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병마용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병마용갱을 통해 본 진대의 군사력
2.1.1. 진대의 군사들의 무기
2.1.1.1. 청동 수
2.1.1.2. 청동 극
2.1.1.3. 쇠뇌와 쇠뇌에 부착했던 방아쇠, 청동화살촉
2.1.1.4. 청동검
2.1.2. 진대 군대의 각 병과
2.1.2.1. 쇠뇌병(보병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겠으나, 이 보고서에서는 보병과 구별한다.)
2.1.2.2. 보병
2.1.2.3. 기병
2.1.2.4. 전차병
2.1.3. 진대의 군진배치와 그에 따른 전투 방식
2.1.3.1. 1호 용갱
2.1.3.2. 2호 용갱
2.1.3.3. 3호 용갱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무덤 지상과 지하에 화려한 건축을 지어 사후 세계까지 그 영광을 가져가려 했던 진시황제. 그의 능에는 동거마 갱, 희귀동물 갱, 마굿간 갱 등 여러 부장갱이 매장되어 있으나,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세계 8대 불가사의로 일컬어지는 병마용갱이다. 병마용갱은 1974년 여산 시양촌의 우물 파던 농부들에 의해 1호 갱이 발견된 이후, 현재까지 2호 갱, 3호 갱과 비어있는 4호 갱이 발굴되었다. 병마용갱의 발견은 중국 고대사 연구에 중요한 지점이 되었다. 진시황제 및 그의 능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였을 뿐 아니라, 실제와 유사하게 제작된 도용·전차·무기 등을 통해 중국 고대의 군사적 상황을 확인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군사적 지표로서의 병마용갱에 주목하여, 용갱을 통해 고대 진의 군대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병마용갱의 도용을 통해 진의 군사들을 살펴보며 군사의 종류와 계급, 착장 등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다음으로는 출토된 전차들을 통해 당대 전차의 종류 및 용도에 대해 살필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군사와 전차의 배치를 통해 진의 군진에 대해 탐구하며 진 군대에 대한 고찰을 마치도록 하겠다.
2. 본론
2.1. 병마용갱을 통해 본 진대의 군사력
2.1.1. 진대의 군사들의 무기
2.1.1.1. 청동 수
3호 용갱에서 발견된 청동 수는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 무기는 위쪽이 뾰족한 다각추로 되어 있고 몸체는 나무 자루를 박아 넣을 수 있도록 둥글게 만들어져 있다. 고대 전쟁터에서도 보기 힘든 이 무기는 대규모 작전보다는 근거리 살상용으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것은 3호 용갱의 호위 병사들이 지녔던 무기라고 할 수 있다.
청동 수는 고대 중국 진나라 군대의 독특한 무기 중 하나로, 3호 용갱 발굴을 통해 처음 그 모습이 드러났다. 무기의 형태와 용도를 볼 때 이 무기는 진대 군사들이 근접 전투에 활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3호 용갱에서만 발견된 청동 수는 당시 진군의 전술과 무기 체계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1.1.2. 청동 극
청동 극은 1호 용갱에서 대량으로 발굴된 고대 병기이다. 창(槍)과 과(戈)가 결합된 형태로, 말에 탄 적병을 끌어내리는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청동 극에는 일부 명문이 새겨져 있는데, 그 내용은 "삼년상방여불위조사공구(三年相邦呂不韋造寺工口)"로, "여불위가 승상이 되고 나서 3년째에 만들었다"는 뜻이다. 이를 통해 해당 병기가 진시황 때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청동 극은 전체 길이가 2.88미터에 달하며, 나무 자루에 창과 과가 결합된 형태로 되어있다. 또한 끝부분에는 물리(끈을 갑쏴는 쇠붙이)가 달려있어, 말을 타고 전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처럼 청동 극은 진대군대의 주요 병기 중 하나로, 말을 탄 적군을 효과적으로 제압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였던 것으로 보인다.청동 극은 용갱에서 발견된 중요한 진대 군용 무기 중 하나이다. 주된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과 과가 결합된 형태로 되어 있어 말을 탄 적병을 끌어내리는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둘째, 전체 길이가 2.88미터에 달해 상당한 사정거리와 타격력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끝부분에 물리(끈을 갑자기 발사하는 쇠붙이)가 달려 있어 말을 탄 상태에서도 원활히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넷째, 명문에 새겨진 "삼년상방여불위조사공구(三年相邦呂不韋造寺工口)"라는 내용을 통해 해당 무기가 진시황 시대에 제작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처럼 청동 극은 진대군의 주력 장거리 무기로, 말을 타고 기동하는 군대에게 큰 위력을 발휘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2.1.1.3. 쇠뇌와 쇠뇌에 부착했던 방아쇠, 청동화살촉
병마용갱에서는 쇠뇌와 쇠뇌에 부착했던 방아쇠, 그리고 청동으로 제작된 화살촉이 대량으로 발굴되었다.
쇠뇌는 활에서 유래하지만 활과는 달리 먼 거리를 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무기이다. 2호 용갱에서 거의 100...
참고 자료
장민·장문립, 『진시황제릉』, 서울: 학고방, 2007.
웨난, 『부활하는 군단 1』, 서울: 일빛, 2001.
웨난, 『진시황제의 무덤』, 서울: 크림슨, 2008.
홍익대학교 도예연구소, 『秦始皇陵兵馬俑』, 서울: 홍익대학교 도예연구소, 1990.
신동준, 『무경십서 4』, 서울: 역사의 아침, 2012.
장점민, 『제국의 빛과 그늘』, 서울: 역사의 아침, 2012.
사마천, 『사기열전 1』, 김원중 옮김, 서울: 민음사, 2015.
YTN, “병마용 주인은 진시황 고조모”, 서울: YTN NEWS, 2009.
위에 난,『중국 고대사의 불가사의 진시황릉』, 일빛, 1998
「중국 고대사의 불가사의 - 진시황릉 」 위에난 일빛 1990
「위대한 폭군 - 진시황 평전 」 천징 미다스북스 2001
잃어버린 문명을 찾아서 http://www.oldhome.pe.kr/index.html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엠파프 백과사전 http://100.empa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