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상상력과 대안
1.1. 허심과 터닝포인트
허심(虛心)이란 새로운 것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교수님은 이번 수업에서 인재의 특성 중 하나인 "허심"의 중요성을 강조하셨다. 교수님에 따르면 인재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은 허심이 필요하다고 한다. 허심이 없이 자신의 생각만 옳다고 고집하는 사람은 결코 성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번 "상상력과 대안" 강의에서는 상상력에 관한 내용뿐만 아니라, 교수님께서 언급하신 "터닝포인트"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 비망록이란 배운 내용을 잊지 않기 위해 기록하는 것으로, 지식이나 정보 위주가 아닌 수업을 통해 변화한 자신의 시각을 정리하는 것이다. 이번 "상상력과 대안" 강의를 듣고 변화한 자신의 생각을 비망록에 기록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큰 도움이 되었다.
특히 교수님께서 언급하신 "007가방과 보자기" 비유를 통해 좋고 나쁜 것의 기준이 없다는 점을 깨달을 수 있었다. 과거에는 007가방이 보자기보다 더 나은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교수님의 설명을 들은 후에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과유불급"이라는 말을 통해 많은 것이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라는 사실도 깨달을 수 있었다.
이처럼 이번 "상상력과 대안" 강의를 통해 허심과 터닝포인트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기존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1.2. 공부란 무엇일까?
공부란 무엇일까? 초등학교 6년, 중학교3년, 고등학교3년. 대부분의 학생이 12년 동안 교육과정을 밟아왔고 대학교를 다니는 학생들은 앞으로 3~4년이 더 남았다. 수많은 학생들 중 공부가 무엇일까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몇 명이나 될까? 수업시간에 공부와 관련된 많은 동영상을 보았는데, 지금까지 해왔던 공부랑은 많이 달라서 놀라웠다.
첫 번째로 옥스포드 대학에서의 공부영상을 보았다. 옥스퍼드 대학은 영어권의 가장 오래된 대학 중 하나이다. 옥스퍼드대 학생은 수학문제를 풀면서 '이걸 왜 풀까?'하며 끊임없이 연구한다고 한다. 그리고 그들의 공부는 주로 누군가를 만나서 이루어진다. 식사시간에 다 같이 모여서 식사를 하고, 그 시간동안 넓은 주제의 이야기를 나눈다. 그들은 혼자 공부하기보다는 누군가와 이야기를 하고 지식을 나누어 사고의 폭을 넓힌다.
또한, 로마시대 때 공부란 문자를 배우는 것을 의미했다. 서양은 전통적으로 보편적 지식의 습득보다는 각 개인이 발전과 성장을 위한 노력을 주된 공부로 보았다. 로마의 교육열은 매우 높았는데, 그 모습을 아이와 아버지가 토론하는 벽화에서 볼 수 있다. 그들은 독서나 필기행위를 하지 않기 때문에 노트와 필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았고, 그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대화와 자유로운 토론이었다. 이 시기 공부의 목적은 대화나 토론을 통해 사고의 폭을 넓히고 생각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었다.
미국의 교육은 끊임없이 자기표현을 시킨다. 미국의 필립스 아카데미는 사립학교로 다양한 인재를 배출한 학교이다. 그 곳에서는 누구나 상대방을 마주보며 앉을 수 있는 테이블에 앉아서 토론하는 방법인 하크니스테이블(harkness table)방법으로 공부한다. 이 방법은 학생이 주체적으로 수업시간을 이끈다. 수업을 마칠 때 무엇인가 의미 있는 것을 가져가기 위해 다들 수업 전에 어느 정도 준비를 해온다. 그리고 모르는 문제도 교사에게 묻지 않고 학생들끼리 협력하여 해결하려고 한다.
마지막으로 유대인의 공부 방법으로 탈무드, 마따호쉐프, 예시바가 있다. 어린 유대인들은 처음 공부를 접할 때 "마따호쉐프"란 말을 가장 많이 듣는다고 한다. 초등학교에서 교사가 수없이 말하는 "마따호쉐프" 란 "너의 생각, 너의 의견은 무엇이니?"라는 뜻이다. 선생들은 학생들이 무작정 외우기보다는 깊이 생각하고 참여하기를 바란다. 유대인의 공부에 있어 자신의 생각은 필수적이고, 교사 또한 자신의 생각에 얽매이지 않고 학생들의 의견을 듣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긴다. 예시바는 유대인의 공부를 위한 도서관인데, 우리나라의 도서관과 달리 매우 시끄럽다. 그들에게 책은 토론의 매개물일 뿐이며 수단이다.
이렇게 옥스포드 대학, 로마시대, 미국의 교육, 유대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