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신화의 세계에 관한 나의 소견
1.1. 트로이아 전쟁
트로이아 전쟁은 그리스의 인간 영웅들이 죽임을 당하는 전쟁이며, 제우스와 포세이돈은 바다의 여신 테티스가 낳은 아들이 아버지를 능가할 수 있다는 예언에 제우스와 포세이돈은 그녀와의 결혼을 포기하고, 테티스를 인간 남자인 펠레우스와 강제로 결혼시키려 하였다. 결혼식은 성대하게 열렸으며, 많은 신들이 참석했다. 하지만, 결혼식에 초대받지 못한 불화의 여신 에리스는 화가 나서 황금사과에 '가장 아름다운 이에게'라고 적어서 던졌으며, 여신 헤라, 아테네, 아프로디테는 그 황금사과를 놓고 다투었지만, 제우스가 인간 중 가장 미남인 파리스가 결정할 것을 제안하면서 여신들은 모두 파리스 매수하기 위해서 선물을 약속했다. 파리스는 아프로디테를 황금사과를 넘겨주면서 그를 선택하였지만, 아프로디테가 말했던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은 유부녀 헬레네였다. 파리스가 아프로디테를 선택함으로써 파리스는 결국 유부녀 헬레네를 납치하여 데려오면서 트로이아 전쟁은 일어나게 된 것이다. 헬레네가 파리스에게 납치되자 아가멤논은 그리스 전체의 군대를 동원하였으며, 이는 과거 헬레네의 구혼자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오디세우스의 제안에 따라서 누가 헬레네의 신랑으로 결정되어도, 신랑과 신부를 보호해주겠다는 맹세 때문에 그리스 전체의 군대가 동원될 수 있었다. 트로이 전쟁의 결말은 『일리아스』의 내용을 바탕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일리아스에는 트로이 전쟁에 대해서 전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지 않았으며, 전쟁이 끝나가는 마지막 며칠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일리아스는 아킬레우스의 분노는 어떻게 시작되었으며, 어떻게 해소되는 과정에 대해서 노래하고 있었다. 아킬레우스가 없이도 전투 첫날은 잘 치렀지만, 이틀 되는 날은 그리스군이 큰 패배를 겪으면서 후퇴하였으며, 셋째 날은 서로 물고 물리는 접점으로 양쪽은 각기 세 번의 진격과 후퇴를 하였으며, 이날 아킬레우스의 친구 파트로클레스는 신이 선물한 무장이 벗겨졌기 헥토르의 창에 의해서 목숨을 잃게 되었으며, 아킬레우스는 슬픔과 고통, 분노에 빠졌지만, 다음날 새로운 다짐으로 무장을 하여 헥토르의 투구와 갑옷의 틈새로 창으로 죽여서 발목에 끈을 꿰어 마차에 묶어 끌고 돌아온다. 프리아모스는 헥토르의 시신을 찾기 위해서 그리스 진영으로 밤에 길을 떠나서, 무덤과 강을 지나서, 영혼 인도자인 헤르메스의 안내를 받아서 동트기 전에 집으로 돌아와서 헥토르의 장례를 치르는 것으로 일리아스는 마무리된다.
1.2. 오디세우스의 모험과 귀환
『오디세이아』는 젊은이의 성장 이야기이자 뱃사람의 모험 이야기이다"" 오디세우스의 모험과 귀환은 오디세우스의 아들 텔레마코스가 아버지를 찾기 위해 나선 여정으로 시작한다"" 트로이아를 떠난 오디세우스 일행은 이스마로스에서 해적질로 포도주를 얻지만, 자축하는 사이 기습을 당한다"" 이후 9일간의 폭풍 속 표류 끝에 환상의 세계에 접어들게 되는데, 그곳에서 '로터스'라는 열매를 먹으면 모든 기억을 잊고 그곳에 계속 머물고 싶어 하는 유혹에 빠진다"" 이후 겪는 모험에는 키클롭스 폴뤼페모스와의 조우, 아이올로스의 섬, 라이스트뤼고네스 사람들, 키르케, 저승 여행, 세이렌들, 스킬라와 카리브디스, 태양신의 섬, 칼립소의 섬, 스케리아 등 다양한 장면이 이어진다"" 특히 저승 여행에서는 아가멤논, 아킬레우스, 아이아스 등 트로이 전쟁의 동료들을 만나 그간의 삶을 반성하는 계기가 된다"" 저승에서 돌아온 오디세우스는 세이렌의 유혹을 뿌리치고 태양신의 섬과 칼립소의 섬, 스케리아를 거쳐 이타케로 돌아온다"" 오디세우스는 아들 텔레마코스를 먼저 집으로 보내고 자신은 거지꼴로 변장하여 집으로 가 자신의 귀환을 숨긴 채 퇴락한 자신의 집안을 정돈하고 복수를 시작한다""
1.3. 아이네아스와 로마의 건국 신화
베르길리우스의 서사시 『아이네이스』는 '아이네아스의 노래'라는 의미이며, 트로이아 함락 이후 살아남은, 트라이아의 영웅 아이네아스가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는 이야기이다.
베르길리우스는 아우구스투스를 신격화하기 위해서 새로운 로마의 건국 신화를 만들었으며,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가문과 로마를 예찬하기 위해서 『아이네이스』를 기록하게 된 것이다. 베르길리우스에 의해서 500여 년 전 트로이의 영웅 아이네아스(Aeneas)까지 거슬러 올라가 로마 건국의 아버지를 만들게 된 것이다.
그는 패망한 트로이의 왕족 아이네아스와 그의 추종자가 이탈리아에 새로운 나라를 건국하는 것은 신의 신성한 뜻에 의한 것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서양의 뿌리를 그리스와 로마라 생각하면 아이네이스는 성경,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 등과 함께 서양의 정신세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고전이라고 할 수 있다.
아이네아스가 그리스군에 의해서 함락당한 트로이아를 떠나서 이탈리아까지의 여정은 아이네아스가 이탈리아에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는 것은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는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아이네이스가 이탈리아에서 자신의 사명을 방해하는 세력을 물리치고 라틴족과 함께 제2의 트로이아를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