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을거예요ppt한국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최종 교안 학과(학번) 한국어문화학과
1.1. 단원명: 고 싶다
1.2. 학습 목표: 고 싶다를 이용하여 자신의 희망을 표현할 수 있다.
1.3. 학습 내용
1.3.1. 문법: 고 싶다
1.3.2. 기능/과제: 자신의 희망 표현하기
1.4. 준비물
1.4.1. 교사: 교과서, 동사 PPT 카드, 그림, 문장 PPT 카드, 문형 PPT 카드, 그림자료, 전형 예문들 등
1.4.2. 학습자: 교과서, 필기구
2. 모의수업 교안 A/V-아서/어서(이유)
2.1. 단원명: 서울대 한국어 1B-12과 여보세요
2.2. 학습 문형: A/V-아서/어서(이유)
2.3. 학습 목표: '-기 때문에, -아/어서, -니까'의 의미, 형태, 기능을 이해하고 '-기 때문에, -아/어서, -니까'의 표현을 이용하여 말할 수 있다.
2.4. 준비물
2.4.1. 교사: 교재, 단어카드, PPT자료, 과제활동지, 그림자료
2.4.2. 학습자: 교재, 필기도구
3. 단원명: 갑자기 비가 와서, 우산을 샀어요.
3.1. 학습 목표: '-기 때문에, -아/어서, -니까'라는 표현을 학습하여, 제안할 수 있다.
3.2. 학습 내용
3.2.1. 문법: '-기 때문에, -아/어서, -니까'
3.2.2. 기능/과제: 제안하기
3.3. 준비물
3.3.1. 교사: 교재, 단어카드, PPT자료, 과제활동지, 그림자료
3.3.2. 학습자: 교재, 필기도구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최종 교안 학과(학번) 한국어문화학과
1.1. 단원명: 고 싶다
1.2. 학습 목표: 고 싶다를 이용하여 자신의 희망을 표현할 수 있다.
자신의 희망을 고 싶다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의사소통 기술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자신의 소망과 바람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고 싶다'는 동작동사에 '-고 싶다'를 붙임으로써 화자가 자신의 희망이나 욕구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바를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는 저녁으로 피자를 먹고 싶어요"와 같이 말할 수 있다.
이러한 표현을 통해 학습자들은 자신의 취향과 선호도를 명확히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대방에게 자신의 바람을 구체적으로 알릴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해진다. 이는 대화 상황에서 개인의 필요와 요구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된다.
나아가 '고 싶다'를 사용하여 자신의 희망을 표현하는 연습을 통해 학습자들은 한국어 문법과 어휘 활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전반적인 한국어 구사 능력 제고로 이어지며, 의사소통 역량 강화에도 기여한다.
따라서 '고 싶다'를 이용한 자신의 희망 표현하기 학습은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1.3. 학습 내용
1.3.1. 문법: 고 싶다
고 싶다는 동작동사에 "-고 싶다"를 붙여 화자가 자신의 희망이나 욕구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화자가 어떤 행동을 원하거나 바라는 마음을 표현하는 데 쓰이며, 상대방의 희망이나 욕구를 물을 때에도 사용된다.
문법적으로 동사의 기본형에 "-고 싶다"를 결합하여 사용한다. 받침이 있는 동사는 "-고 싶다"로, 받침이 없는 동사는 "-어서 싶다"로 결합한다. 그리고 과거형은 "-고 싶었다"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먹다"라는 동사에 "-고 싶다"를 결합하면 "먹고 싶다"가 되고, "자다"는 "자고 싶다"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과거형은 "먹고 싶었다", "자고 싶었다"와 같이 사용한다.
고 싶다는 주로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희망이나 욕구를 드러낼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나는 피자를 먹고 싶다", "친구를 만나고 싶다", "영화를 보고 싶다" 등과 같이 말할 수 있다. 또한 상대방의 희망을 묻는 경우에도 "언제 여행을 가고 싶어요?", "어떤 옷을 사고 싶어요?"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고 싶다는 말하는 이의 희망이나 욕구를 표현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문법 표현이다.
1.3.2. 기능/과제: 자신의 희망 표현하기
학습자들은 이 과정에서 '고 싶다'를 사용하여 자신의 희망과 소망을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선생님은 다양한 주제와 상황의 그림 자료와 예시 문장들을 제공하여, 학습자들이 '고 싶다'를 활용하여 자신의 희망을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예를 들어, 선생님은 맛있어 보이는 음식 사진을 보여주며 "이 음식을 먹고 싶다"라고 말한다. 그리고 학습자들에게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자신이 먹고 싶은 음식이나 하고 싶은 활동을 표현해보도록 요청한다. 학습자들은 "저는 치킨을 먹고 싶어요", "저는 공원에서 산책하고 싶어요" 등의 문장을 만들어 말할 수 있다.
선생님은 학습자들이 자신의 다양한 희망과 소망을 '고 싶다'를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
참고 자료
서울대 한국어 1B Students Book,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투판즈/2013.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