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킴벨 미술관 개요
1.1. 프로젝트 개요
킴벨 미술관 프로젝트 개요는 다음과 같다.
1966년부터 설계를 시작해 1972년 완공된 킴벨 미술관은 미국 텍사스주 북부 포트워스에 있는 현대미술관의 하나로, 사업가 Kay Kimbell이 사망한 해에 개인수집품 360점을 기증한 데서 시작되었다. 이후 포트워스시에 의해 대지가 주어지고 킴벨 예술재단이 구성되며 주 정부 기금을 통해 미술관 건립과 작품수집이 계속되었고, 현재까지 미술관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술관은 지하 1층 지상1층 규모의 건물이며, 대지면적 28,445㎡에 연면적은 11,1150㎡다. 콘크리트, 트래버틴을 사용한 노출된 볼트 및 기둥, 볼트 천장과 'ㅅ'자 단면의 반사판 기용 등의 다양한 구조적 표현을 빛과 함께 사용하였다.
1.2. 건축 개요
1.2.1. 위치 및 규모
킴벨 미술관은 포트워스 시내에서 약 2마일 떨어진 복합문화센터지역인 에이몬 카터 지구 공원 내에 위치한다. 공원부지는 세 개의 미술관이 공유하고 있으며, 부지 서쪽의 높은 대지 위에 에이몬 카터 서양미술관이 있다. 킴벨 미술관의 건물 높이는 약 40피트(12m)로 제한되었는데, 이는 시내의 큰 빌딩을 향해 있는 에이몬 카터 서양미술관의 입구, 포치, 테라스 등이 킴벨 미술관의 높이로 인해 시가지로 향한 조망을 막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킴벨 미술관의 대지면적은 28,445㎡이며, 연면적은 11,1150㎡이다.
1.2.2. 구조 및 재료
킴벨 미술관의 구조 및 재료는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 트레버틴을 사용한 노출된 볼트 및 기둥, 볼트 천장과 'ㅅ'자 단면의 반사판 기용 등의 다양한 구조적 표현을 빛과 함께 사용하였다. 구조적 표현으로는 노출된 볼트 및 기둥, 콘크리트 구조 프레임과 트레버틴 infill 구조, 볼트구조에 의한 대칭배치가 있다.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1층의 규모이며, 대지면적 28,445㎡에 연면적은 11,1150㎡이다. 이 중에서도 볼트 천장과 'ㅅ'자 단면의 반사판 기용을 이용하여 미술관의 가장 큰 특징인 자연광을 설계하였다.
볼트라는 기념비적인 형태와 달리 인간적 스케일의 전시실을 갖고 있어, 그림과 작은 규모의 소장품을 관람하기에 적당한 공간을 구성하였다. 외벽과 내벽의 재료는 주로 콘크리트와 이탈리아 대리석인 트레버틴을 사용하여 고전적인 단아함과 현대적인 느낌을 잘 조화시키고 있다.
2. 루이스 칸의 건축 철학
2.1. 질서(Order)
질서(Order)는 칸에게 있어서 건축의 근간이 되는 개념이다. 칸에 의하면 질서는 이미 정해진 것으로, 건축의 모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즉, 질서는 건축 설계의 출발점이자 궁극적인 지향점이라 할 수 있다.
칸은 자연 속에 존재하는 고유한 질서를 건축에 반영하고자 했다. 그에 따르면 자연 세계에는 인간의 미를 이해할 수 있는 조화롭고 솔직한 질서가 존재한다. 이러한 자연의 질서는 변하지 않는 불변의 법칙이며, 건축가는 이를 파악하고 구현해내야 한다고 믿었다.
이처럼 칸에게 있어 질서는 자연의 근본적인 구조를 의미한다. 그는 건축 설계 과정에서 이러한 질서를 바탕으로 작품의 형태와 공간을 정의하고자 했다. 특히 킴벨 미술관의 경우, 반복되는 볼트 구조와 중정 배치 등을 통해 자연의 질서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칸은 질서의 개념에 형태(Form)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건축 설계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그는 형태를 구성요소들의 일정한 관계에 의해 완성되는 본질적인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질서는 형태를 창조하는 근간이 되며, 두 개념은 불가분의 관계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칸에게 있어 질서는 건축 설계의 출발점이자 궁극적인 목표로, 이를 통해 자연과 조화로운 건축물을 구현하고자 했다. 킴벨 미술관의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이러한 질서 개념이 건축 공간 구성과 형태 창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2.2. 형태(Form)
형태(Form)는 칸에게 있어 구성요소들의 일정한 관계에 의해 하나의 완전한 모습으로 창조되는 본질을 의미했다. 즉, 형태란 구성요소들의 어떤 질서를 의미하는 것이다. 칸은 건물의 형태가 영원한 것이며, 변화하는 건축양식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보았다. 형태는 무형적이며 디자인은 완전히 유형적인 것이라고 구분하였다.
칸은 건물의 형태를 설계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