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김기택 시인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관찰과 묘사의 시인 김기택
1.1. 보이지 않는 것
1.2. 말하지 않는 것
1.3. 부술 수 없는 것
1.4. 진정한 소리
1.5. 김기택, 그가 만든 세상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관찰과 묘사의 시인 김기택
1.1. 보이지 않는 것
김기택 시인의 첫 번째 시집 『태아의 잠』과 두 번째 시집 『바늘구멍 속의 폭풍』에서 나타나는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내용이다.
김기택의 시에서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일상적으로 보는 대상들에 대해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한다. 그는 사물에 대한 섬세한 관찰력을 통해 그 안에 내재된 숨겨진 생명력이나 에너지를 포착해내는 능력을 보여준다. 그가 바라보는 세계에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이 존재하며, 이러한 "보이지 않는 것"들이 그의 시 세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시집 『태아의 잠』에서는 엄마의 태아를 소재로 다루고 있다. 태아는 아직 세상에 드러나지 않은 생명체로서 육안으로는 직접 관찰할 수 없는 존재이다. 그러나 시인은 태아가 엄마의 몸속에서 숨 쉬고 움직이는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깨어 있어도 움직일 수 없고 / 허우적거리고 싶어도 / 그냥 그대로 누워있어야 하는 꼼짝달싹할 수 없는 극단의 상황"에서도 태아는 버텨내며 살아갈 생명력을 간직하고 있다. 이처럼 김기택은 우리의 눈에 보이지 않는 소중한 생명체를 포착하여 시로 형상화한다.
두 번째 시집 『바늘구멍 속의 폭풍』에서는 더 나아가 시인의 관심이 생명체에 국한되지 않고 무생물 세계로까지 확장된다. 그는 "굳어지기 전까지 딱딱한 것들은 물결이었다"라며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물결"의 모습을 되살려낸다. 즉, 현재 우리가 보고 있는 딱딱한 대상들도 원래는 유동적이고 생동감 넘치는 "물결"의 상태였음을 상상력으로 그려내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김기택의 시에서 "보이지 않는 것"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실재하는 생명의 에너지나 존재 자체를 의미한다. 그는 우리의 일상적인 시선을 벗어나 사물과 대상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존재를 일깨워준다.
1.2. 말하지 않는 것
'1.2. 말하지 않는 것'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김기택의 시에는 주로 생명체가 아닌 대상들이 자주 등장한다. 대표적으로 얼굴, 멸치, 틈, 유리 등이 있다. 그는 이러한 무생물들도 말하지는 않지만 그 안에 생명력과 운동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얼굴」에서 화자는 눈이 피곤해져 얼굴을 가리다가...
참고 자료
김기택,『태아의 잠』,문학과 지성사, 1991
김기택『바늘구멍 속의 폭풍』,문학과 지성사, 1994
김기택, 『태아의 잠』, 문학과 지성사, 2002.
『바늘구멍 속의 폭풍』, 문학과 지성사, 2002.
『사무원』, 창작과 비평사, 1999.
『소』, 문학과 지성사, 2005.
『껌』, 창작과 비평사, 2009.
신형철, 『느낌의 공동체』, 문학동네, 2011
강영준, 「김기택 시 연구를 위한 시론-반(反) 속도의 미학」, 국어문학 42권, 국어국문학회, 2007.
권채린, 「‘틈’의 시학 : 김기택론」, 경의대학교 고황논집 제 31집, 경희대대학교, 2002.
김은정, 「거리와 화자의 태도에 관한 연구」, 어문연구 30, 어문연구학회, 1998.
김현수, 「시의 화자와 거리에 관한 연구」, 한국시학연구 22, 한국시학회, 2008.
라기주,「김기택 시에 나타난 몸의 기호작용-‘훼손된 몸’을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제23집,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7.
이은숙, 「김기택 시연구-몸의 언어를 중심으로」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정준영, 「사물의 현상을 흡수하는 강력한 관념의 블랙홀 : 김기택의 시세계」, 시선사, 2009.
김기택,『태아의 잠』, 문학과지성사, 1991
『바늘구멍 속의 폭풍』, 문학과지성사, 1994
『사무원』, 창작과비평사, 1999
이창기, 「시각적 인식의 두 유형」, 『문학과 사회』, 1992 여름
김진석, 「소내(疏內)하는 힘 : 김기택의 시」, 『문학과 사회』, 1995 가을
홍용희, 「비린내와 신생의 주술력」, 『문학동네』, 1999 가을
김경복, 「형(形)과 힘의 갈등, 그리고 조응」,『생태시와 넋의 언어』, 새미
김수이, 『풍경 속의 빈 곳』, 문학동네
김용희, 「생명을 기다리는 공격성의 언어」,『천국에 가다』, 하늘연못
한국일보와의 인터뷰 - [나는 왜 문학을 하는가], 인터넷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