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자동차 개발 프로세스
1.1. RFI & SR(RFQ)
공급사가 다수(또는 하나)의 협력사를 대상으로 개발하려는 시스템/제품에 관한 내용을 배포하고 이에 관련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가 바로 RFI(Request for Information), SR(Sourcing requirement), RFQ(Request for quotation)이다. 여기서 공급사는 제품 개발에 대한 투자비, 금형비, 제품 단가 등의 정보를 요청하고, 협력사는 이에 대한 견적서를 제출한다. 공급사는 개발하려는 차량의 컨셉을 배포하고 협력사는 투자 비용과 견적서를 제출하게 된다. 이 단계를 통해 제품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개발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1.2. 업체 선정(Nomination)
선정된 공급사는 협력사의 프로세스 일정에 따라 개발 참여, 양산 검증 후 제품을 공급한다. 공급사 선정 단계에서는 개발하려는 차량의 컨셉을 배포하고 협력사로부터 투자 비용과 견적서를 제출받는다. 투자비, 금형비, 제품 단가 등의 내용을 요청하고 제공받는데, 이를 통해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선정된 공급사는 제품 개발과 양산에 참여하게 된다. 즉, 협력사의 프로세스 일정에 맞춰 개발에 참여하고 양산 검증 이후 양산된 제품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통해 공급사와 제조사간 긴밀한 협력이 이루어지며, 제품의 안정적인 양산과 공급이 가능해진다.
1.3. 설계 단계(M=0)
Model Fix(모델고정), 승인된 모델을 수정 및 보완하여 신차 모델을 최종 확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신차 개발 과정 중 가장 중요한 핵심 설계가 이루어진다. 설계 단계(M=0)에서는 신차 개발을 위한 기본적인 설계 작업이 진행되며, 향후 개발 과정에서 실제로 구현되게 될 신차 모델의 형상과 성능이 최종적으로 확정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신차 개발을 위한 컨셉과 요구사항이 완성차 업체와 협력사로부터 제시되면, 이를 바탕으로 3D 모델링, CAD 설계 등의 작업을 통해 신차의 외관 디자인, 내부 레이아웃, 주요 기능 및 사양 등이 결정된다. 이 단계에서는 시장 요구사항, 기술적 실현가능성, 생산 공정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설계안을 도출하게 된다.
완성된 설계안은 업체 간 승인 과정을 거치며, 최종적으로 승인된 모델이 "M=0" 단계에서의 최종 확정 모델이 된다. 이렇게 고정된 신차 모델 설계를 기반으로 이후 Proto 개발, 양산 준비 등의 후속 단계들이 진행된다.
따라서 설계 단계(M=0)는 신차 개발의 핵심 축이라 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의 설계 내용이 향후 개발 과정 전반에 걸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단순한 외형 결정이 아닌 신차의 성능, 품질, 생산성 등 전방위적인 요소들이 고려되어 최종 모델이 확정되는 것이다.
1.4. Proto 개발 프로세스
Proto 개발 프로세스는 자동차 개발 프로세스의 중요한 단계 중 하나이다. 이 단계에서는 제작사가 협력사에게 시작차(Proto Car)를 공급받아 조립성 및 성능 평가 등을 수행하며, 설계 변경이 가능한 잦은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Proto 개발 프로세스는 Mecha proto/1단계/2단계/Proto 검증 등 세부적으로 나눌 수 있다. 제작사는 협력사로부터 sample을 공급받아 test 차량을 조립하고, 그 차량으로 주행, 내구성, 환경시험, NVH 평가 등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신차의 성능(내구성, 목표성능)과 차량 법규를 확인하고, 생산라인을 통하지 않고 차량을 제작(No line)하여 설계 사양의 품질을 확인하고 신차 제반 성능을 최단 시일 내에 생산에 준하는 품질로 제작하게 된다.
이러한 Proto 개발 프로세스를 통해 제작사는 신차 설계품질의 양산 전 확인이 가능하며, 설계 변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잦은 시작차 제작으로 인해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도 있다.
1.5. Pilot1 / Trial1
Pilot1/Trial1은 품질 관점에서 검증하는 절차이다. 승인도 배포를 전후로 1,2단계로 나뉘며, P1, P2라고 하기도 한다. 작업자 훈련, 양산 수준의 설비/금형/지그 준비, 생산 절차에 따라 제작 및 조립하면서 발생 가능한 품질 문제를 확인한다. 작업성과 생산성을 검토하여 생산 과정에서의 문제를 확인하고, 생산된 차량 또는 부품이 요구되는 정도에 부합하는지 여부 등 품질 확보 검증 과정이다.
연구소(P1, Pilot1)에서는 양산에 준하는 설비를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