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위쳇"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알리페이 결제 시스템
1.1. 알리페이 탄생 배경 및 개요
1.1.1. 제3자 결제 시스템
1.1.2. 계좌 개설 방법
1.1.3. 결제 및 사용법
1.1.4. 전망 및 의의
1.2. 알리페이를 통한 무역결제
1.2.1. 알리페이란
1.2.2. 에스크로 결제방식
1.2.3. 알리페이의 특징
1.3. 알리페이 시장 현황
1.4. 알리페이 경쟁자 분석
1.4.1. 위챗페이
1.4.2. 시장비교
1.4.3. 특징과 기능
2. 모바일 메신저 시장의 성장과 네이버 라인(LINE) 마케팅 전략 분석
2.1. 모바일(인스턴트) 메신저(MIM) 서비스
2.2. 글로벌 모바일 메신저 네이버 라인(LINE)
2.3. 네이버 라인 SWOT 분석
2.4. 네이버 라인 4P 분석
2.5. 네이버 라인의 경쟁기업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알리페이 결제 시스템
1.1. 알리페이 탄생 배경 및 개요
1.1.1. 제3자 결제 시스템
제3자 결제시스템인 알리페이, 페이팔 등은 개인이 은행계좌나 신용카드를 알리페이 혹은 페이팔 서비스 계정(계좌)에 등록하여 전자상거래 웹사이트에서 물건 구매시 결제할 때 사용하는 전자지갑 서비스이다. 알리페이의 제3자 결제시스템은 결제 직후부터 물품 배송 기간 동안 구매대금을 보유하고 구매자가 물건 수령을 확인한 후에 판매자에게 구매대금을 전해주는 '에스크로 플랫폼(Escrow Platform) 역할'과 제휴 은행 계좌로 알리페이 금액을 충전한 후 온/오프라인 상점에서 제품/서비스를 구매하는 '현금(Cash) 역할'을 한다. 알리페이는 모바일 전자지갑 앱을 제공하므로 온/오프라인 일상에서 쉽고 편리하게 이용가능하다.
1.1.2. 계좌 개설 방법
외국인(한국인 유학생)이 알리페이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1st Step로 알리페이 계정을 임시 개설하고 실명 인증 절차를 거친다. 알리페이 실명인증센터에 여권 사본과 중국 입국허가 비자 사본을 제출한다.
2nd Step에서는 중국 현지 알리페이 제휴 은행 중 한 곳의 계좌를 개설한다. 이 경우 공상은행 계좌를 개설할 수 있는데, 외국인도 여권만으로 간단히 개설이 가능하다. 여권의 성명과 통장의 성명이 일치해야 한다.
3rd Step에서는 중국 현지 통신사에서 개인 휴대전화번호를 개설한다. 통신사 가입자명도 여권 본인 성명과 일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알리페이 실명인증센터의 심사와 승인을 받게 된다. 본인 소유의 계좌 정보와 전화번호 가입 정보가 확인되면 실명인증이 완료된다.
이처럼 알리페이 계정을 개설하기 위해서는 여권, 중국 은행 계좌, 중국 현지 전화번호 등 다양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는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중국 상거래 시장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다.
1.1.3. 결제 및 사용법
알리페이의 결제 및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는 알리페이 계정을 충전하는 것이다. 알리페이 계정 개설 후 웹사이트나 모바일 앱을 통해 본인 소유의 은행 계좌나 신용카드로 원하는 금액을 충전할 수 있다. 충전 시 본인 인증을 위해 성명, 여권 번호, 카드번호, 휴대폰번호 등의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충전 완료 후 충전 내역은 알리페이에 등록된 이메일로 전송된다.
두 번째 단계는 오프라인에서 알리페이를 사용하는 것이다. 알리페이 앱을 열어 본인의 QR코드를 점원에게 보여주면 해당 코드를 스캔하여 결제가 완료된다. 이때 결제 내역과 할인 금액 등이 모바일 내역에 확인된다.
세 번째 단계는 모바일 앱에서 간편하게 알리페이를 재충전하는 것이다. 앱에서 원하는 금액을 입력하고 연동된 은행 계좌나 신용카드로 결제하면 휴대폰으로 인증번호를 받아 입력하면 충전이 완료된다.
이처럼 알리페이는 간단한 결제 절차와 다양한 결제 채널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수수료 무료, 다양한 프로모션 등의 혜택으로 사용자의 알리페이 이용을 독려하고 있다.
1.1.4. 전망 및 의의
알리페이는 수수료 0원으로 회사 수익은 적지만 개인 라이프스타일 데이터가 알리바바그룹을 견인하는 기폭제 역할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윈(알리바바그룹 회장)은 2000년 알리바바닷컴을 시작으로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을 재패하는 알리바바그룹을 세우는데 있어 타오바오닷컴과 알리페이가 알리바바의 성장 기폭제 역할을 했다고 말한다.
특히 알리페이는 알리바바 전자상거래 서비스 운영과 더불어 가품과 물품 분실 사고가 빈번한 중국 상거래 시장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개선하는 '해결자'로 부상하였다. 2003년 출시 이후 약 10여년 간 서비스를 개선해오면서 알리페이 사용자는 더욱 늘어나고 그들의 성공요인은 하나로 꼽을 수 없을 만큼 발전하고 있다. 신용, 안전, 간편, 무료, 폭넓은 혜택, 중소도시 소비자를 고려한 현지화 등 알리페이 서비스는 더욱 견고해지고 있다.
알리바바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기폭제 역할인 알리페이의 사용처는 온라인 물품 결제를 넘어 중국 소비자의 모든 일상 공간으로 확산되고 있다. 거래 범위와 규모 증가가 알리페이의 핵심일까? 아니다. 알리페이 결제 데이터가 보여주는 소비자 빅데이터는 다가오는 O2O 전자상거래 시대에 알리바바가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핵심 자원으로 이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1.2. 알리페이를 통한 무역결제
1.2.1. 알리페이란
알리페이란 중국의 알리바바 그룹이 서비스하는 제3자 온라인 결제 플랫폼이다. 알리페이는 신용카드나 온라인 계좌이체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제3자 담보 형식의 에스크로 결제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알리페이는 매도인과 매수인 사이의 결제 중개업자 역할을 수행하는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다.
알리페이는 2003년 5월 알리바바닷컴이 타오바오(C2C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출시하면서 함께 처음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당시 중국 C2C 시장에서는 이베이 이취가 독보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었지만, 알리바바는 타오바오 판매자에게 낮은 수수료와 구매자에게는 자유 흥정과 물품 배송 보장을 제공하는 알리페이 서비스를 통해 단기간에 큰 성장을 이루었다. 5년 만에 시장점유율 8%에서 59%로 끌어올리며 이베이 이취를 제치고 1위로 올라섰다.
알리페이의 핵심은 에스크로 결제 방식이다. 구매자가 결제한 대금을 배송 확인 전까지 보관하고 있다가 배송 완료 후 판매자에게 지급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구매자는 배송 전 상품을 확인할 수 있고, 판매자는 대금 지급을 보장받을 수 있어 거래의 안전성이 높아진다. 또한 알리페이는 사용자 계좌와 연동되어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간편한 결제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1.2.2. 에스크로 결제방식
에스크로 결제방식은 매도인 및 매수인이 각각 양도증서, 대금을 중립적인 에스크로 에이전시에게 예탁함으로써 양도증서인도채무와 대금지급채무와의 동시이행을 확실히 하는 기능을 갖는다. 에스크로 서비스를 통하여 매도인은 매수인의 물품대금이 입금된 것을 확인한 후에 배송을 하므로 대금 지급을 완벽히 보장받을 수 있고, 거래의 안전성을 토대로 시장 개척을 통해 매출 증대를 노릴 수 있다. 매수인은 에스크로 서비스를 통하여 대금 지급 전 물품을 검수할 기회가 있어 상업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결제 과정을 에스크로 에이전시가 도맡아 하므로 그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2.3. 알리페이의 특징
알리...
참고 자료
반빙청,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of Chinese Third-Party Payment Platform 'AliPay」, 동국대학교 대학원: 경영정보학과 (2017. 2), 17p~19p
platum(startup’s story platform), 「알리페이와 위챗페이 그리고 사회주의 … 중국 공유 경제를 이끄는 힘」, 2017,07,17
platum(startup’s story platform), 「핀테크의 나라 중국, 알리페이-위챗페이 연간거래액 3,275조 원 넘어」 2017.04.25
윤광운, 「무역실무」, 탑북스(2016.08.30.)
최권수, 「A PLUS 무역실무」, 로그인네트윅/세학사 (2014.05.22)
네이버 IR, 2014.04
네이버 기업분석, IBK투자증권, 2014.02.07
네이버 기업분석, IBK투자증권, 2014.02.07
스마트폰 이용자의 성별· 연령별 이용현황에 대한 연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11
글로벌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경쟁 전략 및 전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3.09
한.미.일 스마트폰 보급률과 데이터 매출 비중 비교, 이트레이드 증권, 2012.09.11
브랜드스탁
NHN엔터 일본 웹툰 시장 출사표…네이버와 정면 승부 불가피, 전자신문, 2014.04.08
네이버 ‘라인’ 가치평가 수준 와츠앱 2배 이상, 경향신문, 2014.04.07 [주간SNS동향] 라인 가입자 4억명, 블로터닷넷, 2014.04.06 웹툰 시장 커진다, 카카오도 합류, ZDNetKorea, 2014.04.06 카카오톡 vs 라인, 오프라인에서도 캐릭터 상품으로 한판 승부, 이투데이, 2014.04.04 "라인, 연내 5억명"…네이버 '지구촌 빅뱅' 이제 시작, 한국경제, 2014.04.04 '다시 벤처처럼'…네이버, 가볍고 빠른 조직으로 개편, 연합뉴스, 2014.04.04 네이버, 右라인, 左밴드 날개달고 모바일서도 꿈틀, 헤럴드경제, 2014.04.03
네이버 '라인 웹툰' 미국·중국 간다, ZDNetKorea, 2014.04.03 디지털에 밝은 50대 중년층 증가… 메신저·SNS 이용률 상승, 이버즈, 2014.03.28
라인 게임, 글로벌 3억 다운로드 돌파로 흥행예감, 아시아투데이, 2014.03.26 `라인, 너 얼마니?`..몸값 산정 세가지 방식, 비즈니스워치, 2014.03.24 "모바일 메신저 하느라 바빠요" 청소년 4명중 1명 스마트폰 중독, 서울경제, 2014.03.24 모바일게임 세계화? '라인'에 물어봐!, 머니투데이, 2014.03.20 공정위, '카카오' 시장지배적지위 남용 조사하나, 뉴스토마토, 2014.03.20 모바일 게임 플랫폼 시장 "이보다 더 뜨거울 순 없어", 서울경제, 2014.03.17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 인기 힘입어.. 네이버 라인 이용자 크게 늘어..., 국민일보, 2014.03.04 천송이가 콕콕 누르자 … 네이버 라인 하루 다운로드 60만 건, 중앙일보, 2014.03.04 네이버 '라인' 기지개 펴나…국내 사용자 1000만명 돌파, 미디어잇, 2014.02.26 네이버 라인, ‘라인 콜’ 등 3종 서비스 공개, 디지털데일리, 2014.02.26 페이스북도 뛰어든 메신저시장, 라인·카톡은 어쩌나, 이데일리, 2014.02.20
라인 덕본 네이버 4Q 실적 예상보다 좋아…질적 성장에 초점, 조선일보, 2014.02.06 [컨콜] 네이버 라인 일본 매출 비중 "80% 이상", 아이티투데이, 2014.02.06 네이버 “라인, 올해 마케팅 비용 전년수준…흑자전환도 가능”, 디지털데일리, 2014.02.06 Mobile Use Grows 115% in 2013, Propelled by Messaging Apps, Flurry Blog, 2014.01.13
네이버 ‘라인’, 무료통화하면 항공권 지원하는 ‘라인 247 골든티켓’ 이벤트 진행, 이투데이, 2013.12.26 런닝맨 인형 캐릭터 어디서 봤다 했더니…네이버 ‘라인’ 캐릭터들, 뉴스웨이, 2013.12.23 2013년 스마트폰 보급률과 시장현황, 방송통신위원회, 2013.12.23
라인, 모바일 오픈마켓 ‘라인몰’ 오픈, 블로터넷, 2013.12.22
모바일 '절대권력' 카톡vs라인..최후 승자는 누가, 이데일리, 2013.05.18 NHN, 한게임 '분할 이유있었네'…작년 매출 5%↓, 뉴스1, 2013.02.07 도브투래빗, 명동을 사로잡다…‘라인(LINE)’ 크리스마스 프로모션 실시, 뉴스와이어, 2012. 12.27
임재명(2014), 모바일 메신저 기업의 자원과 전략에 대한 비교연구 : 카카오톡(KakaoTalk), 라인(Line), 챗온(ChatON), 조인(Joyn)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윤세훈(2013),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사용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효명(2018), 모바일 메신저 위챗(Wechat)의 고유 캐릭터 개발에 관한 연구 -카카오프렌즈 사례 벤치마킹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동아일보(2017,08,10), [메 vs 신 vs 저] 3. 무료 음성 통화와 메신저의 부가 기능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2015), ICT 시사상식 조선일보(2017,06,15), 모바일 메신져 '라인' 한층 진화된 기능·서비스 도입...'폰 안에서 모든 것 연결'
보안뉴스(2018,08,10), 왓츠앱에서 발신자와 메시지 조작 가능케 하는 취약점 나와
연합뉴스(2017,08,01), 잇단 테러당한 英, 왓츠앱 등에 "해독 불가한" 암호화 중단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