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해외 파병 지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베트남전 참전군과 국민 동원
1.1. 베트남전 참전군에 대한 정부의 이미지 형성
1.1.1. 문화 영화와 뉴스 영화를 통한 이미지 형성
1.1.2. 정부 기관의 주도하에 제작된 영화의 특성
1.2. 국민 동원 방식
1.2.1. 위문사업을 통한 국민 참여 독려
1.2.2. 월남붐 조성과 경제적 유인책
1.3. 베트남전 참전의 정당화 과정
1.3.1. 다원주의적 국가론, 국가주의적 국가론, 마르크스주의적 국가론의 시각
1.4. 베트남전 참전의 기억과 국가의 영향력
2. 신행정수도 건설 사업
2.1. 신행정수도특별법 위헌 판결과 그 배경
2.2. 세종시 건설을 둘러싼 여론과 정치권의 반응
2.3. 민주주의의 본질과 기본조건, 삼권분립 원칙에서 바라본 신행정수도 건설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베트남전 참전군과 국민 동원
1.1. 베트남전 참전군에 대한 정부의 이미지 형성
1.1.1. 문화 영화와 뉴스 영화를 통한 이미지 형성
문화 영화와 뉴스 영화를 통한 이미지 형성은 베트남전 참전군에 대한 정부의 이미지 형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제2차 세계대전 시기부터 영화는 전방과 후방을 연결하고, 전쟁의 심리적인 무기로서 기능했으며, 냉전체제 하에서는 미국이 자국민과 우방을 대상으로 적극 활용한 심리전 방식이었다"" 한국에서도 1960년대에 영화가 대중문화로서 압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베트남 파병 기간 국립영화제작소와 국군영화제작소를 중심으로 전쟁 관련 영화가 다수 제작되었다"" 그중 대표적인 작품인 에서는 도미노 이론을 근거로 국제관계를 강조하고, 구체적인 경제적 성과를 제시하는 등 경제적 이익을 강조하는 모습이 보였다"" 이처럼 정부 기관에서 제작한 영화들은 건장하고 남성적인 한국군, 이국적이면서도 여성적인 베트남의 모습을 강조하며 선전물로서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이를 통해 베트남전에 대한 정부의 이미지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1.1.2. 정부 기관의 주도하에 제작된 영화의 특성
정부 기관의 주도하에 제작된 영화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영화제작소와 국군영화제작소에서 제작된 영화들은 대부분 1966년에서 1968년까지 집중적으로 제작되었다. 이는 미국이 1969년부터 본격적으로 베트남 전쟁 철군을 시작하면서 국제 및 국내 여론의 압박을 받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는 이 시기에 전쟁을 정당화하고 국민을 동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영화를 집중적으로 제작했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정부 기관 제작 영화는 경제성장과 도미노 이론, 한국의 국제적 위상 제고 등을 근거로 베트남전 참전을 정당화하는 내용을 핵심적으로 다루었다. 영화 속에서는 "연간 5백만 달러"의 경제적 성과나 "정글에서 보내 딸라 웃음 피는 우리 가족" 등의 직접적인 문구를 통해 경제적 이익을 강조하였다.
셋째, 정부 기관 제작 영화는 유사한 촬영 분을 반복적으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씩씩한 파병 군인, 환송식, 베트남의 풍광과 휴식하는 병사들, 위문단 공연, 생포된 베트콩, 대민활동 등 선전적 성격의 영상들을 반복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정부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베트남전 참전군의 이미지를 형성하고자 했음을 보여준다.
넷째, 정부 기관 제작 영화는 미국의 든든한 우방으로서 한국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음을 암시하였다. 이를 위해 강인하고 남성적인 한국군과 대비되는 왜소하고 여성적인 베트남인의 이미지를 강조하였다.
즉, 정부 기관에 의해 제작된 베트남전 관련 영화들은 경제적 이익과 국가 위상 제고 등을 내세워 참전을 정당화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선전적인 영상들을 반복적으로 제시하는 방식으로 일정한 이미지를 형성하고...
참고 자료
박태균, 『베트남 전쟁: 잊혀진 전쟁, 반쪽의 기억』, 한겨레출판, 2015.
오제연 외 지음, 『한국현대생활문화사: 1960년대』, 창비, 2016.
강성률, 「남한 영화를 통해 본 베트남전쟁의 기억」, 『역사비평』84호, 2008.
윤충로, 「베트남전쟁 시기 한국의 전쟁 동원과 일상」, 『사회와 역사』제95집, 2012.
백태현, 「영화가 베트남 전쟁을 재현하는 방식- 월남에서 돌아온 김상사」, 『씨네포럼』vol.17, 2013.
박선영, 「국가의 프레임으로 구획된 베트남전쟁: 국립영화제작소와 국군영화제작소의 베트남전쟁 영화를 중심으로」, 『史林』53권, 2015.
조혜랑, 「‘베트남전쟁 문화영화’의 역사적 배경 연구」, 『영상예술연구』vol.27, 2015.
,“‘베트남전 진상조사' 청원에…우리 정부 첫 답변은?”, 2019.09.25 (http://bit.ly/2VBGJHE)
<한겨레>,“베트남전 민간인 학살 한국 국방부 답변은 틀렸다”, 2019.09.26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11019.html#csidxf83344e3a80864abacba58d22d436f2)
평화 유지 활동 [Peace Keeping Operations, 平和維持活動]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2021. 05. 31.)
해외파병 정책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14
https://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5681#expDoc
위헌 논란 '세종시=행정수도', 출구가 보인다, 박종록, 세종포스트, 2020.07.23.
https://www.sj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316
두산백과, 두피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