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사단칠정논쟁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최초 생성일 2024.12.15
5,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사단칠정논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단칠정 논변의 전개과정
1.1. 사단칠정 논변의 발단
1.2. 퇴계와 고봉의 1차 사칠논변
1.3. 율곡과 우계의 2차 사칠논변
1.4. 퇴계와 율곡의 해석 차이

2. 퇴계와 율곡의 사단칠정론
2.1. 퇴계의 사단칠정론
2.2. 율곡의 사단칠정론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단칠정 논변의 전개과정
1.1. 사단칠정 논변의 발단

사단칠정 논변의 발단은 추만 정지운의 「천명도해(天命圖解)」와 관련하여 시작되었다"이다.

당시 청년 관료였던 고봉 기대승이 퇴계가 확정한 「천명도해」 수정본에 대해 비판하는 글을 보냄으로써 주장과 비판, 재반박으로 이루어진 오랜 논쟁이 시작되었다. 「천명도해」의 "사단은 이에서 발하고 칠정은 기에서 발한다(四端 發於理 七情 發於氣)"라는 부분에 대해 퇴계와 고봉은 서로 다른 입장을 내세웠다.

퇴계는 정지운의 문장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여 "사단은 이가 발한 것이고 칠정은 기가 발한 것이다(四端 理之發 七情 氣之發)"라고 수정했는데, 이는 "정은 기의 영역에 둘 수 없다."라는 일재 이항의 견해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후 6년이 흐르고 고봉의 비판을 접한 퇴계는 1559년에 "사단의 발동은 순수한 리이기 때문에 선하지 않음이 없으며 칠정의 발은 기를 겸하기 때문에 선악이 있다(四端之發 純理故無不善 七情之發 兼氣故有善惡)"로 자신의 입장을 다시 수정하였다.

이에 대해 고봉은 칠정 이외에 사단이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칠정에 사단을 통일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내세우는 서신을 보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퇴계와 고봉의 1차 사칠논변이 전개되었다.


1.2. 퇴계와 고봉의 1차 사칠논변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의 1차 사칠논변은 퇴계의 「천명도해(天命圖解)」 수정본을 둘러싼 견해 차이에서 발발하였다"" 1차 사칠논변의 핵심 쟁점은 정지운의 「천명도해」에 기재된 "사단은 이에서 발하고 칠정은 기에서 발한다(四端 發於理 七情 發於氣)"라는 부분에 대한 해석이었다""

퇴계는 이 문장에 문제가 있다고 여겨 "사단은 이가 발한 것이고 칠정은 기가 발한 것이다(四端 理之發 七情 氣之發)"로 수정하였다"" 이는 정은 기의 영역에 두어서는 안 된다는 일재 이항의 견해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고봉은 칠정 이외에 사단이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칠정에 사단을 통일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내세웠다"" 퇴계는 사단과 칠정이 모두 정이라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소종래와 소주에서의 차이점에 주목하여 구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퇴계는 사단과 칠정을 구별해야 한다는 입...


참고 자료

김기현, 조선조를 뒤흔든 논쟁- 상 , 길, 2000.
金榮洙 讀解, 栗谷의 思想, 일신서적출판사, 1990
민족과 사상연구회, 사단칠정론, 서광사, 1992
성태용, <율곡 이이> 철학과 현실, 1996년
손인수, 율곡사상의 현대적 공간, 도서출판 다문, 1996
이기용, <율곡 이이의 인심도심론 연구> 철학과 현실, 1996년
이상은, 퇴계의 생애와 학문, 예문서원, 1999
윤사순, 논사단칠정서(論四端七情書) 해제 , 한국의 유학사상 , 삼성출판사, 1977
尹用男, 「栗谷 四七論의 現代的 解釋」, ꡔ東洋哲學硏究ꡕ 第19輯, 東洋哲學硏究會, 1998. 12.(pp.121~147)
尹用男, 「愼獨齋 金集의 心情說-栗谷學派의 心情說 展開를 中心으로-」, ꡔ儒敎思想硏究ꡕ, 第15輯, 韓國儒敎學會, 2001. 8.(pp.211~238)
전호근, 「주희 심성론의 한국적 전개를 위한 최초의 갈등」,『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예문서원) 1995
황의동, 「율곡의 철학사상에 관한 연구-理氣之妙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1987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강좌 한국철학 : 사상, 역사, 논쟁의 세계로 초대, 예문서원, 1995.
한국철학사상연구회, 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 예문서원,1995.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