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티어의 의사소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의사소통의 중요성
1.2.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소개
2.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2.1. 회유형
2.2. 비난형
2.3. 초이성형
2.4. 산만형
2.5. 일치형
3. 우리 가족의 의사소통 유형
3.1. 회유형, 비난형, 초이성형 의사소통 방식 확인
3.2. 기능적 의사소통을 위한 대안 모색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의사소통의 중요성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말의 뜻은, 수많은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모여 사회를 구성하고 서로 상호작용하고 살아야만 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사람과 사람이 함께 살아가는 것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의사소통이다. 정치나 기업에서 언제나 소통을 강조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소통은 단지 달변가처럼 말을 잘 하는 일이 아니라, 들어주고 공감해주는 것도 여기에 해당할 것이다. 이처럼 인간관계에 있어서 의사소통은 상대방의 의사소통 방식에 따라서 내 의사소통 방식이 달라지겠지만, 내 의사소통 방식에 따라 상대방도 달라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내가 여유를 가지고 침착하게 공감하고 경청해주면 상대방도 이에 따라 소통 방식이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오늘날 관계와 소통은 우리 삶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1.2.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소개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소개는 다음과 같다.
회유형은 타인의 사랑과 인정을 받기 위해 자신을 무시하고 타인의 비위에 맞추려는 경향을 보인다. 자신을 낮추고 상대방을 만족시키려 하며, 겉으로는 웃고 만족한 것 같아 보이지만 내면적으로는 상처받고 분한 감정을 가지고 있다.
비난형은 자신이 다른 사람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타인의 말이나 행동을 인정하지 않고 비난하며 통제하려 한다. 타인에 대한 존중보다는 자신의 우월성을 보여주고자 하는 성향이 강하다.
초이성형은 합리성과 논리성을 강조하며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무시하고 상황만을 중요시한다. 겉으로는 무감각하고 무심한 듯 보이지만 내면적으로는 쉽게 감정에 휘말리고 불안해하는 모습을 보인다.
산만형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신의 내적 고통을 두려워하고 외부와의 연결을 피하려 한다. 자신, 타인, 상황을 모두 무시하는 경향이 있어 타인과의 접촉이 가장 어렵다.
일치형은 자신, 타인, 상황 간에 조화를 이루며 기능적이고 책임감 있는 의사소통을 하는 성숙한 유형이다.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하며 건강한 내면...
참고 자료
강문희 외, 가족상담 및 심리치료, 신정, 2006.
김경희 외,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현문사, 2012.
홍봉수, 『가족복지론』, 공동체
김영애(2008), 의사소통방법론,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정문자 외(2008), 가족치료의 이해,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