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투석의 개요
1.1. 투석의 정의
투석은 확산, 삼투, 초여과라는 3가지의 원리에 의해 수분과 용질이 반투막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것이다. 확산은 반투막 통해 입자의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두 구간의 농도가 같아질 때까지 입자가 이동하는 것이며, 투석 시 환자 체내의 요소, 크레아티닌, 요산 등의 노폐물과 전해질 제거에 작용한다. 삼투는 삼투압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수분이 이동하는 것으로, 환자 체내의 과다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초여과는 혈액과 투석액 사이의 반투막을 통한 수분의 이동이지만, 조작적으로 적용된 압력 차이가 작동원리로 체내 과잉 수분 제거에 효과적이다.
1.2. 투석의 원리
1.2.1. 확산
확산은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물질이 이동하는 현상이다. 투석 시 이 원리에 따라 환자 체내의 요소, 크레아티닌, 요산 등의 노폐물과 전해질이 제거된다.
반투막을 사이에 두고 두 구간 간 농도 차이가 있을 때,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입자들이 이동하여 두 구간의 농도가 같아지려 한다. 이러한 확산 원리에 의해 투석 과정에서 체내의 노폐물과 과잉 전해질이 투석액으로 이동하여 제거되는 것이다.
이처럼 확산은 투석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농도차에 의해 물질이 이동하는 이 과정을 통해 투석액과 혈액 간 노폐물과 전해질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1.2.2. 삼투
삼투는 반투막을 사이에 두고 농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수분이 이동하는 현상이다""
투석에서 삼투는 환자 체내의 과다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활용된다"" 투석액 속에 포도당을 첨가하여 혈액에서보다 삼투압을 높여줌으로써 혈중의 과다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복막투석에서는 삼투 원리를 이용하여 수분과 용질이 복막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이때 투석액의 포도당 농도에 따라 수분 제거량을 조절할 수 있는데, 수분을 많이 제거하고자 하면 고농도의 포도당을 함유한 투석액을 사용하게 된다""
1.2.3. 초여과
초여과는 혈액과 투석액 사이의 반투막을 통한 수분의 이동이기는 하나 조작적으로 적용된 압력 차이가 작동원리로 체내 과잉 수분 제거에 효과적이다.
반투막을 사이에 두고 혈액과 투석액이 흐르면 압력 차이로 인해 혈액 중의 수분이 투석액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혈액 쪽의 압력이 투석액 쪽의 압력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조절함으로써 과다한 체내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초여과 원리를 이용하여 혈액투석 과정에서 환자의 체내 과잉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혈액투석 시 혈액펌프로 혈류 속도를 높이고 고효율 투석기를 사용하면 초여과가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 체내 수분 조절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투석의 3대 원리인 확산, 삼투, 초여과 중 초여과는 특히 체내 과잉 수분 제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1.3. 투석의 목적
투석의 목적은 혈액요소질소와 크레아티닌 등 단백질 최종 대사산물과 체내 과잉 수분을 제거하고,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을 조절하여 요독증상을 완화하며, 고혈압 조절과 빈혈 상태를 개선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투석은 환자의 신장기능이 크게 떨어져 정상 신장기능의 15% 미만으로 저하되었을 때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체내 노폐물의 축적을 막고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요독증으로 인한 오심, 구토, 식욕부진, 피로감, 호흡곤란, 소양증, 골이영양증, 발육부진 등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심낭염, 출혈, 운동성 신경증 및 의식장애와 같은 중증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존적 치료에 반응이 없는 고칼륨혈증, 심한 대사산증, 체액과다로 인한 울혈성 심부전, 고혈압 등의 치료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투석은 과도한 약물이나 독소를 제거하거나, 수혈 부작용으로 인한 급성 신부전 환자의 신기능을 일시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