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 복지정책 2024"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노인복지정책의 현황과 발전 방향
1.1. 노인복지정책의 개념과 목적
1.2. 우리나라 노인복지정책
1.2.1. 경제적 지원
1.2.2. 일자리 제공
1.2.3. 노인복지시설
1.3. 노인복지정책의 발전 방향
2. 지역소멸 위기와 대응 정책
2.1. 지역소멸의 문제점
2.1.1. 인구 감소
2.1.2. 양질의 일자리 양극화
2.2. 지역소멸을 막기 위한 정책 방향
2.2.1. 기업 지방 이전
2.2.2. 소멸 위기 지역 청년창업지원 사업
2.2.3. 세컨드 홈 정책
3. 2024 정부의 복지정책 분석
3.1. 출산 및 육아 지원책
3.1.1. 부모급여와 육아휴직 확대
3.1.2.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사업
3.1.3.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3.2.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책
3.2.1. 기초생활보장제도의 확대와 변화
3.2.2. 상병수당 제도 도입
3.2.3. 가사간병방문지원사업
3.2.4. 일상 돌봄 서비스 사업
3.2.5. 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 축소 및 삭감
3.3. 장애인을 위한 지원책
3.3.1. 장애인 개인예산제의 시범사업과 전망
3.3.2.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3.3.3. 발달재활서비스
3.3.4. 발달장애인 통합돌봄서비스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노인복지정책의 현황과 발전 방향
1.1. 노인복지정책의 개념과 목적
노인복지정책의 개념과 목적은 다음과 같다.
노인복지정책이란 노인이 인간다운 생활을 유지하고, 본인이 속한 가족과 집단 사회에 적응하고 어울릴 수 있도록 필요한 서비스와 자원을 제공하는 데 관련된 조직적 제반활동이다. 이를 통해 노인의 편안한 삶과 사회적 소외 완화, 소득과 일자리 등을 지원하여 안정적 노후 생활을 보장하는 것이 노인복지정책의 주된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노인복지정책은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여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자립 지원, 가족 및 사회적 돌봄 강화, 노인 고용 및 소득 보장 등을 통해 노인의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노인에 대한 경제적 지원, 일자리 제공, 복지시설 확충 등 다양한 정책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결국 노인복지정책은 급증하는 고령인구의 욕구와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노인들이 편안하고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그 핵심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1.2. 우리나라 노인복지정책
1.2.1. 경제적 지원
우리나라의 노인복지정책의 핵심적인 경제적 지원책으로는 기초연금법과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을 들 수 있다.
기초연금법은 생활이 어려운 노인에게 일정액의 기초연금을 지급하여 안정적인 소득을 제공하는 정책이다. 기초연금은 65세 이상 노인 중 소득과 재산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 월 최대 30만 원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경제적으로 어려운 노인들의 생활 안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은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운 노인을 대상으로 장기요양 급여를 제공하는 정책이다. 이는 노인의 의료 및 돌봄 서비스를 지원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장기요양 등급을 받은 노인은 시설 입소나 재가 서비스 이용 시 본인부담금의 일부를 지원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노인들이 가족의 부양 부담 없이 보다 편안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노인복지정책에서 경제적 지원은 기초연금과 장기요양보험 제도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생활이 어려운 노인들의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하고, 돌봄 서비스 이용의 경제적 부담을 줄임으로써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1.2.2. 일자리 제공
노인복지정책의 우리나라 일자리 제공은 다음과 같다. 노인복지법 제23조에 따르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일자리를 구하는 노인에게 일할 기회를 제공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에 따라 노인일자리사업이 시행되고 있는데, 이 사업은 생계급여 수급자 등을 제외한 노인이 일자리를 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노인일자리사업은 다양한 유형으로 운영되고 있다. 공공분야 일자리, 사회서비스형 일자리, 민간분야 일자리 등이 있으며, 참여 노인에게 급여를 지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공공분야 노인일자리에는 공공시설 관리, 환경정화, 교통안내 등의 업무가 포함된다. 또한 사회서비스형 일자리에는 경로당 운영 지원, 아동·청소년 돌봄, 장애인 활동보조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노인에게 소득 창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 참여 기회를 확대하며, 지역사회에 공헌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최근에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규모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나주시의 경우 노인일자리 수를 전년도 대비 465개 늘렸으며, 경남 함안군도 2024년에 노인복지정책에 767억 원을 투입하여 일자리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이처럼 정부와 지자체는 노인의 경제적 자립과 사회 참여를 돕기 위해 노인일자리 사업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노인일자리사업의 효율성과 만족도 제고를 위한 과제가 남아있다. 노인들이 실질적으로 선호하고 필요로 하는 일자리를 발굴하고, 참여 노인의 역량과 특성에 적합한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노인일자리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중장기적인 계획 수립과 안정적인 재정 확보 등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참여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1.2.3. 노인복지시설
노인복지시설은 주거, 의료, 여가, 보호, 일자리, 학대피해노인 등 다양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노인이 참여가 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많은 노인이 복지를 누릴 수 있도록 확대되고 있다. 나주시는 전년보다 일자리 수를 465개 늘렸으며, 경남 함안군은 올해 노인복지정책에 767억 원을 투입하여 일자리 사업, 맞춤돌봄서비스, 경로당 등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이처럼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노인이 좀 더 편안하고 활기차고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1.3. 노인복지정책의 발전 방향
노인복지정책의 발전 방향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 이후 계속된 산업화, 도시화 등의 변화에 따른 노인문제가 증가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81년 노인복지법이 제정되었다. 그러나 급속도로 초고령사회로 가고 있는 현재, 노인들이 갈 곳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 또한, 급격한 노인인구 증가로 부양가족이 늘어나 이에 따른 비용지출이 증가하여 세대 간 갈등이 발생하기 쉽다. 이를 대비한 효율성 높은 정책과 대책은 현저히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가장 큰 문제점은 경제적인 측면이다. 빠르게 변화한 일자리 창출을 통해 노인 개개인의 장점과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일자리를 제공하여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생활을 지원해야 한다. 또한 복지관과 노인정 등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고독감, 소외감 등 부정적인 정서를 줄일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이러한 프로그램 신청 절차가 노인들에게 복잡하므로 이를 개선하여 많은 노인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향후 초고령...
참고 자료
통계청(2024). 고령인구비율(시도/시/군/구). 행정안전부(주민과), 노인인구,
노인들의 심리상담 인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진휘,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박과, 노인복지, 법제처, 찾기쉬운생활법령정보. 노인복지, 노인복지란?,
나주시 노인 일자리, 작년보다 465개 늘렸다., 이창우, 뉴시스, 2024. 01. 10,
함안군, 다양한 노인복지정책에 767억원 투입, 김동기, 머니S, 2024. 01. 10,
초고령화사회의 노인복지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이희성, 권순호, 노동법논총, 50, 1-29, 2020.
김남욱. (2022). 지방소멸에 대응한 공법적 과제. 국가법연구, 18(3), 1-46.
정성호, 홍창수. (2018). 강원 지역의 소멸 가능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57(1), 3-25,
조은상. 지역소멸 예방을 위한 사례조사. 세종: KRIVET(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8.
김성대 울산매일TV, 부산시, 미래 신산업 분야 1,028억 원 투자유치 쾌거, 2024.05.09, https://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9472, 2024.05.21.
김지섭 조선일보, 세금 혜택 받는 ‘세컨드 홈’, 공시가 4억 이하로 결정, 2024.04.16,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4/04/15/K4UVMQ7LIJD45C42QOIZJXHDTQ/, 2024.05.19
김지영 이투데이, ‘스마트 항만 구축’ 김남정 동원그룹 회장, 은탑산업훈장 수상, 2024.04.05, https://www.etoday.co.kr/news/view/2348087, 2024.05.19.
민건태 한국경제, "VC가 몰려온다"…부산은 벤처창업 산실, 2024.04.18.,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74543?sid=102, 2024.05.21.
박현 한겨례, 임금 격차 줄이는 ‘연대임금제’의 힘, 2011.05.18,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478664.html, 2024.05.17.
부산노동권익센터, 부산 노동 동향, 2020.03, http://www.bslabors.or.kr/bbs/board.php?bo_table=pd_b&wr_id=36, 2024.05.17.
부산상공회의소, 2022년 매출액 기준 전국 1000대 기업 중 부산기업 현황, 2023.11.23, https://www.bcci.or.kr/kr/index.php?pCode=inquiry&mode=view&idx=6645, 2024.05.13.
보건복지부, 「제3차 장사시설 수급 종합계획(’23~’27)」2022.12.27,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503000000&bid=0027&act=view&list_no=374287, 2024.05.16.
산업연구원, K-지방소멸지수, 2022.10.28, https://www.kiet.re.kr/searchAll?collection=ALL&category=ALL&query=K%EC%A7%80%EB%B0%A9%EC%86%8C%EB%A9%B8%EC%A7%80%EC%88%98&listCount=&startCount=&sort=RANK, 2024.05.10.
시사상조뉴스, 복지부, ‘요람에서 무덤까지’ 복지 정책 ‘무덤 이후’ 확대, 2023.01.06, http://sisasangjo.co.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49698, 2024.06..24
이권진 중소기업뉴스, 대기업집단 계열사 75% 수도권 집중… 지역경제 쇠락 부추긴다, 2022.03.28, https://www.kbiz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760, 2024.05.17.
통계청, 2022년 주택소유통계 결과, 2023.11.14, https://www.kostat.go.kr/board.es?mid=a10301010000&bid=11471&act=view&list_no=427987, 2024.05.22.
한국고용진흥원, 지방소멸위험지수, 2023.03.31, https://www.keis.or.kr/user/bbs/main/123/3889/bbsDataView/58493.do?page=1&column=bbsDataTitle&search=%EC%A7%80%EB%B0%A9%EC%86%8C%EB%A9%B8%EC%9C%84%ED%97%98&searchSDate=&searchEDate=&bbsDataCategory=, 2024.05.10.
행정안전부,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 https://www.mois.go.kr/frt/sub/a06/b07/localyouthjob/screen.do, 2024.05.28.
행정안전부, 행정동별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s://jumin.mois.go.kr/#, 2024.05.16.
윤석열식 약자복지, 복지 확대인가 퇴행인가, 한겨레, 윤홍식
대한민국 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 약자복지ᆞ서비스복지 중심 지속가능한 복지국가 비전 제시
보건복지부, 2024년도 사회서비스 제공계획 공고
윤석열 정부 복지정책 키워드 ‘시장화·경쟁·선별’, 시사위크, 서예진
두산백과, 욕구단계설[ 欲求段階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