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laparoscopic LAR 수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목적
2. 직장암의 이해
2.1. 정의
2.2. 병태생리
2.3. 증상과 징후
2.4. 진단 검사
3. 직장암의 치료
3.1. 수술적 치료
3.2. 항암화학요법 및 표적 치료
3.3. 방사선요법
3.4. 간호
4. 사례 환자의 수술명
4.1. 복강경 저위전방절제술의 정의 및 적응증
4.2. 피부준비
4.3. 수술 기구 및 장비
4.4. 봉합 기구 및 봉합사
4.5. 수술 방법 및 간호
5. 수술환자의 수술 중 간호활동
5.1. 수술 체위
5.2. 마취 종류 및 약물
5.3. 동맥·정맥 확보
5.4. 피부 준비 범위 및 소독제
5.5. 배액관
5.6. 검사물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목적
대장암은 2018년 기준 우리나라에서 발생률에 있어서 네 번째로 호발하는 암종이며 사망률에 있어서 폐암, 간암에 이어서 세 번째를 기록하고 있다. 직장암은 27,909건의 대장암 중에 11,441건으로 41%를 차지한다. 대장암 대부분은 중재를 통해 예방이 가능하고 대장내시경 검진, 분변잠혈검사를 통해 이차예방으로 대장암의 사망률 감소뿐 아니라 용종 등 전 암병변을 제거함으로 발생률을 감소할 수 있다. 이번 실습에서 관찰한 Low anterior resection을 조사함으로써 직장암에 대한 지식을 높이고 수술에 대한 이해를 하고자 연구를 하게 되었다.
2. 직장암의 이해
2.1. 정의
직장암은 직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악성종양을 의미한다. 대장은 크게 결장과 직장으로 구분되며, 암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는 암은 결장암, 직장에 생기는 암은 직장암이라고 한다. 이를 통칭하여 대장암 혹은 결장 직장암이라고도 한다. 직장은 대장의 마지막 부분으로 길이는 약 15cm이며, 상부, 중부, 하부 직장으로 나눌 수 있다. 직장은 파이프 모양의 관으로 안쪽에서부터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 등 4개의 층으로 나뉘어져 있다. 대부분의 폴립은 점액을 만드는 세포에서 생기는 선종이며, 종양이 자라면서 암이 침입하여 대장이나 직장의 벽을 관통하게 된다. 결국 암세포는 림프절과 혈관계에 접근하게 되고, 멀리 퍼지게 된다. 즉, 직장암을 방치할 경우 인접 장기로 직접 전이될 수도 있다."
2.2. 병태생리
직장암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직장암은 대부분 선암으로, 직장의 점액을 분비하는 선세포에서 발생한다. 직장은 대장의 마지막 부분으로 길이가 약 15cm이며 상부, 중부, 하부 직장으로 나뉜다. 암세포는 정상 점막에서 시작하여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 순으로 침윤하며 점차 주변 조직과 림프절로 전이된다.
직장암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50세 이상의 고령, 동물성 지방이 많은 식이, 저섬유소 식이, 신체활동 부족, 비만, 흡연, 음주 등이 주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가족성 선종성 용종이 있는 경우에는 유전적 요인에 의해 암으로 진행될 확률이 매우 높다.
암세포가 점막하층을 침범하게 되면 주변 조직으로 침윤하고 림프관과 혈관을 통해 전이된다.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간, 폐, 복강 내 장기 등으로 원격전이가 나타날 수 있다. 특히 하부 직장암의 경우 장막층을 침범하면 주변 장기로의 직접 침윤이 있을 수 있다.
요약하면, 직장암은 점막에서 발생하여 점차 주변 조직으로 침범하고 림프절 및 원격 전이를 일으키는 특징을 가지며, 이러한 병태생리적 과정을 통해 진행성 암으로 발전하게 된다.
2.3. 증상과 징후
직장암의 증상과 징후는 다음과 같다.
초기 직장암의 경우에는 대부분 증상이 비특이적이거나 질병이 진행될 때까지 나타나지 않는다.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가장 흔한 증상은 피가 섞여 나오는 혈변이다. 직장암 환자의 대부분은 출혈 증상으로 병원을 찾게 된다. 이 외에도 배변습관의 변화, 가는 변, 점액변, 복통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초기 단계에는 증상이 없어 검진 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데, 증상이 나타나면 이미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배변습관의 변화는 예를 들어 전에는 하루에 한 번 배변을 하던 사람이 하루에도 수차례 화장실을 가고, 항문쪽이 묵직한 느낌을 보이는 경우 직장암을 의심해볼 수 있다. 그러나 암이 아닐 경우에도 크론병이나 과민성 대장 증후군 등에서 이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직장암의 혈변은 신선하지 않고 점액이 섞여 나오는 경우가 많으며, 대변과 혼합되어 나오기도 한다. 그러나 직장암이 항문쪽 가까이 있을 때는 치핵과 같은 신선한 피가 나오는 경우도 있다.
가는 변은 직장암이 항문 가까이 있을 때 생길 수 있지만,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서도 가는 변을 볼 수 있다.
점액이 섞인 변은 대장염이나 대장에 종양이 있을 때 생길 수 있으며, 직장암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종합하면, 초기 직장암은 증상이 비특이적이거나 나타나지 않지만, 질병이 진행되면 혈변, 배변습관 변화, 가는 변, 점액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증상들은 직장암 외에도 다른 질환에서도 관찰될 수 있어 주의 깊은 진찰과 검사가 필요하다.
2.4. 진단 검사
직장암의 진단 검사는 다음과 같다.
직장수지검사(digital rectal examination, DRE)는 하부 직장에 생기는 악성 종양의 1/3은 직접 손가락으로 진찰하여 진단이 가능하다. 분변잠혈반응 검사(guaiac test)는 위장관 출혈 여부를 알아보거나 대장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데, 검사가 간단하고 불편 없이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정확도가 떨어진다. 대장내시경검사는 대장 전체의 관찰이 가능하고 조직검사까지 동시에 할 수 있어 가장 정확한 검사방법으로 추천된다. 대장이중조영검사는 항문을 통해 바륨 조영제를 넣고 대장을 촬영하는 방법으로 전체 대장을 안전하게 검사할 수 있지만 방사선 노출 위험이 있다. 또한 전산화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초음파검사 등이 있으며, 이 중 CT가 주로 대장암을 진단하고 주변 장기나 간, 림프절 등으로의 전이 여부를 알아보는데 가장 널리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암태아성항원(CEA) 검사는 대장암의 수술 전 병기 판정이나 암 치료의 효과 확인, 재발 확인에 보조적으로 사용된다.
3. 직장암의 치료
3.1. 수술적 치료
수술적 치료는 직장암의 가장 근본이 되는 치료법으로, 수술법은 암의 상태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조기 직장암의 경우 항문을 통한 내시경 미세 수술을 하거나 복강경을 이용해 수술을 하기도 한다.
위치에 따른 수술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부 직장에 발생한 직장암의 경우 전방 절제술, 저위전방 절제술을 시행한다. 중간부 직장에 위치한 암은 주로 저위전방 절제술, 초저위전방절제술을 시행한다. 하부 직장에 위치한 암의 경우 상태가 괜찮으면 수술 전 방사선 치료와 항암치료를 먼저 시행하고 약 6-8주 후에 전방절제술이나 초저위 전방절제술을 시행한다. 상태가 좋지 않으면 대부분 복회음절제술을 시행한다. 복회음 절제술은 암과 함께 직장 전체를 제거하는 것으로 환자는 영구적인 결장루를 가지게 된다.
전방절제술은 에스결장 중간에 암종이 생기는 경우 에스결장 전체를 절제하고 하행결장과 직장 상부를 연결하는 수술이다. 저위전방절제술은 항문 직장을 제거하고 대장 항문을 문합한다. 복회음 절제술은 전체 직장을 제거하고 영구적인 결장루를 생성한다.
과거에는 수술 후 직장과 결장을 손으로 문합하였으나, 최근에는 자동문합기가...
참고 자료
윤은자 외. (2019). 성인간호학2. 수문사.
박광옥 외. (2008). 수술간호의 실제. 현문사.
Lee, S., Kim, Y.-J., & Jang, S.-J. (2017). 직장암의 방사선 치료 시 3D-CRT, IMRT, Tomotheray를 이용한 치료계획 및 주변 정상장기 선량 비교.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11(5), 393–399. https://doi.org/10.7742/JKSR.2017.11.5.393
Qian H, Yufen Z, Xiaoyi Y, Minxiang L, Zan L, Jifang L, and Zhaoyan P. (2021). The effect of online training-based continuous nursing care for rectal cancer-patients undergoing permanent colostomy. Am J Transl Res. 2021; 13(4): 3084–3092.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129263/
Sumin W, Huiqian T, and Rongrong X. Using psychological interventions in the nursing care of rectal cancer. Am J Transl Res.13(6): 7282–7287 patients.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290720/
서울대학교병원[웹사이트]. (2021.09.25.) URL: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22
국가암정보센터[웹사이트]. (2021.09.25.) URL: https://www.cancer.go.kr/
Changhua Z, Lei L, Mingang Y, Qingguo L, Dawei L, Yiwei L, Junjie P, Liyong H, Sanjun C, and Xinxiang L. (2015). Laparoscopic Low Anterior Resection and Eversion Technique Combined With a Nondog Ear Anastomosis for Mid- and Distal Rectal Neoplasms. Medicine (Baltimore). 2015 Dec; 94(50): e2285.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058930/
성인간호학(하), 제11판, 김옥수 외 편역 p921-931
서울대학교병원[웹사이트]. (2021.09.25.) URL: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22
서울아산병원.의료정보-의약품정보. URL: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대한민국 의약품 정보의 표준 약학 정보원 URL: https://www.health.kr/
아람메디 URL: https://www.arammedi.com/main/index.php
Changhua Z, Lei L, Mingang Y, Qingguo L, Dawei L, Yiwei L, Junjie P, Liyong H, Sanjun C, and Xinxiang L. (2015). Laparoscopic Low Anterior Resection and Eversion Technique Combined With a Nondog Ear Anastomosis for Mid- and Distal Rectal Neoplasms. Medicine (Baltimore). 2015 Dec; 94(50): e2285.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058930/
Goguma. “LAR (Laparoscopic Low Anterior resection) 복강경 전방절제술, 저위전방절제술”. https://blog.naver.com/guma870101/222624406681. (2022.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