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산화동 접촉불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전기화재의 이해
1.1. 전기화재의 정의 및 특성
1.2. 전기화재의 유형
1.2.1. 과전류에 의한 화재
1.2.2. 단락에 의한 화재
1.2.3. 지락에 의한 화재
1.2.4. 누전에 의한 화재
1.2.5. 접촉 불량에 의한 화재
1.2.6. 절연 열화에 의한 화재
1.2.7. 정전기에 의한 화재
1.2.8. 열적 경과에 의한 화재
1.2.9. 형광등에 의한 화재
2. 전기화재 예방 대책
2.1. 전기설비의 점검 및 관리
2.2. 전기제품의 안전 관리
2.3. 전기화재 경보 시스템 활용
3. 전기화재 발생 시 대응
3.1. 화재 발생 상황 파악
3.2. 초기 소화 활동
3.3. 신속한 대피 및 구조 요청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전기화재의 이해
1.1. 전기화재의 정의 및 특성
전기화재는 전기에 의한 발열이 발화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화재를 말한다. 전기화재는 전체 화재 건수의 약 30%를 차지할 정도로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손실을 가져오고 있다. 전기는 연소의 3요소 중 발화원에 직접 작용하는 경우와 기기의 이상을 가져오는 전기결함 및 합선의 원인이 되며, 초기 발화지점을 추정할 수 있는 판별 기준이 된다.
전기화재는 전기에 의한 발열체가 발화원이 되므로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전압이나 전류의 급격하고 순간적인 증대로 인해 발열과 방열의 평형이 깨지게 되면 발화의 원인이 된다. 또한 단락, 지락, 누전, 접촉 불량, 절연 열화, 정전기, 열적 경과, 형광등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전기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전기화재의 정의 및 특성을 종합하면, 전기화재는 전기에 의한 발열이 발화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화재로, 전체 화재 건수의 30%를 차지할 정도로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손실을 가져오는 매우 중요한 화재 유형이라 할 수 있다.
1.2. 전기화재의 유형
1.2.1. 과전류에 의한 화재
과전류에 의한 화재는 전압이나 전류의 급격하고 순간적인 증대로 인해 발생한다.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줄의 법칙에 의해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과전류에 의해 발열과 방열의 평형이 깨지게 되면 발화의 원인이 된다. 예를 들어 낙뢰가 있으면 전력선에 과전류가 흘러 전기 제품이 파손될 염려가 있다.
정격 부하보다 큰 부하가 접속되거나 베어링의 불량 또는 구동부가 고장, 단상전동기의 구동용 장치의 기능불량 등의 경우에 코일 자체에서 발화해 내부로 갈수록 심하게 탄 흔적이나 층간 단락이 일어나기도 한다. 또한 코드선 등에 허용전류를 초과하면 코드선 전체에 이상발열 후 발화되어 배선전체가 소손될 수 있다.
이처럼 과전류가 흐르면 도체 내에서 줄열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주변의 가연성 물질에 불이 옮겨붙어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과부하 방지, 정기적인 전기 설비 점검 등의 예방대책이 필요하다.
1.2.2. 단락에 의한 화재
단락에 의한 화재는 전선의 두 부분이 어떠한 이유 때문에 저항이 적거나 없는 상태에서 접촉하는 것으로, 즉 합선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때 저항이 거의 0이 되기 때문에 옴의 법칙에 의해 순간적으로 엄청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가전제품은 모두 자체적으로 저항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거치지 않고 허용 용량 이상의 전류가 전선에 흘러 순간적인 폭발과 발열로 인한 전선이 녹고 주변 물질에 불이 옮겨 붙어 화재가 발생하는 것이다. 전선 피복이 벗겨지거나 못 등을 박을 경우, 중량물의 압력이 가해지게 되면 전류가 전선에 연결된 전기기기 쪽 보다 저항이 적은 부분으로 집중적으로 흐르게 된다. 화재발생장소에서 배선 등의 충전부에 작고 치밀하면서 광택이 있는 1차흔과 융해 범위가 넓고 광택이 없는 2차흔으로 구별되게 나타난다.
1.2.3. 지락에 의한 화재
지락이란 단락전류가 대지로 통하는 것을 말한다. 전선이 끊어져 땅의 지면이나 지면에 흐르는 전류를 지락전류라 한다. 지락전류가 땅에 심어진 나무 등과 만나면 화재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만약 이 전선이 금속체 등에 지락되는 경우에는 스파크에 의해 발화되기도 한다.
전기계통 중 대지와 접지되어 있는 부분에 누설전류가 흐르게 되면 이를 지락이라 한다. 이러한 지락전류가 흐르는 경로를 통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선이 파손되어 땅에 닿게 되면 지락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 전류가 주변 가연물을 가열하여 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누전차단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지락전류로 인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지락에 의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전기설비의 접지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노후 전선이나 배선의 절연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누전차단기를 정기적으로 테스...
참고 자료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제23권 제1호,2009년 “전기화재원인분류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안 제시”(이종호,김두현,김성철)
소방학개론(제6판),저자 전국대학 소방학과 교수협의화, 출판 동화기술,2023.03.10.
인터넷 brunch story 사이트/ 데일리.Jun 11.2019 정전기로 불이 날 수 있나?
https://poo318.tistory.com/101
https://belief137.tistory.com/17433039
https://seochoelite.tistory.com/233
https://www.kci.go.kr/kciportal/main.kci
화학실험편찬위원회, 『일반화학 실험』, 단국대학교 출판부, 2017, p.117~12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51106&cid=40942&categoryId=3225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4043&cid=58949&categoryId=58982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4087&cid=58949&categoryId=58982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94053&cid=60289&categoryId=60289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123502&cid=60409&categoryId=67305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123704&cid=60409&categoryId=67305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09796&cid=42420&categoryId=4242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95064&ref=y&cid=40942&categoryId=32259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39346&cid=40942&categoryId=32372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41288&cid=60217&categoryId=60217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53259&cid=42326&categoryId=42326
전기화재공학, 최충석, 지우북스, 2019.02
최신 전기화재 감식공학, 김만건, 김진표, 성안당, 201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