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 현황
1.1. 지역사회 특성
1.1.1. 지역사회 유형 및 면적
구미시는 공간적, 시간적 관계에 의해 모인 구조적 지역사회 중 지정학적 공동체로, 지리적, 법적인 경계로 정의된 지역사회이다. 1978년 2월 선산군 구미읍과 칠곡군 인동면을 합쳐 구미시로 승격되었다. 구미시의 행정구역은 2읍 6면 19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과거 구미는 선산군 중심의 농업이 산업의 주축이었으나, 1970년대 초 정부의 수출드라이브 정책에 힘입어 구미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면서 내륙 최대의 첨단수출 산업단지를 보유한 도시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현재 구미에는 1~4공단까지 24.3㎢의 국가산업단지가 있고, 고아·해평·산동농공단지와 각지의 소규모 공장 등 총 3천2백여개 기업체에 11여만명의 근로자가 일하고 있다. 주요 생산품으로는 반도체, 휴대폰, LCD,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구미시의 면적은 615.49㎢로 전국 면적의 1%, 경상북도 면적의 5.3%를 차지하고 있다.
1.1.2. 지리적 특성 및 기후
구미시는 경상북도의 서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남쪽에는 칠곡군, 서쪽에는 김천시, 북쪽에는 상주시, 동쪽에는 군위군과 의성군이 접하고 있다. 지세는 대개 서북방으로부터 동남을 향하여 경사를 이루며 시의 중앙을 낙동강이 북에서 남으로 관류하고 있어 농공업의 발달을 위한 용수공급에 유리한 자연적인 입지여건을 갖추고 있으며, 서남단에는 해발 976m의 웅장한 금오산, 동쪽에는 사면석벽의 천생산, 동쪽에는 청화산과 냉산 등이 위치하여 수려한 산세를 이루고 있다. 금오산은 바라보면 거인이 누워있는 모습 같다고 해서 거인상이라고도 하고 부처님이 누워있는 모습 같다고 해서 와불상이라고도 하며, 이 산은 거인의 눈이 북두칠성을 응시하고 있는 형상이라 해서 조선조 초 풍수지리설의 대가인 무학대사가 이 산 아래를 지나다가 "군왕이 날 산인고로 거인이 날 것으로" 예언했다고 한다. 구미시의 기후는 한반도의 남부내륙형에 속하며 비교적 한서의 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를 나타내는데, 겨울의 최한월은 1월로 평균 기온 섭씨 영하 5도 내외이고 여름은 분지 지형의 영향으로 8월 중 섭씨 25도 내외의 최고 평균기온을 나타낸다.
1.1.3. 지역사회 산업유형
구미시의 지역사회 산업유형은 주로 전자, 화학, 기계 등의 제조업이 발달해 있다"" 구미시는 1970년대 초 정부의 수출드라이브 정책에 힘입어 구미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면서 내륙 최대의 첨단 수출 산업단지를 보유한 도시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현재 구미에는 1~4공단까지 24.3㎢의 국가산업단지가 있고, 고아·해평·산동농공단지와 각지의 소규모 공장 등 총 3천2백여개 기업체에 11여만명의 근로자가 일하고 있다"" 주요 생산품으로는 반도체, 휴대폰, LCD, 디스플레이 등의 첨단 전자산업·정보통신산업이 있다"" 또한 1인당 지역내총생산(2014년 기준)이 64,904달러로 인구 40만 이상 기초지자체 중 2위이며, GRDP 총규모도 전국 최고 수준이다""
1.2. 지역사회 인구학적 특성
1.2.1. 총인구
구미시의 연도별 총인구 변이는 대체적으로 큰 변화 없이 약간의 감소와 증가가 반복되는 추세를 보이며 419,000~421,000명 사이의 비슷한 수치가 유지되고 있다. 구미시는 '항아리'형 인구구조를 띄고 있는데, 이는 감퇴형으로 출생률과 사망률이 모두 낮으면서 출생률이 사망률보다 낮아 인구가 감소하는 유형이다. 0~14세 인구가 50세 이상 인구의 2배가 되지 않는 항아리형 인구구조는 유소년층 비율이 낮고 청·장년층 비중이 크게 나타나, 국가경쟁력 약화가 우려된다.
1.2.2. 성별, 연령별 인구구조
구미시의 성별 인구구조를 살펴보면, 전국의 성별 인구구조 추세와 유사하게 나타난다. 전국적으로 여성 인구가 남성 인구보다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지만, 구미시의 경우 남성 인구가 여성 인구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기준 구미시의 총 인구는 419,915명이며, 남성은 214,528명, 여성은 205,387명이었다. 2016년에는 총 인구 419,891명 중 남성이 214,600명, 여성이 205,291명이었다. 2017년에는 총 인구 421,799명 중 남성이 215,826명, 여성이 205,973명이었다. 즉, 구미시의 성별 인구구조는 남성이 여성보다 약간 더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령별 인구구조를 살펴보면, 구미시는 '항아리'형 인구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감퇴형 인구구조로, 출생률과 사망률이 모두 낮은 상태에서 출생률이 사망률보다 낮아 인구가 감소하는 유형이다. 0~14세 인구가 50세 이상 인구의 2배가 되지 않는 형태로, 유소년층 비율이 낮고 청장년층 비중이 크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이는 국가경쟁력 약화가 우려되는 인구구조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015년 기준 구미시 인구를 연령별로 보면 0~14세는 64,642명(15.4%), 15~64세는 299,068명(71.1%), 65세 이상은 56,205명(13.4%)이었다. 2016년에는 0~14세 63,787명(15.2%), 15~64세 298,767명(71.1%), 65세 이상 57,337명(13.7%)이었다. 2017년에는 0~14세 62,624명(14.8%), 15~64세 301,087명(71.4%), 65세 이상 58,088명(13.8%)으로 나타났다.
즉, 구미시 인구구조는 유소년층 비율이 낮고 노인 인구가 점차 증가하는 '항아리'형 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청장년층 인구 비중이 크고 청년층 감소, 고령인구 증가 등의 인구 변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향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1.2.3. 출생률 및 사망률
구미시의 출생률과 사망률은 다음과 같다.
출생률은 2017년 기준 8.6%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평균 출생률인 8.6%와 동일한 수준이다. 구미시의 출생률은 경북 지역의 출생률 8.4%보다 약간 높은 편이다. 최근 5년간 구미시의 출생률은 약 8.5~9.0% 사이에서 크게 변동하지 않고 유지되고 있다. ""구미시의 출생률은 전국 평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구미시의 사망률은 2017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649.1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평균 사망률 530.8명보다 약간 높은 편이다. 또한 경북 지역의 사망률 635.4명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최근 5년간 구미시의 사망률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구미시의 사망률은 전국 및 경북 평균보다 높은 편이며, 최근 증가 추세에 있다.""
1.2.4. 지역주민의 교육수준 및 결혼상태
구미시의 지역주민의 교육수준은 고등학교 졸업 이상이 84.2%로 가장 많았다"" 이는 전국 평균(84.4%)과 비슷한 수준이다"" 하지만 대학교 졸업자 비율(36.7%)은 전국 평균(41.0%)보다 다소 낮은 편이다"" 이는 구미시의 산업 구조상 제조업이 발달해 왔고 상대적으로 고학력 일자리가 부족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구미시 지역주민의 결혼 상태를 살펴보면, 기혼이 62.7%로 가장 많고, 미혼이 26.5%, 별거 및 이혼은 7.9%, 사별이 3.0%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전국 평균과 비교해 볼 때, 기혼 비율은 약간 낮고, 미혼 비율은 높은 편이다"" 이는 구미시의 젊은 인구 비율이 높고 결혼을 늦추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3. 지역사회 건강수준
1.3.1. 건강행위 양상
구미시의 건강행위 양상은 다음과 같다.
음주율은 64.5%로 매우 높은 편이다. 구미시 주민들의 음주량이 많고 잦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흡연율은 24.8%로 전국 시군구 중 나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흡연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이 15.7개비로 높은 편이다. 또한 비흡연자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