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두개내압 상승(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IICP)
1.1. 정의
두개내압(Intracranial Pressure, ICP)이란 두개골 내부에 존재하는 뇌, 혈액, 뇌척수액으로 이루어진 세 가지 구성성분의 총 용적에 의해 생성되는 압력을 의미한다. 정상 범위는 5-15mmHg이며, 20mmHg 이상일 경우 두개내압 상승(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IICP)으로 간주한다.
1.2. 병태생리
두개내압 상승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두개강 내 3가지 구성성분인 뇌조직, 혈액, 뇌척수액의 총 용적에 의해 생기는 압력을 의미한다. 이들 세 구성성분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두개골 내에서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한다.
두개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뇌혈류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뇌조직 내 대사작용이 감소하고 이산화탄소 축적으로 인한 혈관 확장이 나타나, 결국 두개내압이 더욱 상승하게 되는 악순환이 일어난다. 즉, 두개 손상 → 조직부종 → 두개내압 상승 → 뇌혈관 압박 → 뇌혈류량 감소 → 산소부족으로 인한 뇌세포 사망 → 괴사조직 주위 부종 → 두개내압 상승 → 사망에 이르는 과정이 발생한다.
이때 이산화탄소의 증가는 평활근을 이완시켜 뇌혈관을 확장시키고, 혈관저항을 감소시켜 뇌혈류량을 증가시킨다. 반면 산소 감소는 뇌혈관 이완과 혈관저항 감소를 초래하여 뇌혈류량이 증가한다. 이런 보상작용으로 인해 두개내압이 더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두개내압 상승의 병태생리는 두개 내 압력을 높이는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작용하면서 악화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1.3. 원인
두개내압 상승(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IICP)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뇌부종(Cerebral edema)이다. 뇌조직 양의 증가와 관련된 세포 내, 외 혹은 모두의 비정상적인 수분축적이 발생하여 두개내압 상승을 유발한다.
둘째, 뇌수종(Hydrocephalus)이다. 뇌척수액의 생산 증가, 순환 장애, 흡수 장애 등으로 인해 뇌척수액이 정상 범위 이상으로 축적되어 두개내압이 상승한다.
셋째, 두개내 고혈압(Intracranial hypertension)이다. 두개내 고혈압은 뇌용적 증가, 뇌혈액량 증가, 뇌척수액 증가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두개골 내부의 압력이 15mmHg 이상일 때 두개내 고혈압으로 정의되며, 20mmHg 이상인 경우 악성 고혈압이라고 한다.
넷째, 체위변경, 등장성 운동, 기침, Valsalva 수기, 긴장 등 뇌대사를 증가시키는 행동들이다. 이러한 활동들은 두개내압을 일시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다섯째, 간호행위를 몰아서 시행하는 경우에도 두개내압이 일시적으로 상승될 수 있다.
종합하면, 뇌부종, 뇌수종, 두개내 고혈압, 뇌대사 증가를 유발하는 행동, 그리고 집중적인 간호행위 등이 두개내압 상승의 주요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1.4. 증상
두개내압 상승 환자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통이다.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여 이차적으로 뇌부종과 뇌부종이 발생하면 뇌혈관이 확장되어 두통이 발생한다. 특히 아침에 두통이 심한 "morning headache"가 나타난다. REM 수면기에 뇌압이 상승하면 대사가 증가하고 이산화탄소 생성이 많아져 두개골 저부의 정맥은 수축하고 동맥은 확장되어 두통이 나타난다.
둘째, 구토이다. 구토중추를 원격적으로 압박하여 반사적인 구토가 발생한다. 특히 소뇌나 연수에 압력이 가해지면 흉부나 복부의 갑작스러운 수축으로 인해 투사성 구토(projectile vomiting)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셋째, 유두부종(papilledema)이다. 뇌척수압 상승으로 인해 기계적으로 중심망막 정맥에 압력이 가해져서 정맥울혈이 발생하여 유두부종이 나타난다. 유두부종은 초기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뇌압이 아주 높을 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넷째, 의식 수준의 변화이다. 대뇌피질의 산소 부족으로 인해 의식 수준이 저하된다.
다섯째, 활력징후의 변화이다. 시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