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초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조선 시대의 과학 수사법, 고초액
1.1. 탐구 주제
1.2. 탐구 동기
1.3. 탐구 문제
1.4. 이론적 배경
1.5. 탐구 방법
1.6. 결과 및 토의
1.7. 결론 및 제언
2. 미생물의 형태와 염색
2.1. 실험 목적
2.2. 실험 배경
2.2.1. Gram 염색법
2.3. 방법
2.3.1. Wet mount
2.3.2. Gram 염색
2.4. 결과
2.4.1. Wet mount
2.4.2. Gram 염색
2.5. 결과 및 고찰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조선 시대의 과학 수사법, 고초액
1.1. 탐구 주제
조선 시대의 과학 수사법인 식초를 이용한 혈흔 수색법을 알아보는 것이 이번 탐구 주제이다.
1.2. 탐구 동기
조선 시대의 과학 기술에 대해 탐구하던 중, 잘 알려지지 않은 조선 시대의 과학 수사법에 대해 흥미가 생겼다"라고 한다. 그리고 이를 자세히 조사하던 중 식초를 이용한 '고초액'이 혈흔을 찾는 데에 이용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라고 말한다. 이를 통해 과연 식초(고초액)를 이용하여 혈흔을 찾을 수 있을지, 농도는 어느 정도로 해야 가장 효과가 좋은지 알아보고자 했다"라고 밝힌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는 '루미놀 용액'을 이용하여 혈흔을 찾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과연 조선 시대에 쓰던 고초액이 현대 수사에 이용되는 루미놀 용액과 비교하여 효과가 어떻게 다를지 궁금증이 생겼다"라고 설명한다.
1.3. 탐구 문제
식초가 과연 실제로 혈흔을 찾는 데에 효과가 있는가?, 식초를 어느 정도의 농도로 해야 효과가 가장 좋은가?, 그리고 고초액과 루미놀 용액은 헤모글로빈 용액 위에 뿌렸을 때 각각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가"이다.
식초가 과연 실제로 혈흔을 찾는 데에 효과가 있는가에 대해서는, 실험 결과 100% 식초, 75% 식초, 50% 식초 모두 별다른 차이 없이 혈흔을 찾는데 실패했다고 한다. 즉, 현재 흔히 쓰이는 식초로는 혈흔을 검출하기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조선 시대에 사용했던 "고초액"은 오늘날의 식초와는 다르게 철과 반응하는 물질이 있어서 핏자국에 뿌리면 혈흔이 나타났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실제 고초액에는 티오시안산이 포함되어 있어서 이 성분이 혈액 속 철분과 반응하여 붉은색으로 변했을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고초액과 루미놀 용액을 헤모글로빈 용액에 각각 뿌려 본 결과, 식초를 뿌렸을 때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지만 루미놀 용액을 뿌렸을 때는 명확한 푸른 형광색이 나타났다. 이는 루미놀 용액 속 과산화수소가 혈액 속 헤민 성분의 촉매작용으로 인해 루미놀을 산화시켜 화학발광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1.4. 이론적 배경
조선 시대의 과학 수사법인 식초를 이용한 혈흔 수색법은 흥미로운 역사적 사례이다. 조선 시대에는 사람을 죽이고 난 후 피가 방치되어 흔적이 남지 않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 때 칼에 고초액을 바르면 숨겨진 혈흔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고초액의 원리는 고초(강한 식초)에 티오시안산이 들어있어 이것이 혈액 속의 철분과 반응하여 붉은색으로 변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화학식으로는 Fe^{3+} + SCN^{-} → Fe(SCN)^{2+}와 같다. 즉, 고초액 속의 티오시안산이 혈액 속 철분과 반응하여 붉은색 색소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한편 현대 사회에서는 루미놀 용액을 이용하여 혈흔을 검출한다. 루미놀 용액에 포함된 5% 과산화수소가 헤모글로빈의 촉매 작용으로 분해되면서 산소가 발생하고, 이 산소가 루미놀을 산화시켜 청백색의 화학발광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이를 통해 극미량의 혈액도 검출할 수 있다고 한다.
이처럼 조선 시대의 고초액과 현대의 루미놀 용액은 혈흔 검출에 사용되는 방식이 다르다. 고초액은 화학 반응을 통해 색소를 생성하여 혈흔을 나타내는 반면, 루미놀 용액은 화학발광 반응을 일으켜 형광으로 검출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1.5. 탐구 방법
탐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준비물로는 종이, 루미놀 용액 스프레이, 면봉, 헤모글로빈, 5% 과산화수소, 식초, 물이 사용되었다"
독립변인-조작변인은 헤모글로빈 용액(피) 위에 뿌리는 용액(100% 식초, 75% 식초, 50% 식초, 루미놀 용액)이며, 통제변인은 온도, 습도 등 헤모...
참고 자료
“억울한 죽음 없도록”…조선의 과학수사 기법은?,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563558&ref=A2018.06.13.
조선시대에도 과학수사가 있었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5614846&memberNo=12127589&vType=VERTICAL2018.06.13.
조선의 과학수사, 더 이상 과장이 아니다, http://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6144&bbsId=BBSMSTR_10082018.06.13.
루미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85018&cid=42419&categoryId=424192018.06.16
실험 미생물학 (미생물 면역분과학회,2013,p.30~35)
미생물학 제9판 (Joanne M. Willy 외 2인,라이프사이언스,2016,p.24~27)
네이버 지식백과 – 항산성염색, 마이코박테리아, 명시야 현미경
Wordrow – 유침법
위키백과 –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고초균, Candida albicans, Gram St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