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심부정맥혈전증, DVT(Deep Vein Thrombosis)는 다리 깊숙한 곳에 있는 정맥에 혈전이 생기는 것으로 이 혈전이 떨어져 혈류를 타고 폐로 들어가 혈류를 막게 된다면 치명적일 수 있다.""심부정맥혈전증은 좁고 불편한 비행기의 일반석(이코노미 클래스)에서 장시간 비행하면 피가 제대로 돌지 않아 다리가 붓고 저려 오며, 이것이 오래되면 혈액응고로 사망에까지 이르게 된다하여 요즘에는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이라고도 불리운다.""또한 현대인들은 회사에서 장시간 앉아서 일하거나 학생들의 경우도 책상에서 앉아 매일 긴 수업을 들으며 오랫동안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 또한 위험할 수 있다.""그래서 현대인들에게 발생률이 늘고 있는 심부정맥혈전증에 대해 실제로 입원해있는 환자를 통해 자세히 연구해 봄으로써 간호사가 되기 위한 실습을 보다 알찬 경험과 지식을 쌓아가는 발판으로 만들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심부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의 정의 및 원인
심부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은 정맥에 응괴가 형성된 것이고, 혈전성 정맥염은 응괴 형성과 함께 정맥벽에 염증을 동반한 것이다. 때로는 어떤 상태가 먼저 발생했는지를 구별하기가 어려운데 이는 혈전과 염증이 종종 같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DVT는 심부 정맥에 혈전성 정맥염이 올 때 이렇게 표현하기도 한다. DVT는 생명을 위협하는 폐색전증이나 정맥염 후 증후군의 위험이 높다.
DVT의 원인은 Virchow's triad라고 하는 3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첫째, 정맥정체(장딴지 근육의 펌프가 없거나 움직이지 않으면 정맥정체를 초래하게 되며 그 밖에 수술이나 비만, 임신 및 울혈성 심부전 시 초래할 수 있다.), 둘째, 과응고력(종종 장기암이나 난소암 같은 악성 종양 시 나타난다. 탈수와 혈액질환은 혈소판을 증가시키고 섬유소 용해를 감소시키며 응고 요인을 증가시키거나 혈액의 점도를 증가시킨다.), 셋째, 정맥벽의 손상(정맥 내 주사, 폐색성 혈전 혈관염, 골절 및 탈골, 경화제로 인한 화학적 손상 등이다. 정맥벽의 손상 결과 그곳에 혈소판을 끌어오므로 혈액 찌꺼기가 축적되게 된다. 이는 혈류가 느려지고 과응고력인 상태와 함해져 혈전을 형성한다.)이다. 이 중 적어도 2가지 상태가 있어야 혈전이 형성될 수 있다.
2.2. 병태생리
혈전 형성은 국소과정이며 이는 혈관 내벽에 혈소판이 유착되므로서 시작된다. 혈소판이 콜라겐에 유착되면 Adenosinediphosphate(ADP)가 유리되며 ADP는 손상된 조직이나 파괴된 혈소판에서 유리된다. 이는 혈소판을 응집하게 하고, 그 결과 혈소판 플러그를 형성한다. 심부정맥혈전증은 직경이 1mm에서부터 주요 정맥을 채울 수 있는 긴 덩어리까지 다양하다. 작은 혈전들은 흔히 심부 정맥 판막의 주머니에서 발견되고 새롭게 형성된 혈전들은 폐색전증을 일으킬 수 있다. 혈전 형성 후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