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농산물 직거래 현황 및 정책 방향
1.1. 각국의 농산물 직거래 유통 비교
1.1.1. 미국
미국은 1976년 제정된 「농산물 직거래법」을 기초로 행정적·재정적으로 농산물 직거래를 지원하고 있다. 「농산물 직거래법」은 농산물 직거래 정의, 직거래 현황 조사, 주(州)정부의 농산물 직거래 지원 방안, 농민시장 진흥 프로그램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농민시장 진흥 프로그램'은 직거래 농산물의 소비 촉진, 농업인 교육, 직거래 시설물 구입 등에 농협, 지방정부, 비영리단체 등에 보조금을 지원하는 정책이다. 미국은 또한 영양프로그램, 농산물 마케팅 프로그램, 마을시설 지원 프로그램 등을 연계하여 농산물 직거래를 지원하고 있다. 미국은 소농의 판로확대, 농촌개발, 취약계층에 대한 식품지원 등의 관점에서 농산물 직거래를 추진하고 있으며, 2007년 기준 농산물 직거래 판매액은 전체 농산물 판매액의 0.4% 수준이다.
1.1.2. 일본
일본에서는 지금 안전·안심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농업인들은 안전하고 믿을 만한 농산물을 생산하고, 소비자들도 생산이력이 있는 신선한 농산물을 더 많이 찾고 있다. 일본의 파머스마켓은 생산농가가 직접 가격을 매겨서 매대에 진열하고 판매한다. 아침에 수확해 바로 판매장으로 가져온 농산물이다. 파머스마켓에서 판매하는 농산물은 생산자와 생산이력이 기록돼 있다. 일본에는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해주는 직거래가 활성화돼 있다. 직거래에는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가와 신선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비싼 값을 주더라도 사 먹겠다는 소비자 상호간의 신뢰가 바탕에 깔려 있다. 일본의 파머스마켓은 농협이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시켜주는 경우도 있고, 미즈호노무라처럼 개인이 뜻을 갖고 상설 직거래장터를 마련한 경우도 있다. 이러한 직거래 활성화를 통해 생산농가는 높은 가격을 받고, 소비자들은 낮은 비용으로 고품질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1.2. 우리나라의 농산물 직거래 방향 및 정부의 정책
우리나라의 농산물 직거래는 1990년 초기 까지 중간도매, 소매상을 통한 거래 및 대형 판매장에서의 2차 납품이 대다수를 차지 해왔다. 그러나 교통, 택배시스템, 인터넷 등의 발달로 인해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