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제주 감귤 현황과 제주 감귤 치즈
1.1. 감귤의 현황
1.1.1. 감귤의 현황
감귤은 제주도 전체 농가의 85%를 차지하고 경작면적은 여의도의 26배에 달하며, 일명 '대학나무', '제주의 어머니'라 불리며 제주를 상징하는 대표 작물이다. 그리고 년간 총체적 가치가 1조 627억원에 달하는 제주의 생명산업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처럼 감귤은 제주도에서 매우 중요한 작물이며, 제주의 상징적인 존재로 자리 잡고 있다.
1.1.2. 생산현황
우리나라 감귤의 적정 생산량은 60만톤 정도라고 알려져 왔으며, '07년 재배면적은 전년과 비슷한 21.476ha이었다. 노지 재배면적은 다소 감소하는 추세이나, 시설재배분(비가림)과 한라봉의 재배면적 증가로 전년 대비 0.4% 증가하였다. 수익성이 떨어지는 노지감귤은 만감류인 한라봉으로 작목전환과 비가림 재배면적 증가가 이루어졌다. '07년 생산량은 전년대비 15.05% 증가한 716천톤으로 예상되었다. 개화기 일기 양호로 착과 상태가 좋았으며, 태풍이 있었지만 낙과 피해가 거의 없어 생산량이 약 15% 정도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1.1.3. 가공품 산업 현황
제주 감귤 가공품 산업 현황은 다음과 같다.
제주감귤 초콜릿은 제주도의 청정지역에서 재배된 감귤만을 원료로 하여 체계적인 공정 System에 의해 제주만의 특별한 초콜릿을 생산하고 있다. 제주감귤초콜릿은 현재 제주도 내 토산품 및 면세점, 특급호텔, 대형마트, 편의점, 쇼핑몰 등에서 가장 인기 있는 관광기념품이 되었으며, 타지방 유명백화점 등에서도 제주도의 유명 관광기념품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또한 대만 수출을 시작으로 중국, 일본 등지로 본격적인 수출을 준비하고 있다.
제주감귤 과실주는 제주도 한백(주)에서 생산하고 있다. 제주도내 엄선한 감귤과 제주도 화산암반수를 이용하여 특화된 제조방법으로 6개월간 발효, 숙성하여 만든다. 알코올도수 13%로 가볍고 부담없이 기분 좋게 마실 수 있으며, 피부미용, 피로회복 및 스트레스 해소에 좋은 비타민C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또한 감귤의 수집 및 건조 시스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무인 자동 수집 장치 개발, 물세척 및 회전 건조 장치 개발, 비파괴 내부품질 선별기 개발, 자동 포장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해 감귤의 수집, 세척, 선별, 포장 등의 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
이처럼 제주도는 감귤을 활용한 다양한 가공품 산업을 육성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감귤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제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1.2. 기기 장치
기기 장치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덤핑기는 일정한 힘에 의해 감귤이 선과기에 투입됨으로써 수작업 때보다 상처가 발생량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일일이 수작업에 의존하던 컨테이너 감귤을 선과기에 투입하는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고령화에 접어든 농촌인력투입이 감소되며, 인건비 절감 효과가 있다. 무인 오토덤퍼기를 사용함으로써 시간과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협소한 곳에도 설치가 가능하고 기존 어느 선과기에도 연결 및 사용이 가능하다.
세척기는 기존 감귤 선별기와 연결되도록 제작되어 세척 후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농약잔류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감귤의 광택을 내며, 상부 고정 브러쉬와 하부 회전 브러쉬에 의한 마찰 작용으로 완벽한 세척률을 발휘한다. 감귤의 손상이 전무하여 고품질로 소득증대 효과가 있으며, 시간당 세척능력은 약 2000개 이상이다.
비파괴 선별기는 근적외선을 과일에 투과시켜 과일 내부 품질에 관한 정보를 스펙트럼으로 읽어 컴퓨터상에서 계산하여 과일에 대한 당, 산도 등을 측정한다. 기존 크기만 판별하던 드럼식 선별기와 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