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김산, 님 웨일즈 “아리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김산(장지락)의 생애와 아리랑
1.1. 이 책의 유래와 출판
1.2. 이 책의 제목 '아리랑'
1.3. 김산의 생애
1.3.1. 어린 시절과 청년기
1.3.2. 중국 대혁명과 항일투쟁
1.3.3. 체포와 처형
1.4. 패배하더라도 좌절하지 않았던 자, 김산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김산(장지락)의 생애와 아리랑
1.1. 이 책의 유래와 출판
이 책은 폭풍의 시대에 역사가 명하는 바에 따라 불화살 같이 살아간 한 조선인 독립혁명가 '김산'의 고뇌, 좌절, 사랑, 열정, 사상의 피어린 발자취를 쓴 글이다. 이 글은 젊고 명석한 여성 언론인이며 작가였던 님 웨일즈(을 쓴 에드가 스노의 부인)가 김산(본명 장지락·1905~1938)을 약 6개월간 22번 만나서 이야기를 나눈 끝에 쓴 것이다. 그들은 1937년 7월 장마가 계속되던 중국 서북부의 연안에서 만난다. "작은 약소국 조선이 흘린 피가 결코 물에 녹아 흔적도 없이 사라져가는 소금처럼 되어서는 안된다"는 칼날 같은 각오로 항일투쟁을 하는 김산의 모습에 매료되어 그녀는 구술에 따른 일대기를 중국을 떠나 쓰게 된다. 그리고 이 책은 그의 요구대로 1940년까지 출간되지 않았다. 그의 행적과 동지들의 이름이 밝혀지면 적들에게 발각되며, 당연히 그들의 행동에 제약을 받을 것이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결국, 김산이 처형된 사실을 모른 채 1941년 미국에서 출판하였다.
1.2. 이 책의 제목 '아리랑'
김산은 일제에 체포되어 6개월의 수형생활을 했는데, 이때 감방의 벽과 기둥에 손톱으로 "아리랑"을 새겼다. 그리고 민족 수난사의 마지막 고개를 "열두고개"로 설정하고 이를 극복하려는 각오를 노래했다. 이 책의 제목인 "아리랑"은 김산이 감옥에서 새긴 이 노래에서 유래한다.
이 책에서 김산은 "아리랑"을 "고통받는 민중에게서 우러나오는 아름다운 옛노래"라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님 웨일즈는 김산이 말하는 "아리랑"을 통해 "아리랑은 불멸성을 뜻한다"고 재...
참고 자료
님웨일즈/아리랑/동녘/84
......../아리랑2/학민사88
1. 님 웨일즈, 김산, 조우화 옮김, <아리랑>, 동녘.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