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은퇴자산설계 컨설팅을 실시한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최초 생성일 2024.12.07
6,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자신의 은퇴자산설계 컨설팅을 실시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퇴직준비 프로그램의 현황 및 개선 방안
1.1. 국내 퇴직준비 프로그램의 현황
1.1.1. 공공분야 퇴직준비 프로그램
1.1.1.1. 공무원연금공단의 프로그램
1.1.1.2. 시·도 교육연수원의 프로그램
1.1.2. 기업 내 퇴직준비 프로그램
1.1.2.1. KT의 라이프플랜 프로그램
1.1.2.2. 포스코의 그린라이프 프로그램
1.1.3. 민간분야 퇴직준비 프로그램
1.2. 해외 퇴직준비 프로그램의 현황
1.2.1. 미국의 사례
1.2.1.1. 공공분야 퇴직준비 프로그램
1.2.1.2. 기업의 전직지원 프로그램
1.2.1.3. 원스톱센터 고령자 지역사회 고용프로그램
1.2.2. 일본의 사례
1.2.2.1. 공공분야 퇴직준비 프로그램
1.2.2.2. 연금라이프플랜 세미나
1.2.3. 호주의 사례
1.3. 퇴직준비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
1.3.1. 공공분야 퇴직준비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
1.3.2. 민간분야 퇴직준비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
1.3.3. 퇴직 지원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퇴직준비 프로그램의 현황 및 개선 방안
1.1. 국내 퇴직준비 프로그램의 현황
1.1.1. 공공분야 퇴직준비 프로그램
1.1.1.1. 공무원연금공단의 프로그램

공무원연금공단의 프로그램은 생애 전환기를 맞은 공무원이 자신의 상황과 욕구를 종합하여 새로운 인생을 스스로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은퇴 지원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은 퇴직예정 시기에 따라 세부적인 내용과 기간이 구분되어 진행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퇴직예정 3년 이내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은퇴설계과정"은 3박 4일(22시간) + 온라인(8시간) 과정으로 구성된다. 이 과정에서는 은퇴설계 사례 공유, 여가설계, 선배와의 대화, 재택 온라인 교육, 건강관리, 세무 등의 내용을 다룬다.

퇴직예정 5년 이내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공헌과정"은 3박 4일(22시간) + 온라인(8시간) 과정으로 구성되며, 사회공헌의 필요성과 준비전략, 사회공헌 활동 및 정부지원정책, 건강관리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퇴직예정 1년 이내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퇴직준비과정"은 역시 3박 4일(22시간) + 온라인(8시간) 과정으로 진행되며, 귀농귀촌, 재취업, 창업, 재택 온라인 교육 등의 내용을 다룬다.

한편, 퇴직예정 8년 이내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미래설계과정"은 3박 4일(22시간) + 온라인(8시간) 과정으로, 은퇴설계 사례 공유, 여가와 문화, 자아실현, 세무, 건강관리, 웰에이징 디자인 등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퇴직 5년 이내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 컨설팅 과정"은 4박 5일(30시간) 과정으로, 행정사, 명강사, 글로벌 은퇴설계 등의 전문적인 내용을 다룬다.

이와 같이 공무원연금공단의 다양한 은퇴준비 프로그램은 퇴직 시기에 따른 공무원들의 요구와 관심사를 반영하여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1.1.2. 시·도 교육연수원의 프로그램

시·도 교육연수원의 퇴직준비 교육과정은 "제2의 전성기, 당당한 나를 위한 퇴직 후 인생설계"라는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의 교육목표는 "퇴직 전에 다양한 관점에서 인생 계획을 세워봄으로써 인생 2막을 준비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교육대상은 유치원교원, 초등교원, 중등교원, 기타교원, 교육전문직, 대학교수, 일반직, 학교회계직, 교육공무직(교육실무직), 방과후강사, 대학교직원, 카운셀러, 학부모, 일반국민, 보육교직원, 예비교원 등 다양한 교육청 소속 공무원을 포함한다.

교육내용은 "인생혁명 4.0을 준비해라!", "새로운 은퇴관을 정립하라!", "나의 심장 뛰는 일을 찾아라!", "공무원의 변신은 무죄 신입사원으로? 아님 나도 사장님?", "은퇴 후 '보배'가 될 자격증을 취득해라!", "귀촌, 귀농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풍요로운 삶을 위한 재정관리는 필수이다!", "공무원 연금 제대로 알고 활용해라!", "새어나가는 돈을 잡아라!", "축적된 인맥도 당신의 귀중한 자산, 관계관리에 집중해라!", "변화된 환경, 새로운 네트워크를 형성해라!", "당신의 든든한 버팀목, 가족부터 챙겨라!", "건강한 노후생활, 돈 안드는 건강 보감으로 챙겨라!", "젊음을 넘어선 우아함과 중후함으로 나를 가꾸어라!", "은퇴 후 35만 시간과 내 인생의 버킷리스트로 노후를 디자인해라!" 등 퇴직 후 삶의 설계를 위한 다양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시·도 교육연수원의 퇴직준비 교육프로그램은 공무원을 비롯한 다양한 교육 관련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퇴직 후 인생 2막을 준비할 수 있도록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1.2. 기업 내 퇴직준비 프로그램
1.1.2.1. KT의 라이프플랜 프로그램

KT는 2003년 구조조정 단행으로 2천500명에 대해 명예퇴직을 실시함에 따라 퇴직 직원뿐만 아니라 조직 내부의 잔류직원들 사이에서도 반발이 있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결국 개인에게 가장 필요한 지원은 평생직업 시대에 의식전환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퇴직 후 제2의 직업 목표를 설계하고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라이프플랜 과정(Self-Innovation)을 운영하게 됐다. 2006년 9월 CDC(Career Design Center)를 개설하고 외부 전문가를 채용해 운영하여 입사에서부터 퇴직 후 제2의 인생설계까지 경력진단 및 개발, 진로 상담에서부터 재취업/창업/자격취득에 이르기까지 성공적인 진로 개척을 위한 교육, 훈련, 1:1컨설팅 등을 제공한다.

이 프로그램의 특징은 기업들이 단기적으로 운영하던 프로젝트를 연중 상시 운영할 수 있는 형태로 전환한 것과 직원들의 눈높이에서 필요한 내용들을 발췌해서 제공한다는 것이다. 39세 이하 직원들에게는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자기 혁명 프로젝트 과정을 이수하여 가치관과 삶의 목표를 확인하고, 40세부터 44세까지의 중간간부 직원에게는 경력개발에 초점을 맞춘 커리어 포커스(Career Focus) 프로그램을, 그리고 45세 이상의 중간간부 직원에게...


참고 자료

노인교육론, 서울디지털평생교육원, 2022
홍효정 외, 공공기관 퇴직예정자의 퇴직준비 교육 참여경험 탐색, 한국평생교육학회, 제26권 제4호(2020)
성혜영·김아람, 은퇴 예정자를 위한 노후준비 교육 프로그램 개발,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연구원, 2016
퇴직 후30년을 위한 정부의 교육훈련지원 방안, 고용노동부, 2014
박근수,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기대 유형과 퇴직준비교육,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26권 제3호(2014)
최나영, 퇴직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평생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국가법령정보센터,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공무원연금공단 홈페이지 (https://www.geps.or.kr/community/education/page_01_01.jsp)
중앙교육연수원 홈페이지 (https://www.neti.go.kr/homepage/educourse/selectEduCourseView.go)
서울시 50플러스 포털 (https://50plus.or.kr/)
매일경제 생애설계센터 홈페이지 (https://senior.mk.co.kr/)
인생이모작지원센터 홈페이지 (https://twohappylife.bucheon.go.kr/site/main/index119)
정태경, “대전교육연수원 ‘교육공무직원 퇴직예정자 재취업지원 서비스과정’ 운영”, 신아일보, 2022.02.14., 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16096
김선호, “[부산소식] 부산교육연수원, 퇴직예정 공무원 재취업 연수”, 연합뉴스, 2022.02.16., https://www.yna.co.kr/view/AKR20220216047300051?input=1195m
이영민, “노사정 공동 노력으로 재취업프로그램 시작한 ‘보잉’…실직자에 실질적인 도움 준 대표 사례”, 서울경제, 2021.08.18., https://www.sedaily.com/NewsView/22Q8JPOM90
퇴직 후 30년을 위한 정부의 교육훈련지원방안, 고용노동부
미국 베이비부머 세대의 퇴직준비 현황, 한국노동연구원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