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세계화와 민주주의의 관계
2.1. 세계화와 민주화
2.2. 세계화의 긍정적 영향
2.3. 세계화의 부정적 영향
3. 정치효능감과 정치 관심도
3.1. 정치효능감의 개념
3.2. 정치 관심도의 개념
3.3. 정치효능감과 정치 관심도의 관계
4. 정치효능감이 정치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
4.1. 연구 가설
4.2. 변수 측정 및 조작화
4.3. 연구 방법론
5. 실증 분석 결과
5.1. 기술통계 분석
5.2. 회귀분석 결과
6. 결론 및 논의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국정농단 사태, 조국 사태 등 한국 사회를 둘러싼 떠들썩한 사건은 정치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급격하게 증가시켰다. 하지만 시장조사 전문기업 트렌드모니터의 통계조사에 따르면 2018년 정치에 대한 관심이 다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정농단 사태와 탄핵정국 등으로 한동안 요동쳤던 정치권이 지난 대선 이후 어느 정도 안정화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이처럼 사회를 들썩이게 하는 화젯거리가 몰고 온 정치에 대한 일시적인 관심 외에 무엇이 정치적 관심에 영향을 주는 것일까? 이 글에서는 정치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계기로 정치효능감에 주목한다. 정치효능감은 정치과정에서 본인의 행동이 정치에 얼마나 의미 있는 영향을 주는지를 보여주는 주관적인 지표다. 따라서 정치효능감이 정치 관심도에 영향을 주었던 사례를 살펴보고, 전반적인 국민의 정치효능감 상승이 정치 관심도의 상승을 가져오는지를 검정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직후 실시된 유권자 정치의식조사 데이터를 활용할 것이다.
2. 세계화와 민주주의의 관계
2.1. 세계화와 민주화
UN, OECD, WTO와 같은 초국가적 조직과 체제는 개별 국가들로 하여금 타국에 대한 상호의존을 높이게 만들었고, 각 국가의 민주주의 수준을 세계적 기준에 맞추도록 기여했다. 이는 세계화가 민주화를 촉진하는 데 기여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국가 간의 상호의존성이 증가함에 따라 국가들이 다른 국가들의 행위에 취약하게 되었고, 이는 정치체제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세계화는 세계 국가의 권위주의적 속성을 약화시키고, 영토국가에 한정되었던 시민의 주권을 확장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처럼 세계화는 민주주의 가치와 제도의 확산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세계화가 모든 국가에서 민주주의를 확산시키는 것은 아니며, 국가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2.2. 세계화의 긍정적 영향
세계화의 긍정적 영향은 다음과 같다.
국제 무역 확대를 통해 새로운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생산성 향상과 경제 성장이 촉진된다.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 선택이 가능해지고 가격 경쟁 심화를 통한 소비자 혜택이 증대되고 있다. 기술 발전이 촉진되면서 국가 간 협력을 통한 연구 개발 활성화와 새로운 기술 개발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문화 간의 교류를 통한 상호 이해가 증진되고, 문화적 다양성이 존중되는 추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이처럼 세계화는 경제 성장, 기술 발전, 문화 교류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왔다.
2.3. 세계화의 부정적 영향
세계화는 경제적 통합화와 더불어 정치,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국가 간의 상호의존성을 높여왔다. 그러나 세계화는 여러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첫째, 세계화로 인한 경제적 불평등 심화이다. 세계화는 국제 자본과 노동의 이동을 촉진하여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소득 격차를 심화시켰다. 다국적 기업은 저임금 국가에서의 생산을 확대하여 이윤을 극대화하고자 하였고, 이는 선진국 내부의 소득 불평등도 가중시켰다. 이러한 불평등의 심화는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며,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다.
둘째, 세계화는 문화적 동질화를 초래하였다. 미국 중심의 대중문화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지역 고유문화가 쇠퇴하고 문화적 다양성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각 국가와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을 위협하고, 문화적 종속을 야기할 수 있다.
셋째, 세계화는 환경 파괴 문제를 악화시켰다. 세계화는 무분별한 자원 개발과 과도한 소비를 촉발하여 환경오염과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 문제를 가중시켰다. 이는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도전과제이다.
넷째, 세계화는 국가 주권 약화와 국제 정치의 복잡성 증대를 야기하였다. 국제기구와 다국적 기업의 영향력이 증대되면서 개별 국가의 자율성이 제한되었고, 국가 간 갈등과 분쟁이 증가하게 되었다. 이는 국제 정치의 불안정성을 높여 민주주의 체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세계화는 경제, 사회, 문화, 정치 등 다방면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민주주의의 위기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세계화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그 혜택을 고르게 나누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3. 정치효능감과 정치 관심도
3.1. 정치효능감의 개념
정치효능감은 "개인의 정치적 행동과 역할에 대한 자기 효능감"을 의미한다. 즉, 정치적 행동으로 인한 성과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기대와 신념을 말한다. 정치효능감이 높다는 것은 자신의 정치적 행위가 정치 과정과 결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는 것이다. 반대로 정치효능감이 낮다는 것은 개인이 정치에 참여하더라도 그 결과가 자신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정치효능감의 개념은 정치적 무능력감, 정치적 무지, 정치 기구에 대한 불신, 정부에 대한 의구심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정치효능감은 정치체제에 대한 개인의 태도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인 중 하나로, 정치적 신뢰보다 심리적 관여에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3.2. 정치 관심도의 개념
정치 관심도는 정치나 정책에 대한 관심을 얼마나 가지는지 정도를 말한다. 사람들이 정치 관련 기사나 뉴스, 타인의 의견...
참고 자료
김진하. (2006). 정치의식의 지역차이. 한국정당학회보, 5(1), 199-234
김철희. (2016). 4.13 총선 유권자 지형의 특성과 청년공약의 효과. 더미래연구소
김형준. (2014). 여성 유권자의 정치 성향과 투표 행태 추이에 대한 고찰: 2012년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86, 71~101
남인용. (2013). 한국 대통령 선거에서 정치효능감, 미디어를 이용한 정치참여와 후보자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31, 127-154
노길명. (2002). 광복 이후 한국 종교와 정치 간의 관계. 종교연구, 27, 1-23
박정의. (2008). 여성 정치인에 대한 방송보도 분석-여성 성프레임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연구, 11, 99-122
부대신문. (2017). [청년시리즈] 정치에 무관심했던 청년의 속사정. 마지막 검색 날짜 2019. 12.17. http://weekly.pusan.ac.kr/news/articleView.html?idxno=6166
신동욱, 양해술 (2010). 인터넷미디어의 특성이 정치커뮤니케이션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정치정보연구, 13(2), 137-159
이미나, 양승찬, 신지희. (2018). 미디어 이용과 TV토론 이용의 효과 연구: 후보자 평가, 정치지식, 정치효능감과 여론 인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0(2), 41-71
이숙정, 백선기, 한은경. (2013). 교육수준에 따른 정치참여 격차. 한국언론학보, 57(5), 113-136
이영민. (2010). 20대의 정치의식 특성과 정치성향의 형성경로. 사회연구. 19(1), 9-43
이지은. (2009). 인터넷을 통한 사회참여활동이 청소년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석준, 유승관. (2017). 대학생들의 정치효능감, 정치지식, 정치냉소주의가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47, 137-162
정윤재. (2004). 기획: 한국사회에서의 정당, 정치인, 선거와 정치개혁의 방향; 정치엘리트, 정치개혁 그리고 한국 민주주의. 기억과 전망, 6(0), 179-196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7). 제19대 대통령선거 투표율 분석 결과 공개 = 대부분 연령층에서 70% 이상의 높은 투표율 보여 =. 마지막 검색 날짜 2019. 11. 18. https://www.nec.go.kr/cmm/dozen/view.do?atchFileId=d9385d27b8c762fa43e45b57073bb381c4b9e9f710aaff2fb70625f6bfc7731c&fileSn=1
트렌드모니터. (2018), 2018 정치적 관심 및 정치 참여 관련 평가. 마지막 검색 날짜 2019. 11. 11. https://www.trendmonitor.co.kr/tmweb/trend/allTrend/detail.do?bIdx=1687&code=0404&trendType=CKOREA
표준국어대사전. 마지막 검색 날짜 2019.12.06.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
한겨레. (2016). 변화 갈망 20대 “총선 반드시 참여” 72%로 급증. 마지막 검색 날짜 2019.12.17. http://www.hani.co.kr/arti/PRINT/733844.html
한국정치학회 KSPA. (201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외부평가: 선거제도, 과정, 관리, 지역별 분석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Y: W.H. Freedom
Campbell, Angus, Geral Gurin, Warren E. Miler. (1954). The Voter Decides. Oxford, England, Row, Peterson, and Co
e-나라지표. 선거투표율 시계열조회. 마지막 검색 날짜 2019.12.17. http://www.index.go.kr/potal/stts/idxMain/selectPoSttsIdxSearch.do?idx_cd=4063
Krasner, M. A., Chaberski, S.G. (1982). American Government; Structure and Process. New York
McLeod, J. M., Daily, K., Guo, Z., Eveland, W. P. Jr., Bayer, J., Yang, S., Wang, H. (1996). Community integration, local media use, and democratic processes. Communication Research, 23(2), 179-209
김재형 등 (2024), 『세계의 정치와 경제』,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