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문제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1. 서론
1.2.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1.2.1. 사회복지서비스의 개념
1.2.2.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개념 및 구축원칙
1.3. 한국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문제점
1.3.1. 공공 전달체계의 문제점
1.3.2. 민간 전달체계의 문제점
1.4.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선방안
1.4.1. 통합적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1.4.2. 사회복지 담당자의 전문성 확보
1.4.3. 수요자 중심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로의 전환
1.4.4. 사회복지서비스 품질관리시스템 구축
1.4.5.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효율화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1. 서론
우리나라 경제 사회가 빠른 속도로 성장하면서 국민들의 생활수준도 발전했지만, 발전한 사회만큼 따라오지 못한 분야 중 하나가 사회복지 분야이다. 특히 저출산, 고령화 사회가 급속도로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라 더욱 주목을 받으며 필요로 하고 있다. 사회복지서비스가 필요한 사람에게 적절하게 전달되기 위해서 제대로 확립되어야 하는 것이 사회복지서비스의 전달체계이다. 전달체계가 확립되어야만 사회 전체의 복지 증진과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전달체계의 문제점이 예전부터 지적되어 왔으며 그 문제점을 고치기 위해 여러차례 개편을 거쳐오며 개선된 부분도 있지만 여전히 나아지지 않은 부분도 있어 현장에 일하는 사회복지사도 사회복지서비스가 필요한 클라이언트도 힘들어하고 있다.
1.2.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1.2.1. 사회복지서비스의 개념
사회복지서비스는 국가·지방자치단체 및 민간부문의 도움이 필요한 모든 국민에게 복지, 보건의료, 교육, 고용, 주거, 문화, 환경 등의 분야에서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고 상담, 재활, 돌봄, 정보의 제공, 관련 시설의 이용, 역량 개발, 사회참여 지원 등을 통하여 국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도록 지원하는 제도이다."사회복지서비스는 넓은 의미로는 개인 혹은 사회 모두의 복지 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회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좁은 의미로는 노인, 아동,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를 일컫는 말이다."
1.2.2.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개념 및 구축원칙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개념은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급자와 소비자를 연결시키기 위한 조직적 장치이다. 지역사회 내에서 서비스의 수요와 공급이 이루어지는 체계로 정의할 수 있다.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축원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등성의 원칙이다. 이는 성별, 연령, 소득, 지역, 종교, 지위 등의 차이와 관계없이 모든 국민에게 사회복지서비스를 공평하게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책임성의 원칙이다. 사회복지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모든 절차를 규정에 따라 수행할 책임이 서비스 제공자에게 있다는 것을 말한다. 서비스 제공자는 사회, 복지대상자, 전문가 등에 대해 책임을 진다.
셋째, 접근용이성의 원칙이다. 사회복지서비스가 필요한 사람이 편리한 곳에서 해당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전달체계의 접근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넷째, 적절성의 원칙이다. 서비스의 양과 질, 서비스 기간 등이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수준이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다섯째, 통합성의 원칙이다. 클라이언트의 문제가 복합적이고 상호 연관된 경우가 많으므로, 관련 서비스 간 연계와 통합이 필요하다.
여섯째, 전문성의 원칙이다.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에 있어 전문적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므로, 전문인력의 배치와 역할 수행이 중요하다.
일곱째, 포괄성의 원칙이다.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욕구에 대응하기 위해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지속성의 원칙이다. 클라이언트의 변화와 성장에 맞춰 ...
참고 자료
사회서비스
https://www.ssc.go.kr/menu/info/info030104.do#:~:text=(%EC%82%AC%ED%9A%8C%EB%B3%B4%EC%9E%A5%EA%B8%B0%EB%B3%B8%EB%B2%95)%20%EC%A0%9C3,%EC%97%AD%EB%9F%89%20%EA%B0%9C%EB%B0%9C%2C%20%EC%82%AC%ED%9A%8C%EC%B0%B8%EC%97%AC%20%EC%A7%80%EC%9B%90
수원 세모녀 사망사건 계기 복지 사각지대 발굴, 지원 체계 전반 점검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522073
'수원 세 모녀' 비극 막으려면..."안 주려는 복지서 주는 복지로 전환해야"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2082816090002900
[단독] "20년 가난과 싸우다 아플 새도 없이 떠났다"... 세 모녀 사건 '청년 가장'의 비극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2092811080000180
"전달체계만 단순화해도 복지효율 올라갑니다"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22/04/375571/
사회복지사 처우개선 법률 개정안 시행…공회전 끝내나
https://www.dementi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88
복지부, 소재 불명 위기가구 경찰과 같이 찾는다…위기가구 정보도 39종으로 확대
https://m.khan.co.kr/national/health-welfare/article/202208241723001
이준영, 「사회복지행정론」, 학지사, 2019.
지은구, 「한국사회복지 전달체계연구」, 계명대학교출판부, 2016.
김정현 외 1명,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양서원, 2014.
김기현, 「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선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2013.
이영환, 「복지전달체계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법 제도적 연구」, 한국경제연구원, 2013.
문병기,남석훈(2017). 사회복지행정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성은미,김상곤,최승희(2009). 경기도의 효율적인 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구축방안 연구. 경기복지재단
최정원,김보기(2016).공적 사회복지 전달체계에 나타난 조직운영 상의 실태분석을 통한 극복요인 연구. 산업진흥원
홍인정(2010).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 및 시사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노기성(2011). 사회서비스 정책의 현황과 과제(사회복지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개발연구원
김은미(2009).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숙(2008).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전달체계 개선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성신(2004). 社會福祉 傳達體系의 公共.民間部分 相互 連繫를 위한 實證的 硏究.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양희(2001). 한국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