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질적연구와 양적연구의 개념
2.1. 질적연구의 개념
2.2. 양적연구의 개념
3. 질적연구와 양적연구의 연구목적 및 이론
3.1. 질적연구와 양적연구의 목적
3.2. 질적연구와 양적연구에서 이론의 의미
4. 질적연구와 양적연구의 비교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회복지조사는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회적 장애요인들을 파악하고 직면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구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자료를 수집하는 지식탐구 절차라 할 수 있다. 사회복지조사는 사회복지의 지식개발을 위하여 과학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하며 과학적인 절차를 통해 현장에서 이론들이 개발되는 것을 돕는다. 사회복지조사는 타당한 논리적 원칙에 입각하여 기존의 지식을 기각 또는 강화함으로써 문제해결을 위한 적절한 개입을 할 수 있도록 기준이 되는 지식을 제공하고 사회복지의 욕구를 발견하고 이해하는 것을 도우며 사회복지의 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하였는지 효과성을 측정하는 기술이기도 하다. 사회복지조사는 일련의 방법들을 체계적으로 활용하여 사회복지의 주요 문제들에 대한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얻기 위한 활동이다. 과학과 연구를 지식 산출을 위한 접근이란 점에서 동의어로 보고, 주요 특성으로 경험적 관찰, 가설의 산출과 검증, 이론 형성 및 검증, 보다 나은 세상을 예측하고 영향을 주는 시도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성들은 과학적 방법을 통해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다. 과학적 방법의 두 가지 중요 형식으로 귀납적 방법과 연역적 방법을 들 수 있다. 귀납적 접근으로 대변되는 질적 조사와 연역적 접근으로 대변되는 양적조사는 나름대로의 장단점을 지니고 있다.
2. 질적연구와 양적연구의 개념
2.1. 질적연구의 개념
질적연구의 개념은 사회현상에 대한 폭넓고 다양하며 풍부한 정보를 얻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질적조사방법에서 조사자는 조사과정에 깊이 관여하여 중요한 자료측정도구역할을 하며, 자료수집과 분석이 상호 의존적이며 상호작용 하면서 동시적으로 진행된다"" 질적연구는 자연상황에서 일어나는 일상적 행위를 중요시하고 이런 일상적 행위의 의미를 이해하려 노력한다"" 질적연구는 고도로 묘사적이어야 하며, 클라이언트와의 면담 중 주어진 시간과 장소에서 파악된 내용을 ...
참고 자료
양성관, 김진수 외 저, 사회복지조사론, 정민사 2014
김태성 저, 사회복지조사론, 청목출판사 2012
채구묵 저,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양서원 2013
고수현, 박성복 저, 사회복지조사론, 정민사 2013
백상용(2006). 질적연구의 의미와 한계: 양적연구와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정보시스템학회, 15(1): 239-254.
송영흠(2011). 사회복지정책의 관점에서 양적 조사와 질적 조사의 장ㆍ단점 비교 연구. 사회복지지원학회지, 6(1): 239-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