는 혈관을 타고 몸속으로 침투한다. 기관지나 폐포 등이 있는 하기도 부분에는 평활근 세포들이 있다. 2013년 3월 14일 자 네이처에 게재된 네덜란드 에라스무스 메디컬센터 연구진의 논문에 따르면, 코로나바이러스는 평활근 세포 표면의 '디펩티딜펩티타제-4(DPP-4)'에 결합한다. 이들은 시험관 실험을 통해 인체를 감염시키는 '접근점(docking point)'을 코나 목 등의 기관과 연결된 상기도뿐만 아니라 폐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하기도에도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폐 세포는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폐를 마르지 않게 보호하는 점액세포와 바이러스를 걸러주는 섬모세포이다. 사스 바이러스는 섬모세포를 손상시켜 폐렴을 유발하는데, 코로나19 역시 섬모세포를 우선 감염시켜 폐렴과 호흡곤란 등을 일으킨다. 병세가 급속히 악화될 수 있는 또 다른 경우는 '사이토카인 폭풍'이다. 사이토카인은 체내에 바이러스가 침입했을 때 면역계에 이를 알리는 경보 물질로, 사이토카인이 과도하게 분비되면 면역 세포가 지나치게 활성화된다. 즉, 사이토카인 폭풍이 일어나면 바이러스 자체의 공격성보다는 이들을 막기 위한 면역세포가 정상세포를 공격해 문제가 생긴다. 면역세포들이 정상적인 폐 세포를 공격하는 경우, 그 자리를 섬유질이 채워 폐 섬유화가 일어난다. 또한 폐가 아닌 간이나 비장, 신장, 심장 등 다른 장기들로 이동해 과잉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이로써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 사이토카인 폭풍으로 치명적일 수 있는 것이다.


1.4. 코로나바이러스-19의 인체 영향

코로나바이러스-19의 인체 영향은 다음과 같다.

잠복기가 끝난 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이 일으키는 증상들은 발열, 기침, 호흡곤란이 가장 많고 기타 근육통이나 피로감, 가래, 두통, 각혈, 설사 등이 동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과가 나쁜 환자는 통상 증상이 발현된 후부터 평균 8일 만에 호흡곤란이 발생하고, 9일 만에 호흡부전이 발생했으며 10.5일 만에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위험한 이유는 일부 환자들에게 중증 폐렴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중증 폐렴은 치료가 어려울 수 있고 치사율이 높은 심한 중증 감염이다. 중증 폐렴 때 발생하는 많은 염증성 물질들로 폐 조직의 대부분이 손상되는 경우를 급성폐손상(acute lung injury)이라고 하는데 이는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을 유발한다. 또한, 싸이토카인이라고 불리는 염증성 물질들이 많이 생성되면서 중증패혈증/패혈증쇼크가 동반될 수 있다. 급성호흡곤란증후군과 중증패혈증으로 호흡부전을 포함한 다발성 장기 부전(multi-organ failure)이 발생하여 집중 치료에도 불구하고 사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호흡기바이러스의 감염과 유사하게 2019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으로 중증 폐렴이 발생할 위험성이 비교적 높은 경우는 고령, 조절되지 않는 당뇨, 심장질환 등의 만성 내과적 질환이 있는 경우이다. 이러한 기저질환을 가진 환자들은 사이토카인 폭풍으로 인해 치명적일 수 있다.


2. 코로나바이러스-19 검사 및 진단
2.1. 검사대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검사대상은 다음과 같다.

확진환자(Confirmed case)는 임상양상에 관계없이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자이다. 확진환자 진단을 위해서는 유전자(PCR) 검사나 바이러스 분리 검사를 실시한다.

의사환자는 확진환자와 접촉한 후 14일 이내에 발열(37.5℃ 이상) 또는 호흡기증상(기침, 호흡곤란 등)이 나타난 자이다.

조사 대상 유증상자에는 ① 의사의 소견에 따라 원인미상폐렴 등 코로나19가 의심되는 자, ② 해외 방문력이 있으며 귀국 후 14일 이내에 발열(37.5℃ 이상) 또는 호흡기증상이 나타난 자, ③ 국내 집단발생과 역학적 연관성이...


참고 자료

CDC, 2019 Novel Coronavirus, Wuhan, China , Guidelines for Clinicl Specimens, 2020.1.17.
대한가정의학회 대구경북지회, 코로나 19 퇴원 후 환자를 위한 안내서『슬기로운 퇴원생활』, 2020.04
박수은,and Park Su Eun.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바이러스 (SARS-CoV-2) 특징, 전파 및 임상 양상."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27.1 (2020): 1-10.
보건복지부
약학정보원 학술정보센터. 코로나바이러스의 이해
질병관리본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201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검사실 진단 지침 제 3판(Guidelines for the Laboratory Diagnosis of
2019 novel coronavirus in Korea),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책위원회, 질병관리본부 감염병분석센터, 2020.
중국 : 국가위생건강위원회 홈페이지 http://en.nhc.gov.cn/2020-03/06/c_77327.htm
한국 : 중앙방역대책본부 정례브리핑 보도자료
이탈리아 : 보건부 홈페이지
http://www.salute.gov.it/portale/nuovocoronavirus/dettaglioContenutiNuovoCoronavirus.jsp?lingua=italiano&id=5351&area=nuovoCoronavirus&menu=vuoto
일본 : 후생노동성 보도자료
https://www.mhlw.go.jp/stf/houdou/houdou_list_202005.html
영국: 정부사이트 https://www.gov.uk/guidance/coronavirus-covid-19-information-for-the-public#number-of-cases
이란 · 미국 : Coronavirus COVID-19 Global Cases by Johns Hopkins CSSE새창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의 이해, 약학정보원 학술정보센터, http://www.health.kr/Menu.PharmReview/_uploadfiles/1.%20%EC%BD%94%EB%A1%9C%EB%82%98%EB%B0%94%EC%9D%B4%EB%9F%AC%EC%8A%A4%EC%9D%98%20%EC%9D%B4%ED%95%B4_%ED%8C%9C%EB%A6%AC%EB%B7%B0_%EC%97%85%EB%A1%9C%EB%93%9C.pdf
코로나19 란?, 질병관리본부, http://ncov.mohw.go.kr/baroView.do?brdId=4&brdGubun=&dataGubun=&ncvContSeq=&contSeq=&board_id=
코로나-19(COVID-19),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3922
김효원, 코로나19, 사람마다 증상이 다른 이유, The Science times,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BD%94%EB%A1%9C%EB%82%9819-%EC%82%AC%EB%9E%8C%EB%A7%88%EB%8B%A4-%EC%A6%9D%EC%83%81%EC%9D%B4-%EB%8B%A4%EB%A5%B8-%EC%9D%B4%EC%9C%A0/
주윤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알아야 하는 5가지, 메디칼업저버,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853
노환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란 무엇인가?, 미래한국, https://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8652
자주하는 질문(FAQs)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COVID-19),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공중보건부, http://www.publichealth.lacounty.gov/media/Coronavirus/FAQ-KOR.pdf
Coronavirus Disease 2019(COVID-19), California Department of Public Health, https://www.cdph.ca.gov/Programs/CID/DCDC/Pages/Immunization/nCOV2019.aspx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