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철근콘크리트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철근콘크리트 구조 개요
1.1. 철근콘크리트의 정의
1.2. 철근콘크리트의 역사
1.2.1. 철근콘크리트의 발견
1.2.2. 우리나라 설계기준 제정 역사
1.3. 철근콘크리트의 성립 이유
1.4.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장단점
1.4.1.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장점
1.4.2.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단점
1.5. 철근콘크리트의 시공과 주의점
1.6. 철근콘크리트의 설계기준
1.7. 철근콘크리트의 설계방법
2. 철근콘크리트 구조 적용 사례
2.1. 건물 사례 선정
2.2. 건물 구조방식
2.3. 역사와 정신
3.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발전
3.1. 철근콘크리트 보강 기술
3.2. 고성능 콘크리트 개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철근콘크리트 구조 개요
1.1. 철근콘크리트의 정의
철근콘크리트는 콘크리트가 힘을 받게 되면 인장 측에 균열이 발생하여 파괴 시 급작스러운 취성파괴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콘크리트 속에 철근을 묻어서 효율적으로 외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만든 구조이다. 즉, 콘크리트는 압축력에는 강하나 인장력, 전단력에는 약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철근을 활용하여 콘크리트의 부족한 부분을 보강함으로써 외력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 것이 철근콘크리트이다.
1.2. 철근콘크리트의 역사
1.2.1. 철근콘크리트의 발견
1860년대 프랑스 정원사였던 조셉 모니에는 쉽게 깨지는 화분으로 늘 골머리를 앓았다. 매번 깨지는 화분으로 적자를 면할 수 없었던 그는 깨지지 않는 화분을 만들기 위해 계속 해서 연구를 거듭하게 된다. 결국 그는 철사 그물과 시멘트로 만든, 아주 튼튼하고 견고한 화분을 개발하게 되고 이 화분을 1867년 파리 박람회에 출품하며 특허를 냈다. 이 화분으로 큰돈을 벌게 된 조셉 모니에는 자신의 화원을 멋지게 개조하게 되는데, 화분에 사용했던 철사 그물 대신 철근을 활용하여 경사진 계단을 만들고, 개울을 가로지르는 다리를 만들게 되는데, 이것이 세계 최초의 철근 콘크리트 공사라고 할 수 있다.
1.2.2. 우리나라 설계기준 제정 역사
우리나라 설계기준 제정 역사는 다음과 같다.
1959년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정 착수 이래로 1961년 최초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가 제정되었다. 이후 1969년, 1978년, 1983년에 콘크리트 표준시방서가 개정되었다.
1989년 처음으로 강도설계법이 도입되었고, 1996년에는 강도설계법으로 전환되어 본문에 수록되었으며, 허용응력설계법은 부록에 수록되었다.
1999년에는 토목과 건축의 통합 설계기준이 제정되었고, 2003년에는 MKS단위에서 SI단위로 개정되었다. 2007년에는 강도감소계수 등 합리적인 설계기준이 개정되었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철근콘크리트 설계기준은 기존의 허용응력설계법에서 강도설계법으로 점차 발전해 왔으며, 국내외 기준들을 참고하여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1.3. 철근콘크리트의 성립 이유
철근콘크리트의 성립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철근과 콘크리트는 온도에 대한 팽창계수가 거의 같다. 콘크리트의 온도팽창계수는 1.0~1.3×10/℃이고, 철근의 온도팽창계수는 1.2×10/℃로 80℃ 이하의 온도변화에서 두 재료 간 서로 다른 변형률이 관측되지 않는다. 따라서 철근과 콘크리트가 함께 거동할 수 있다.
둘째,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강도가 비교적 크다.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에는 강한 부착력이 유지되며, 이형철근을 사용할 경우 부착력이 더욱 증가한다.
셋째, 콘크리트 속에 묻혀있는 철근은 부식되지 않는다. 콘크리트 내부에는 pH 12.5 정도의 수산화칼슘 용액과 약간의 수산화나트륨을 함유한 용액이 존재하여, 철근 표면에 수산화물로 이루어진 얇은 산화피막이 형성되어 부식을 방지한다.
넷째, 구조 하중 부담이 효율적이다. 중립축 상부의 압축력은 콘크리트가 부담하고, 중립축 하부의 인장력은 철근이 부담한다.
다섯째, 내화성이 우수하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피복두께를 통해 화재 시 열의 전도를 지연시켜 내화적 성능이 좋다.
마지막으로, 콘크리트의 강도가 압축강도>휨강도>인장강도 순으로 나타나므로 압축력에 강한 콘크리트와 인장력에 강한 철근이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철근과 콘크리트가 결합된 철근콘크...
참고 자료
1. 한국콘크리트학회, 최신콘크리트공학, 기문당, 1992.
2. 한국콘크리트학회, 콘크리트구조물의 비파괴검사 및 안전진단, 기문당, 1995.
3. 건축시공이야기2 , (주)건설기술 네트워크
4. 건축기술 실무이야기, 삼성물산 건설부문 , 공간예술사
5. 철근 콘크리트조 건축입문, 시공문화사
6. 金鎭根., "콘크리트 균열의 원인", 한국콘크리트학회 학회지 제6권4호, 1994.8, pp.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