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뇌경색
1.1. 정의
뇌경색이란 뇌혈관이 혈전이나 색전 등으로 인해 혈류가 차단되어 해당부위의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을 말한다. 뇌혈관이 막히게 되면 막힌 부위 이후의 뇌 조직은 산소와 영양분을 받을 수 없어 뇌 조직이 괴사되고 손상되어 기능이 저하되거나 상실된다. 뇌 조직은 한번 망가지게 되면 돌이킬 수 없는 변화를 겪기 때문에 영구적인 후유증을 남긴다. 이처럼 뇌경색은 갑자기 발병하는 응급질환이므로 신경계 결손과 뇌의 영구적인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즉각적으로 치료해야 한다.
1.2. 병태생리
뇌는 지속적인 혈류 공급을 필요로 하는데, 뇌경색은 특정 동맥의 손상으로 인해 혈류가 차단되면서 뇌조직에 허혈 현상이 발생하여 뇌 기능이 손상되는 것이다. 이러한 허혈은 뇌에 무산소증, 저산소증, 저혈당증을 초래하여 침범된 신경원과 신경교세포 및 조직을 경색 시키거나 괴사시킨다.
뇌혈전증은 고혈압이 있는 경우 혈관 내벽에 변화가 생기면서 고지혈증까지 동반되면 동맥경화증이 발생한다. 혈관 내벽이 두꺼워지면서 혈관의 내경이 좁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좁아진 혈관 안쪽 벽에 혈소판이 엉겨 붙어 혈전이 생성되기 쉽다. 생성된 혈전은 돌아다니다 좁아진 혈관을 막아버리거나 떨어져 나가 혈관 내를 돌아다니다 더 좁은 혈관을 막는다.
뇌색전증은 경동맥에서 발생한 혈전이 떨어져 나와 뇌혈관을 막아서 발생한다. 뇌혈전에 비해 굵은 혈관이 막히므로 반신마비, 실어증 등의 증상이 급격히 나타나며 의식이 나빠지다가 혼수상태로 이르며 사망까지 할 수 있다.
뇌경색이 발생하면 침범된 영역뿐만 아니라 대뇌반구의 반대쪽에도 영향을 미친다. 초기에는 손상된 부위의 회백질이 진흙색으로 변하고 백질에 약간의 변색과 연화가 오며, 4~5분 안에 세포 내에서 이러한 변화가 나타나 분당 2백만의 뇌세포가 죽게 된다. 48~72시간 후에는 경색, 괴사, 병소 주변의 부종과 손상된 부위의 변성이 분명해지다가 결국 단단한 신경교 조직으로 둘러싸인 낭종이 형성된다.
혈관경색이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경우 측부 혈액공급이 충분하다면 경색을 유발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경화된 혈관이 많아 허혈 부위에 측부 혈액공급이 어렵다면 경색은 더욱 촉진된다.
1.3. 원인
뇌경색의 주요 원인은 크게 동맥경화증, 심장질환, 혈관기형 등이다.
동맥경화증은 뇌경색의 가장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혈관벽에 지방 성분이 축적되면서 혈관이 좁아지고 경화되어 혈액 공급이 저하되는 현상이다. 노화,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등 생활습관 요인이 동맥경화증을 가속화시킨다. 고령, 남성, 유전적 요인 등도 동맥경화증의 위험을 높인다.
심장질환도 뇌경색의 주요 원인이다. 심방세동, 심근경색, 판막질환 등으로 인해 심장에서 생성된 혈전이 떨어져나와 뇌로 가는 혈관을 막는 경우 색전성 뇌경색이 발생한다.
그 외에도 뇌혈관의 선천적 기형이나 후천적 질환, 외상 등으로 인한 혈관 손상도 뇌경색을 일으킬 수 있다. 혈관박리, 혈관염, 혈관경련 등이 이러한 경우에 해당된다.
따라서 뇌경색의 발생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등 생활습관 질환의 관리와 더불어 심장질환의 예방 및 관리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4. 증상
허혈성 뇌경색의 대표적인 증상은 편측마비, 언어장애, 시야장애, 어지럼증, 의식소실이다. 뇌경색의 조기 경고 증상으로는 한쪽이나 양쪽의 얼굴, 팔다리에 갑작스런 허약감, 무감각, 마비가 나타나거나 한쪽 혹은 양쪽 눈의 시야가 갑자기 흐려지거나 보이지 않는다. 또한, 갑자기 말하는 것이 어렵거나 어눌해지거나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나타나며 이유 없는 심한 두통과 어지러움이 발생하다가 균형감을 잃고 넘어진다.
편마비의 경우, 우뇌 손상 시 좌측마비, 공간-지각의 결손, 문제를 부정하거나 축소하려는 경향, 급하게 행동하며 주의가 짧은 특징이 나타나고, 좌뇌 손상 시에는 우측마비, 실어증, 좌우구별 장애, 천천히 행동하며 결손에 대해 인식하고 우울 및 불안의 증상이 나타난다.
언어장애는 표현성 실어증(말하고 쓰는 능력이 상실되는), 수용성 실어증(이해하지 못하는), 혼합형 실어증이 있으며, 구음장애도 발생할 수 있다. 공간-지각 변화는 우뇌 손상 시 더 잘 나타나며, 자신과 병에 대한 부정확한 지각, 손상된 측으로 들어오는 지각을 무시, 공간 지남력 장애, 실인증, 실행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1.5. 진단
1.5.1. 영상검사
뇌경색 환자의 진단을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영상검사는 컴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