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특수아 가족지원의 개념과 방향을 정리하고, 가족지원정책 현황을 작성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특수아 가족지원의 개념
2.1. 가족지원 프로그램
2.2. 가족 상담지원
2.3. 가족의 심리적 안정 및 정서적 지지
3. 특수아 가족지원의 방향
4. 가족지원정책 현황
4.1. 아이돌봄 지원 정책
4.2. 육아휴직제도
4.3. 가족친화적 기업제도
4.4. 가족돌봄휴가제도
4.5. 주거안정지원제도
5. 중요한 가족지원 정책: 가족돌봄휴가제도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목적은 부모에게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과 그들의 아동을 돕기 위해 가족들에게 능력을 주고, 부모에게 힘을 실어주는 것이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8조 제1항에는 '교육감은 특수교육대상자와 그 가족에 대하여 가족상담 등 가족지원을 제공하여야 한다.'라고 명시하였으며, 동법 시행령 제23조 제1항에서는 가족지원을 가족 상담, 양육 상담, 보호자교육, 가족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제시한다. 가족지원은 학교, 교육지원청 별로 가족 상담, 양육 상담, 보호자 교육, 가족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의 계획을 수립하여 제공된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관심있는 특수아 가족지원의 개념과 방향을 정리하고, 가족지원정책 현황을 작성해 보겠다.
2. 특수아 가족지원의 개념
2.1. 가족지원 프로그램
가족지원 프로그램은 특수아동에게 제공되는 교육의 질을 높이고 교육의 기회확장, 부모상담 및 부모교육, 장애 유아가 다닐 수 있는 교육기관의 다양성 및 특수교육 전문가 확대, 부모님과 형제의 심리·정서적 지원, 특수아동과 보내는 여가, 진로 및 직업까지 다양한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실제적 지원으로 다양한 가족 문화(다문화, 미혼모·부, 조손 가정, 위기 가족, 한부모 가족 등)지원, 가족통합지원, 가족 교육, 가족상담, 지역사회 연계, 가족 돌봄 및 나눔 등을 제공한다. 가족지원은 「건강가정기본법」 제35조에 따른 건강가정지원센터, 「장애인복지법」 제58조에 따른 장애인복지시설 등과 연계하여 제공될 수 있다고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8조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제23조에 명시하고 있다. 건강가정지원센터는 여성가족부 위탁으로 운영되고 있다.
2.2. 가족 상담지원
상담지원은 한 개인의 특수아동이 의료적 서비스 또는 치료와 관련된 상담 및 교육과 진학 선택을 위한 교육 상담뿐만 아니라 그 가족에 알맞게 맞춤형 상담도 함께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상담, 취학 및 진로 상담, 가족 간 불화로 인한 가족 상담, 장애인 등의 법률 상담, 장애 유아 및 형제의 심리 상담이나 특수아동의 가족을 위한 경제 상담 등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담지원에서는 가족지원과 함께 장애 유아 가족에게 알맞은 서비스가 무엇인지 조사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연결해 주는 과정까지 포함한다. 특수아동의 부모들은 자녀의 양육 문제뿐 아니라 장애 자녀가 가족의 구성원이 됨으로써 생기는 가족 간의 문제와 이로 인한 스트레스로 가족구성원들에게 심리?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주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에 따라 장애 자녀를 둔 부모들은 장애 유아가가 받을 수 있는 각종 서비스와 함께 부모 자신을 위한 훈련 및 상담을 받고 싶어 하는 강한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나머지 가족 구성원의 심리적인 부분에서의 상담, 조언과 같은 지원을 필요로 한다."
2.3. 가족의 심리적 안정 및 정서적 지지
특수아 가족의 심리적 안정 및 정서적 지지는 심리상담 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을 지원하는 상담지원에서 이루어진다. 상담지원은 특별한 요구나 심리적, 사회적으로 위험에 처한 대상이 위기 상황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자신의 내면에 있는 잠재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장애가 있는 특수아동 뿐만 아니라 특별한 교육적 욕구나 특수교육 관련서비스가 필요한 위기 아동들도 상담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주로 제공하고 있는 기관으로는 여성가족부 산하의 한국청소년상담원을 비롯한 시·도 및 군·구청소년지원센터, 여성가족부 산...
참고 자료
강영주 (2014). 장애인 가족지원을 위한 가족치료 도입에 관한 고찰. 발달장애연구.
강혜경 (2006). 장애아동 가족기능 강화를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 요구. 단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리현진, “정신지체아 부모의 양육부담과 사회복지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3.
김영희 (2005). 유아특수교육에 있어 포괄적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실천 방향. 유아특수교육연구.
장애아동 가족의 가족지원 요구도 및 사회적 지지, 어용숙·윤치연·김영희, 춘해보건대학, 2009
지체·중복장애아의 가족지원에 관한 연구 분석, 오혜정, 유원대학교, 2019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가족지원 실시 현황 –부산,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박가영 강혜진 김자경, 경남 양산교육지원청 특수교육지원센터 광주여대 부산대, 2021
국가법령정보센터,「가족돌봄휴가등에관한법률」, http://www.law.go.kr/lsSc.do?section=&menuId=0&query=%EA%B0%80%EC%A1%B1%EB%8F%8C%EB%B4%84%ED%9C%B4%EA%B0%80%EB%93%B1%EC%97%90%EA%B4%80%ED%95%9C%EB%B2%95%EB%A5%A0#undefined
국가근로자복지공단,「아이돌봄사업지원금지급요건」, http://www.kcomwel.or.kr/itguden/itguden05_02.jsp
보건복지부, 「2022년 보건복지 예
산방향」, https://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3&CONT_SEQ=361414&page=1
여성가족부,「육아휴직제도」, http://www.gender.go.kr/portal/contents/reform/reform14_2.do
한국보육진흥원,「아이돌봄서비스운영요령」, https://www.kcare.or.kr/kcare/front/portal/frontContentDetail.do?tabMenuId=15&brdId=286&contentId=6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