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보웬의 다세대 정서체계 가족치료 모델이 가계도 분석을 통해 가족에게 통찰을 제공한다면, 경험적 가족치료 모델에서 가족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지 비교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
2.1. 보웬의 다세대 정서체계 가족치료 모델
3. 경험적 가족치료 모델
3.1. 경험적 가족치료의 이론적 배경
3.2. 경험적 가족치료의 목표와 가족에게 제공하는 요소
3.3. 경험적 가족치료 모델 치료기법
4. 경험적 가족치료 모델과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 비교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전통적인 가부장적 가족제도에서 개인 중심의 핵가족제로의 과도기적 상황에서 한국 가정은 가치와 규범의 혼란으로 인해 다양한 갈등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의 자기 성장과 함께 가족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경험적 가족치료 모델은 우리나라 가족 문제 해결에 유익한 접근이 될 것이다. 경험주의 접근법의 주요 기여는 무엇보다도 각 가족 구성원과 가족의 전반적인 발전을 통한 성장에 대한 강조이다. 인생은 고통스럽고 인간관계는 힘든 일이지만 소통과 창의성, 책임감을 통해 개인은 분리되고 동시에 소속감도 크다. 경험적 가족치료의 주요 인물로는 휘태커, 사티어 등이 있다. 이들은 치료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경험을 중시하고 치료사 및 가족과의 개인적 관여가 치료적 변화를 촉진할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둘은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휘태커의 경우 개인적인 만남이 강조됐고, 사티어는 인간관계를 형성하도록 돕는 것이 무엇보다 인간의 성장 과정에서 경험의 실천이라고 주장하며, 치료사가 가족의 성장을 도와야 한다는 성장 모델을 강조한다. 따라서 본 리포트에서는 경험적 가족치료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경험적 가족치료 모델이 가족에게 제공하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2.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
2.1. 보웬의 다세대 정서체계 가족치료 모델
보웬의 다세대 정서체계 가족치료 모델은 가족 구성원들을 생동하는 유기체로 보고, 가족원 가운데 포함된 개인들의 변화가 가족 구성원 전체의 정서적 과정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역사적, 다세대 틀로 분석하면 이해하기 쉽다는 것이 그의 핵심 주장이다.
보웬의 제자인 커(M. Kerr), 게린(P. Guerin) 등에 의해 지속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며 발전해온 이 이론은 다세대 정서 과정을 이해하고 자기분화를 촉진하는 데 치료 목표를 두고 있다. 주요 개념으로는 삼각관계, 자기분화, 가족 투사 과정, 정서적 단절, 핵가족 정서 체계, 다세대 전수 과정, 형제위치, 사회정서 과정 등이 있다.
이 모델의 핵심은 가족의 정서적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치료하는 데 중요한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가족 구성원 간의 정서적 연결과 갈등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며, 특히 가계도를 통해 가족의 역동성을 시각적으로 ...
참고 자료
김혜영 (2005). ""다세대 가족치료와 경험적 가족치료의 비교.""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2(3), 45-67.
박정미 (2010). ""가계도 분석을 통한 가족 치료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1), 89-112.
정형수, 가족 상담 및 가족치료, 진흥 원격평생교육원 교안.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62841&docId=5673724&categoryId=62841
https://blog.naver.com/sesikool/223146835311
네이버 지식백과, 가족치료,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정형수, 가족 상담 및 가족치료, 진흥 원격평생교육원 교안.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62841&docId=5673724&categoryId=62841
https://blog.naver.com/sesikool/223146835311
네이버 지식백과, 가족치료, 심리학용어사전, 201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