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신경이완제악성증후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NMS)
1.1. 정의
1.2. 원인
1.3. 증상
1.4. 진단
1.5. 치료
1.6. 예후 및 합병증
2. 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NMS) 환자 간호
2.1. 간호사정
2.2. 간호진단
2.3. 간호계획 및 간호중재
2.3.1. 고체온 관리
2.3.2. 불안 관리
2.3.3. 발작 및 신체 손상 예방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NMS)
1.1. 정의
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NMS)은 대부분 신경이완제 또는 항정신병 약물의 부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생명을 위협하는 신경 질환이다. NMS는 일반적으로 근육경직, 불안, 정신착란 같은 인지적 변화로 나타나며, WBC증가, 혈중 creatine phosphokinase(CK)의 증가, myoglobinuria와 관련되어있다. 발생빈도는 NMS가 처음 정의된 후에 처방 습관의 변화로 많이 감소했지만, 여전히 항정신성 약물을 투약중인 대상자에겐 잠재적 위험요소로 남아있다. NMS의 예측 불가능함 때문에 치료는 대상자마다 다양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집중적인 관리와 항정신성 약물 투약을 금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1.2. 원인
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NMS)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NMS는 대부분 신경이완제 또는 항정신병 약물의 부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특히 haloperidol 또는 chlorpromazine과 같은 전통적 항정신병 약물의 사용이 가장 큰 위험 요소로 알려져 있다. 높은 효능을 가진 신경이완제의 사용, 신경이완제 투여량의 급격한 증가, 신경이완제의 장기간 사용 등이 모두 NMS를 유발하는 위험 요소이다. 또한 치매 환자들은 신경이완제에 매우 민감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그 외에도 신경이완제와 함께 리튬(lithium)을 복용하거나, 비경구 투여하거나 고용량으로 복용하는 경우에도 NMS 발생 위험이 높다.
NMS의 발병률은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특히 40대 이하 남성에게서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젊은 연령층에서 신경이완제 사용이 더 많고, 도파민 수용체에 대한 감수성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1.3. 증상
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NMS)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NMS)은 중증 근육강직과 더불어 근육강직이 나타난 후 48-72시간 동안 체온상승과 급속하게 단계적으로 악화되는 일련의 증상들이 보인다. 주요 증상으로는 근육경직, 고열, 정신상태의 변화, 빈맥, 혈압 불안정, 호흡장애, 발한 등이 나타난다. 또한 백혈구 증가증, 크레아틴 포스포키나제 증가, 미오글로빈뇨 등의 검사 소견이 관찰된다. 이러한 증상들은 항정신병약물, 특히 haloperidol과 같은 전통적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의 1%에서 나타나며, 환자의 3분의 1 정도가 사망에 이를 수 있다.
1.4. 진단
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NMS)의 진단은 다음과 같다.""
약물치료 시작 후 7일 이내에 나타나는 증상들로 진단할 수 있다. 먼저 명확한 원인 없이 38.5-39.5도 사이의 고열이 관찰된다. 또한 근육강직이 나타나며, 정신상태의 변화, 빈맥, 고혈압 또는 저...
참고 자료
실무중심의 정신건강간호학, 2016, 박현숙 외, 현문사
정신건강간호학, 2016, 김수진 외, 현문사
정신간호총론, 2015, 임숙빈 외, 수문사
핵심정신건강간호, 2009, 이광자 외, 군자출판사
성미혜 외 3명,『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2008.
Joyce M. Black•Jane Hokanson Hawks,『성인간호학-3』, 이영휘 외 공역, 정담미디어, 2011.
이평숙 외 9명,『정신건강간호학-상』, 신광출판사, 2011.
http://en.wikipedia.org/wiki/Neuroleptic_malignant_syndrome
실무중심의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2016, Mary Ann Boy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