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 담낭, 췌장의 구조와 기능
1.1. 간의 구조와 기능
1.1.1. 간의 구조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선 장기이며, 정상 성인의 간 무게는 약 1,500g 정도이다. 간은 오른쪽 횡격막 아래에 위치하여 위를 덮고 있다. 겸상인대에 의해 우엽과 좌엽으로 나뉘며, 우엽의 후면과 하면은 작은 미상엽과 방형엽으로 되어있다. 간문은 미상엽과 방형엽의 경계부분으로 간으로 출입하는 혈관, 신경, 림프관 등이 지나간다.
간의 기능단위인 간소엽은 간의 좌우 각 엽에 5-10만 개가 있다. 각 간소엽은 길이가 1-2mm 정도의 가늘고 작은 구조로, 중심정맥을 축으로 하여 간세포가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간소엽 사이의 결체조직을 통해 혈액과 담즙이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 간소엽 내의 담관을 따라 간에서 생성된 담즙이 총담관을 거쳐 십이지장으로 유입된다.
간의 혈액순환은 문맥계를 통해 이루어지며, 분당 1,100ml 정도의 정맥혈이 간문정맥을 통해, 400ml의 동맥혈이 간동맥을 통해 간으로 들어온다. 동맥혈은 산소를 공급하고, 정맥혈의 영양소는 대사와 저장 과정을 거치며 독성물질은 해독된다. 간세포 중 문맥에 가까운 부위는 산소와 영양소가 풍부하지만, 중심정맥 주변부는 상대적으로 영양이 부족하여 손상에 더 민감하다.
1.1.2. 간의 기능
간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며,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간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의 대사 기능을 수행한다. 간은 포도당의 완충작용으로 혈당 유지에 기여하며, 다량의 혈중 포도당을 당원(글리코겐)으로 저장하였다가 필요 시 다시 포도당으로 전환시킨다. 이를 "당원분해"라고 한다. 또한 혈중 포도당 농도가 낮아지면 간은 아미노산을 포도당으로 전환시키는 "당원신생" 작용을 한다.
단백질 대사에 있어서 간은 단백질 이화작용을 통해 아미노산을 열량 공급원으로 사용할 때 발생하는 암모니아를 요소로 전환하여 해독한다. 또한 간은 알부민, 응고인자 등의 단백질을 합성한다. 알부민은 혈관 내액의 삼투압 유지에 필수적이며, 알부민이 저하되면 부종이 발생한다.
지방 대사 측면에서 간은 탄수화물과 단백질로부터 지질을 합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렇게 생산된 지질단백은 혈류를 통해 운반되어 지방조직에 저장된다. 또한 간은 콜레스테롤, 인지질 등을 합성한다.
간은 다양한 약물과 호르몬을 해독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해독되지 않은 물질은 인체 조직이나 기관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다.
간에서는 담즙이 생성되어 분비되며, 이 담즙은 소화 과정에서 지방을 유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담즙산염은 지방의 소화와 흡수를 돕고,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에도 관여한다. 또한 담즙산염은 간에서 15-20회 재순환한다.
마지막으로 간은 혈액, 비타민, 철분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간은 다량의 혈액을 저장하고 있어 출혈 시 이 혈액이 유리되어 순환혈류량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당원, 수용성 및 지용성 비타민, 철분 등을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 시 공급한다.
즉, 간은 인체의 대사, 해독, 배설, 저장 등 매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핵심 장기라고 할 수 있다.
1.2. 담낭의 구조와 기능
1.2.1. 담낭의 구조
담낭은 7~10cm 정도의 서양배 모양의 기관으로, 간의 아래쪽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해 있다. 담낭에서 나온 담낭관은 간의 간관과 합쳐져 총담관을 이룬다. 총담관의 담즙은 Oddi 괄약근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들어간다.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은 담낭에 저장되었다가 이 괄약근이 수축하거나 이완될 때 십이지장으로 들어간다.
1.2.2. 담낭의 기능
담낭은 담도계의 중요한 조절기관으로 담즙의 농축, 저장, 배설을 조절한다. 담낭은 50~75mL의 담즙을 저장할 수 있으며 간세포에서 하루 600~1000mL의 담즙을 생산한다.
담낭의 중요한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담즙의 농축과 저장이다. 간세포에서 생성된 담즙이 담낭으로 유입되면 담낭점막이 물과 전해질을 흡수하여 담즙을 5~10배로 농축시킨다. 이렇게 농축되고 저장된 담즙은 필요할 때 배출되어 소화에 도움을 준다.
둘째, 담즙배설 조절이다. 지방이 소장에서 소화될 때 장점막에서 CCK(cholecystokinin)라는 호르몬이 분비된다. CCK는 혈류를 통해 담낭으로 이동하여 담낭벽의 평활근을 수축시키고 Oddi 괄약근을 이완시킨다. 이에 따라 농축된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배출된다. 미주신경의 자극도 담낭 수축을 도와 담즙배설을 촉진한다. 또한 십이지장과 공장에서 분비되는 secretin이라는 호르몬은 간의 담즙배설을 약하게 자극한다. 이처럼 다양한 호르몬과 신경작용이 담즙의 배설을 조절한다.
이처럼 담낭은 담즙의 농축과 저장, 그리고 배설 조절을 통해 소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1.3. 췌장의 구조와 기능
1.3.1. 췌장의 구조
췌장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췌장은 위와 십이지장 가까이에 있으며 십이지장에 가까운 두부, 위의 안쪽에 있는 체부, 비장쪽에 있는 마부로 이루어져 있다. 성인의 경우 췌장의 길이는 약 14cm 정도이다. 췌장관은 총담관과 함께 바터 팽대부를 통해 십이지장으로 이어져 있다.
1.3.2. 췌장의 내분비 및 외분비 기능
췌장의 내분비 및 외분비 기능은 다음과 같다.
췌장은 내분비 기능과 외분비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기관이다. 내분비 기능은 랑게르한스섬에서 인슐린을 생성하여 분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