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광고와 카피 공익광고 사례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공익광고의 정의
2. 공익광고의 역사
2.1. 국내 공익광고의 역사
2.2. 층간소음 공익광고의 역사
3. 국내외 공익광고 현황
3.1. 국내 공익광고 현황
3.2. 국외 공익광고 현황
3.3. 층간소음 공익광고 현황
4. 공익광고 성공/실패 사례
4.1. 성공 사례
4.2. 실패 사례
5. 층간소음 공익광고의 문제점과 개선점
6. 결론 및 시사점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공익광고의 정의
공익광고는 국가 또는 사회가 안고 있는 현재의 공공의 이슈나 장래에 일어나게 될 사회적인 문제에 대하여 대중에게 하여금 이슈를 인지하게 하고 설득시킴으로써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행동을 촉구하는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말한다. 일반적인 상업 광고들이 마케팅 관점에서 제품 혹은 서비스에 대한 태도를 개선하거나 판매를 증진시키는 데 목적을 두는 데 반해, 공익광고는 사회적 목적 달성을 위한 하나의 의사소통 수단으로 특정 이슈에 대한 전반적인 사회의 구성원들의 인식과 태도를 변화시키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2. 공익광고의 역사
2.1. 국내 공익광고의 역사
국내 공익광고의 역사는 1981년 12월 5일 KBS-2TV를 통해 방송된 '저축으로 풍요로운 내일을'이라는 내용의 캠페인이 최초의 공익광고로 시작되었다. 이를 계기로 한국방송광고공사가 30여년 동안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 제고, 공동체 문화의 회복과 발전, 가족과 청소년 문제의 해결 등을 주제로 공익광고 캠페인을 시행해왔다.
1980년대 공익광고의 태동기에는 교훈적이고 계몽적인 메시지가 강조되었고, 국가 발전과 안보, 아시안게임 및 서울올림픽과 관련한 질서와 친절, 청결 등이 주된 주제였다. 1990년대 성장기에는 장애인, 환경보전, 가족사랑 등 사회 통합을 위한 다양한 주제의 공익광고가 제작되었고, 광고의 작품성도 발전을 이루었다.
2000년대에는 인류의 보편적인 가치를 확산하고 공동체 의식을 가다듬는 주제로 전환되었으며, 2007년 '일회용품의 수다' 광고를 계기로 계도형 캠페인에서 공감형 캠페인으로 변화하였다. 2010년대에는 소외계층 배려, 스마트기기 사용, 환경 보호 등 국민 참여형 통합 캠페인이 활성화되었다.
이처럼 국내 공익광고의 역사는 시대적 변화에 맞춰 점차 다양하고 창의적인 주제와 표현 방식을 선보이며 발전해왔다고 볼 수 있다.
2.2. 층간소음 공익광고의 역사
층간소음 공익광고의 역사는 2013년을 시작으로 꾸준히 이루어져왔다"" 2013년에는 총 4편의 인쇄 공익광고가 제작되었다"" 그 중 대표적인 사례로는 ""아름다운 선율도 아래층 이웃에게는 때론 큰 고통이 될 수 있습니다""라는 슬로건을 내세운 광고가 있다"" 이 광고는 집 안에서 큰 소리로 악기를 연주하는 행위가 이웃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어 층간소음에 대한 구체적인 행동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이어 2015년에는 ""어떤 음악을 연주하고 계십니까?""라는 슬로건으로 1편의 인쇄 광고가 제작되었으며, 2016년에도 ""발걸음 소리가 71.6%에 이른다는 사실을 아셨나요?""라는 문구와 함께 1편의 인쇄 광고가 제작되었다""
2017년에는 인쇄 광고 1편과 방송 광고 1편이 제작되었는데, 인쇄 광고의 경우 ""우리는 5자 돌림 이웃사촌입니다""라는 슬로건을, 방송 광고는 ""층간내리사랑""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며 이웃 간의 배려와 이해를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2021년에는 ""선 넘지 마십시오""라는 문구로 1편의 인쇄 광고가 제작되었는데, 이는 층간소음의 주요 원인이 뜀박질과 발걸음 소리라는 사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이웃을 존중하는 태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처럼 층간소음 공익광고는 2013년부터 지속적으로 제작되어왔지만, 대부분 인쇄 광고 형식에 머물러 있었고 방송 광고는 단 1회만 제작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향후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고 공익광고의 내용과 ...
참고 자료
공익광고의 정석 김병희(대학교수) 저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16.05.30
조선닷컴 2017.06.02 '세상을 아름답게 하는 CSR, 유한킴벌리'
사이언스타임 2009.11.04. ‘전 세계 휩쓴 ‘신발 한 켤레 마케팅’’
유한킴벌리 공식홈페이지 www.yuhan-kimberly.co.kr
전정미.(2014).공익광고 텍스트에 나타난 주제 및 표제 전달방식의 변화 양상 연구.인문연구,(70),305-332.
하봉준.(2012). 공익광고 종합 발전방안 연구. [KOBACO] 연구보고서.
정윤재, 진범섭, 김유경.(2014).공익광고 매체효과 연구.광고연구,(101),155-185.
김운한, 김민정, 이현우. (2017). 국내외 공익광고의 표현특성 분석. 영상문화콘텐츠연구, 12(), 59-81.
장천, 전종우, 천용석, 「한국, 중국, 미국의 공익광고에서의 크리에이티브 차이」 광고연구, 99, 38-66, 2014.
최민욱. (2006). 국내 공익광고 현황에 관한 연구: 국내 공익광고 집행 현황 및 관련 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언론과 정보, 12(0), 27-57.
장우성.(2014).스마트미디어 시대 공익광고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연구.[KOBACO] 연구보고서.
염성원.(2011).옥외매체를 활용한 공익광고 캠페인에 관한 연구.OOH광고학연구,8(2),29-59.
김나미/KIM NAMI, 유승엽 /SeungYeob Yu.(2015).광고 주제와 소구 유형 및 모델이미지에 따른 공익광고 효과.광고학연구,26(2),317-341.
유신양, 안홍민.(2020).인스타그램 공익광고 효과 연구: 메시지 유형과 시간적 거리감의 관계를 중심으로.사회과학연구,27(4),37-60.
양성기, 양승춘.(2003).광고 전략적 관점에서 본 공익광고 캠페인 디자인에 관한 연구.한국디자인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196-197.
최정화.(2009).국내 공익광고 크리에이티브에 있어서 언어적 요소에 관한 연구.조형미디어학,12(1),127-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