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안도 타다오와 그의 건축
1.1. 안도 타다오의 전반적인 건축 특성
1.1.1. 서구의 근대건축 양식 수용
안도 타다오는 서구의 근대건축 양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그는 건축을 공부할 당시 도서관에서 르 코르뷔제의 책을 처음 알게 되었고, 그의 평면을 트레이싱지에 똑같이 그려보면서 건축 공부를 할 정도로 관심이 깊었다. 안도 타다오는 서양의 기하학적인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으며, 이는 그의 건축에서 잘 드러난다.
서양의 근대건축은 주로 기하학을 바탕으로 발달해 왔다. 안도 타다오는 유럽, 인도, 미국 등을 여행하면서 다양한 건축의 형태, 공간, 지역성, 장소성에 나타난 건축가들의 작품을 오랜 시간 동안 관찰하고 그 의미를 스스로 해석하였다. 이를 통해 서구의 근대건축 양식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다.
안도 타다오의 건축은 서구의 근대건축 영향 아래에서, 태평양전쟁 이후 급격하고 무질서하게 개발된 일본의 근대 건축을 분석하고 인간의 보편적인 미의식이나 자연관을 기하학적인 건축공간에 녹여냄으로써 건축의 추상성에 자연의 구상성을 잘 표현하고 있다. 특히 그의 종교 건축물에서 종교의 정체성에 자연의 구상성을 이용하여 적절히 결합하는 모습이 두드러진다.
이처럼 안도 타다오는 서구의 근대건축 양식을 깊이 있게 탐구하고 이해하였으며, 이를 자신만의 건축 언어로 접목시켜 발전시켰다고 볼 수 있다.
1.1.2. 일본의 전통적 자연관 반영
안도 타다오는 서구의 근대건축 양식을 수용하면서도 일본의 전통적인 자연관을 자신의 건축작품에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일본인으로서 그가 가지고 있던 자연에 대한 태도를 구체화하여 자연을 자신의 건축 공간 안으로 적극적으로 끌어들이는 시도를 하였다.
안도 타다오는 회유식 정원, 차경수법, 빛에 대한 태도 등을 기하학적으로 풀어내어 동선의 통제, 풍경의 통제, 빛의 통제 등으로 그의 건축을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일본 전통의 자연관과 서구의 근대건축 양식을 융합하고자 하였다.
특히 그의 종교건축물에서는 자연의 구상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종교의 정체성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자연의 빛, 음영, 계절의 변화 등을 건축 공간에 도입함으로써 신성한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안도 타다오는 일본의 전통적인 자연관을 자신의 건축 언어로 표현하고자 하는 노력을 계속해왔다. 그의 건축작품에서 드러나는 기하학적 형태와 자연의 유기적 요소들은 서구 근대건축과 일본의 전통적 자연관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1.1.3. 기하학적 형태 구성
안도 타다오의 건축물은 기하학적 형태 구성을 통해 특징적인 공간을 표현하고 있다. 그는 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