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내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산소요법
1.1. 산소요법의 적응증
1.2. 산소요법의 목표
1.3. 산소요법의 종류
1.3.1. 저유량 산소전달체계
1.3.2. 고유량 산소전달체계
1.4. 비침습적 양압 환기
1.5. 산소요법의 합병증
2. 분무요법
2.1. 정량식 흡입기 사용(Metered-dose inhaler, MDI)
2.2. 건조분말 흡입기 사용(Dry-powder inhaler, DPI)
2.3. 네뷸라이저
2.4. 소형 분무요법
2.5. 분무요법 적응증 및 금기 대상자
3. 호흡기계 진단검사
3.1. ABGA (동맥혈 가스분석)
3.2. 기관지 내시경 검사
3.3. 폐기능검사
3.4. 폐 생검
4. 흉강천자
4.1. 흉강천자의 목적
4.2. 흉강천자의 절차
4.3. 흉강천자 간호
5. COPD와 폐렴
5.1. COPD의 병태생리와 증상
5.2. COPD의 치료와 간호
5.3. 폐렴의 병태생리와 증상
5.4. 폐렴의 진단과 치료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산소요법
1.1. 산소요법의 적응증
산소요법은 저산소혈증과 저산소증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용 가스이다. 대기 중 산소 농도는 약 21%이지만, 동맥혈 산소분압이나 산소포화도가 감소한 경우에 산소요법을 시행한다. 심부전, 패혈증, 고열, 중독, 혈색소의 감소 등 비호흡성 상태에서 가스교환과 조직관류가 악화되면 산소요법의 적응증이 된다. 이러한 상태는 산소 요구량을 증가시키고 혈액의 산소 운반 능력이나 심박출량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산소요법은 최소한의 흡기 산소 농도로 유해한 부작용 없이 적절한 혈중산소 농도를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 산소요법의 목표
산소요법의 목표는 최소한의 흡기 산소 농도로 유해한 부작용 없이 적절한 혈중산소 농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비록 산소가 PaO2의 수준을 개선하더라도 질병을 치료하거나 질병 진행을 멈추게 하지는 않는다. 대부분의 저산소증 환자는 최소한 95 %의 산소 포화도에 도달하기 위해 비강캐뉼라로 2~4L/분이나 벤튜리 마스크로 최대 40%의 산소를 필요로 한다. 저산소혈증 및 만성 고탄산혈증 (hypercarbia, PaCO2 수준의 증가) 환자는 호흡하려는 노력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통 캐뉼라로 2~4L/분의 낮은 수준의 산소를 전달한다.
1.3. 산소요법의 종류
1.3.1. 저유량 산소전달체계
저유량 산소전달체계는 다음과 같다""
비강 캐뉼라(nasal cannula)는 호흡을 돕기 위해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 비공에 삽입하기 위해 2개의 짧은 관(prong)이 있는 일회용 플라스틱 장치이다. 비강 prong을 환자의 얼굴에 맞추어 콧구멍의 자연스런 해부학적 선에 따라 삽입한다. 1~6L/분의 유량을 사용하며 투여할 수 있는 산소의 농도는 24%(1L/분) ~ 44%(6L/분)이다. 해부하적 사강이 가득 차기 때문에 6L/분 이상의 유량으로 산소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고유량은 점막 자극을 상승시킨다. 흔히 만성폐질환자와 장기적인 산소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사용된다. 이산화탄소가 정체된 환자는 호흡욕구가 상실될 위험이 있고 그래서 무호흡과 호흡정지의 위험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2~3L/분 이상을 투여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비강카테터(nasal catheter)는 비강캐뉼라보다 사용빈도가 적다. 대개 낮은 농도의 산소를 이용하거나 비강캐뉼라보다는 높은 농도의 산소를 투여할 수 있다. 산소카테터의 삽입과정은 코에서 비강인후까지 삽입하는 것이다. 카테터의 고정이 비공을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카테터는 8시간마다 다른 비공으로 삽입한다. 카테터가 비강인두를 지날 때 대상자가 통증을 느끼며 비강 점막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단순 안면 마스크(simple facial mask)는 단순하면서 공기 유량을 적게 요구하고 마스크 하단에서 산소를 공급하고 옆으로 공기가 빠져나간다. 단기간 산소투여를 하거나 응급상태에서 40~60%의 산소농도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한다. 느슨하게 고정되며 5~10L/분의 속도로 40~60% 농도의 산소를 전달한다. 이 마스크는 이산화탄소가 정체된 대상자에게는 정체가 더 악화될 수 있으므로 금기이다"".
부분재호흡 마스크는 6~11L/분의 유통속도로 60~75%의 산소를 공급한다. 이것은 저장주머니는 있으나 덮개(flap)가 없는 마스크로 이루어졌다. 대상자는 첫 번째로 호기한 1회 호흡량의 1/3을 재호흡하는데, 여기에 산소가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높은 FiO2를 제공한다. 흡기 끝에 주머니가 약간 부풀리는지 확인한다"".
비재호흡 마스크(non-rebreather mask)는 저유통체계 가운데 가장 높은 산소농도를 제공하며, 대상자의 호흡양상에 따라 6~15L/분의 속도로 90% 이상의 FiO2를 전달할 수 있다. 호흡상태가 악화되어 삽관이 필요한 대상자에게 자주 사용된다. 마스크와 저장주머니, 호기 출구 위 2개의 덮개 사이에 일방통행 판막이 있다. 판막은 저장주머니에서 필요한 산소를 취하고, 덮개는 호기 출구를 통해 실내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며, 이 호기 출구는 공기가 나가는 통로가 된다. 매 호흡 시 판막과 덮개가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흡입 동안 주머니의 부풀림을 유지하기 위해, 유통속도를 충분히 높은 수준에서 유지시킨다"".
1.3.2. 고유량 산소전달체계
벤튜리 마스크(Ventury mask)는 삽관을 하지 않고 가장 정확한 산소농도를 전달할 수 있는 고유량 산소전달체계이다."" 각 산소유량에 일정 비율의 실내 공기를 적절히 들어오게 하여 작동한다. 어댑터(adaptor)가 마스크 맨 아래쪽과 산소 공급원 사이에 붙어 있다. 어댑터에 있는 구멍의 크기가 달라서 산소가 특정 용량의 공기와 혼합되도록 하여 정확한 산소전달이 된다. 어댑터마다 각각 다른 유량을 적용한다. 24% 산소를 전달하려면 유량은 필히 4L/분이어야 한다. 산소유량을 조절하는 다이얼이 어댑터에 달린 벤츄리 마스크도 있다. 벤츄리 마스크는 습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체계는 정확한 산소농도를 전달하기 때문에 만성 폐 질환자에게 가장 좋다.""
1.4. 비침습적 양압 환기
비침습적 양압 환기는 기도삽관을 하지 않고 폐포 개방을 유지하고 가스교환을 개선하기 위하여 양압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비침습적 양압 환기에는 크게 세 가지 유형이 있다. 첫째, continuous nasal positive airway pressure(CPAP)는 흡기와 호기의 매 주기동안 한 세트의 기도양압을 전달한다. CPAP의 효과는 허탈된 폐포를 개방시키는 것이다. 수술 후 무기폐나 심인성 폐부종 또는 COPD 환자에게 이런 형태의 산소나 공기 전달이 도움이 된다. 둘째, volume-limited 또는 flow-limited 비침습적 양압 환기는 환자의 흡입 노력과 함께 한 세트의 1회 호흡량을 전달한다. 셋째, pressure-limited 비침습적 양압 환기는 흡기와 호기에 다른 압력을 전달한다. bi-level positive airway pressure(BiPAP)는 연속적으로 돌아가는 기계로서 환자가 흡기를 시작할 때마다 흡기 기도양압을 한 번씩 전달하고, 환자가 호기를 시작할 때마다 기계가 낮은 호기말압력을 한 번씩 전달한다. 이 두 압력이 모두 1회 호흡량을 개선하여 호흡수를 줄이고 호흡곤란을 완화시킨다.""
이러한 비침습적 양압 환기는 기계적 환기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호흡곤란을 개선하고 폐포를 개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비침습적 양압 환기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협조와 순응도가 필수적이며,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찰이 필요하다.""
1.5. 산소요법의 합병증
산소요법의 합병증에는 연소, 산소유도 저환기, 산소독성, 흡수성 무기폐, 점막의 건조, 감염 등이 있다.
연소는 산소가 있으면 화재가 더 쉽게 일어나므로, 촛불, 담뱃불과 같은 사소한 화재 위험으로도 주의가 필요하다. 모든 전기 장비는 스파크로 인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접지해야 하며, 고농도의 알코올이나 기름이 든 가연성 물질은 사용을 금한다.""
만성폐질환자나 고탄산혈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 산소유도 저환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환자는 동맥혈 이산화탄소 수치가 계속 증가하는데, 이는 저산소증에 민감한 중추화학수용기가 자극되어 호흡을 자극하지만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 이 수용기가 더 이상 자극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호흡 억제가 나타날 수 있다.""
산소독성은 산소 농도가 50% 이상이고 24시간 이상 지속되면 폐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초기 증상으로는 지속적이지 않은 기침, 흉골 ...
참고 자료
2024년 대비 필통 간호학 핵심요약집 성인간호학Ⅰ, 에듀팩토리,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222,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요독증’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802,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전신 홍반성 낭창’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26,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위식도 역류성 질환’
Lewis 외, 『성인간호학 Ⅰ』, 현문사. 2015.
Lewis 외, 『성인간호학 Ⅱ』, 현문사. 2015.
김근순 외,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2012.
김근순 외,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2012.
신경림 외, 『성인간호학 Ⅰ』, 현문사, 2010.
신경림 외, 『성인간호학 Ⅱ』, 현문사, 2010.
임경춘 역, 『건강사정』, 정담미디어, 2012.
최명애 외, 『보건의료인을 위한 병태생리학』, 계축문화사, 2017.
성인간호학
약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