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당뇨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당뇨병 의 정의와 특성
2.1. 제 1형 당뇨병
2.2. 제 2형 당뇨병
3. 당뇨병의 증상과 진단
3.1. 증상
3.2. 진단 방법
4. 당뇨병의 치료와 간호
4.1. 식이요법 및 운동요법
4.2. 약물 요법
4.3. 간호
5. 당뇨병의 합병증
5.1. 동맥경화증
5.2. 당뇨병성 망막증
5.3. 당뇨병성 신증
5.4. 당뇨병성 신경장애
6. 간호과정 사례
6.1. 간호사정
6.2. 간호진단
6.3. 간호계획 및 수행
6.4. 간호평가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한국인 10명 중 1명은 당뇨병이다. 당뇨병 전단계까지 포함하면 10명 중 3명이 당뇨병 환자이거나 잠재적 당뇨인이다. 특히 한국과 같은 아시아에서 당뇨병이 빠르게 늘고 있는데, 2030년에는 우리나라의 당뇨병 환자가 500만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리고 당뇨라는 질병을 사람들이 잘 알고 있는 질병이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당뇨병 환자가 자신이 당뇨병인지도 모르는 경우가 많고, 치료를 하고 있지 않는 당뇨병 환자도 많이 있어 우려를 낳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당뇨병은 특정하게 아프거나 하는 증상이 따로 없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이 당뇨병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한다. 또한 당뇨병을 예방하는 것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식이요법과 운동인데 이 방법들은 평소에 관리 할 수 있는 방법이다.
2. 당뇨병 의 정의와 특성
2.1. 제 1형 당뇨병
제 1형 당뇨병은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이 전혀 분비되지 않아 발생하는 당뇨병이다. 주로 사춘기나 유년기에 발병하지만 성인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제 1형 당뇨병은 유전적 소인이 있는 사람에게 자가면역기전이나 바이러스 감염 등의 환경요인이 가해져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면서 발병한다. 따라서 췌도 특이 자가항체 검사상 양성이거나 인슐린 분비 정도를 측정하여 인슐린 결핍을 확인하면 진단이 가능하다.
제 1형 당뇨병 환자는 인슐린이 전혀 분비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인슐린 치료를 받아야 한다. 적절한 인슐린 치료를 받지 않으면 고혈당이 악화되어 당뇨병성 케톤산증과 같은 급성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 특히 유년기 발병 환자의 경우 저혈당에 취약한 편이므로 혈당 조절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제 1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대부분 마른편이며, 고혈당과 동반된 혈장 및 소변 케톤의 검출이 진단에 도움이 된다. 또한 이들은 당뇨병성 신경장애와 같은 합병증에 더욱 취약하다. 따라서 제 1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철저한 혈당 조절과 함께 합병증 예방을 위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2.2. 제 2형 당뇨병
제 2형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 기능은 일부 남아있지만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상대적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여 발생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당뇨병 환자들은 제 2형 당뇨병에 해당하며, 식생활 및 운동 양상의 변화로 인해 아동의 2형 당뇨병 발병률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제 2형 당뇨병은 초기 비정상적인 문제로 베타 세포의 기능부전에 뒤이은 당 작용의 손상을 보인다. 체내 표적기관의 세포는 인슐린에 의해 자극된 당 흡수에 저항을 보이며, 이로 인해 고인슐린혈증과 인슐린 저항의 특징이 나타나게 된다.
제 2형 당뇨병의 원인은 유전학 및 환경 요인에 있다. 특히 가족력이 있는 경우 확률이 5~10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과체중, 고령,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요인이 작용하여 제 2형 당뇨병이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의 제 2형 당뇨병 환자들은 과체중의 경향을 보이며, 질병 진단 시에도 무증상인 경우가 많다. 다만 일부 환자에서는 다뇨증, 다갈증, 다식증을 보일 수 있지만 1형 당뇨병만큼 전형적이지는 않다. 또한 피로와 잦은 감염을 경험할 수 있으나 케톤산혈증은 동반되지 않는다. 궁극적으로 인슐린을 충분히 생산해내지 못한 베타 세포는 인슐린 부족을 초래하여 고혈당이 나타나게 된다.
제 2형 당뇨병의 치료는 생활습관 개선(비만관리), 경구투약, 주사요법 등이 이루어진다. 우선 체중 관리와 함께 운동요법이 중요하며,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통한 약물요법도 병행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인슐린 주사 치료도 필요할 수 있다. 이처럼 제 2형 당뇨병은 다양한 치료법이 복합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 질병이라고 할 수 있다.
3. 당뇨병의 증상과 진단
3.1. 증상
당뇨병의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뇨증(polyuria)이다. 혈당이 높아지면 신장에서 포도당을 재흡수하지 못하게 되어 삼투압 변화로 인해 소변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자주 소변을 보게 되는 증상이 나타난다.
둘째, 다갈증(polydipsia)이다. 다뇨증으로 인해 체내 수분이 소실되면서 갈증이 유발되어 많은 양의 물을 마시게 된다.
셋째, 다식증(polyphagia)이다. 혈당이 높은 상태에서는 세포 내로 포도당이 원활히 유입되지 않아 에너지 대사가 저하되어 허기감이 계속 유발된다.
넷째, 체중 감소이다. 포도당이 세포 내로 제대로 유입되지 않아 지방과 단백질이 에너지원으로 동원되면서 체중이 감소하게 된다.
다섯째, 시력 장애이다. 고혈당으로 인해 수정체의 수분 함량이 변화하여 시력이 일시적으로 저하되는 증상이 나타난다.
여섯째, 피로감과 권...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하. 조경숙, 현문사
질병의 예방과 관리. 이택구, 계축문화사
아동간호학. 김영혜, 현문사
김명희 외(2015), 성인간호학 Ⅲ, 수문사
2011, 성인간호학Ⅱ, PACIFIC TANK MANUAL 요약집
김문실 외 3(1994), “인슐린 자가주사가 요구되는 당뇨병환자의 교육 프로그램”, 인슐린 자가주사가 요구되는 당뇨병환자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하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viii 105p
편집부(1996). 간호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경희의료원 교육협력 중앙병원 EMR
KIMS 의약정보센터 : http://www.kimsonline.co.kr/
네이버 지식백과
강석만,당뇨병이렇게다스린다, 열린책들, 1999, p53,57,61~64,78,156,160,163,174,191,246,247
김성민 외 20명, 쉽게 배우는 아틀라스 병리학, 의학교육, 2017, p308~311
고창순 외 22명, 전저판 내분비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p337~356
강신명, 당뇨병도 정복할 수 있다. 형설사, 1997, p35,36,52
지식백과 ‘당뇨병’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835&cid=51007&categoryId=51007#TABLE_OF_CONTENT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