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임신 기간 중 태교
1.1. 태교의 개념과 중요성
태교는 "임신 중에 태아에게 좋은 감화를 주기 위하여 임부가 마음을 바르게 하고 언행을 삼가는 일, 또는 그 가르침"이다. 아이에게 좋은 영향을 주기 위하여 행동과 말을 삼가는 일이 바로 태교인 것이다. "뱃속에 있을 때의 10개월이 출생 후 10년보다 중요하다."라는 말이 있듯이 임신 중 태교는 아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어머니의 뱃속에서 10달동안 태아는 단순하게 몸을 키워 나아가는 것만이 아니고 느끼고, 듣고, 보고 배우면서 무한한 가능성을 키워 나아가기 때문이다. 그리고 태교는 갓 태어난 아기를 1살로 생각하는 것과 같이 뱃속에 있을 때부터 이미 교육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동양적인 사상으로부터 비롯이 되었다. 이는 궁극적으로 태교가 건강한 아이를 출산해 발달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이끌어가는 최초의 중요한 시기로 보았기 때문이다. 또한, 태교는 엄마의 건강은 물론 태어날 앞으로의 아기의 건강을 위하여도 필요하기에 이제는 과학적으로 보았을 때에도 태교를 하는 것이 성장에 좋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어 그 중요성이 더욱이 커졌다고 할 수 있다.
1.2. 부성 태교의 의의
부성 태교는 "아버지가 하는 태교"를 의미한다. 임신을 하고 있는 기간 동안 임산부와 함께 태아의 발달을 도와주는 아버지의 모든 행동과 노력을 일컫는다. 아버지 또한 태교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부성 태교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아내와 함께 임산부 체조를 하거나 인간의 기반이 태중에서 형성된다는 것을 같이 인지하고 훌륭한 자질 형성이 가능하도록 엄마와 같이 태내의 아기에게 계속적으로 태담을 하는 태담태교를 함께 할 수 있다. 또한, 태아는 아버지가 가지는 낮은 음성을 선호한다. 그렇기에 아버지의 음성으로 태교를 한다면 그 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보인다.
임신을 하고 있는 기간 동안 임산부는 심리적, 정서적으로 아주 불안감을 느낄 수 있는데 힘든 일을 도와주거나 같이 산책을 하는 등 긍정적인 영향을 옆에서 주는 것 역시 부성 태교에 해당한다. 이처럼 부성 태교는 아버지가 임신을 하고 있는 아내와 태아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3. 우리나라 태교 문헌
우리나라의 태교 문헌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유학교육의 입문서인 '소학'의 앞부분에 태교로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은 태교가 단순하게 전통사회에서 가정교육의 한 부분이 아니라 교육의 출발점이며 기초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율곡 이이는 "태교는 소지자를 중지자로 만드는 것이고 중지자를 대지현인으로 만드는 것이다."라고 하며 자녀교육이라고 하면 태중교육에서부터 마땅히 비롯되어야 한다고 문헌을 통하여 주장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 문헌에서도 태교의 중요성과 가치가 강조되고 있다.
1.4. 태교의 종류와 내용
1.4.1. 음식 태교
음식 태교는 "임신 기간 중에 어떠한 것을 먹느냐에 의하여 아기의 건강과 지능이 결정되는 것"이다. 임산부의 영양관리는 편식을 하는 것 없이 영양소의 종류와 음식의 식재료, 질을 고려해 균형 잡힌 식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태아의 발달에 무엇보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음식태교의 목적은 "규칙적이고 계획적인 식사를 통해 태아에게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해줌으로써 태아의 발달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임신부는 임신 기간 중 영양소가 풍부한 음식을 균형있게 섭취해야 한다. 특히 뇌 발달에 중요한 비타민 B와 C, 엽산, 철분, 단백질 등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임신초기에는 입덧으로 인해 식욕부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소량 다회 식사를 하고 단백질과 비타민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임신중기에는 태아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해 영양 섭취가 더욱 중요해진다. 특히 철분, 칼슘, 엽산 섭취에 주력해야 한다. 임신후기에는 태아의 체중이 많이 늘어나므로 고단백질, 고열량 식단이 필요하다.
이처럼 음식태교는 태아의 성장과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태교 방법이다. 임신부는 임신 기간 동안 균형있는 식단으로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