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수원 화성 답사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수원화성의 이해
1.1. 수원화성의 개요
1.2. 수원화성 건축의 역사적 배경
1.3. 수원화성의 주요 시설물
1.3.1. 장안문
1.3.2. 팔달문
1.3.3. 화서문
1.3.4. 각루
1.4. 수원화성의 복원 과정
2. 수원화성의 문화적 가치
2.1.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2.2. 수원화성 문화제
2.3. 수원화성의 관광 활성화
3. 수원화성 답사 및 체험 프로그램
3.1. 화성열차
3.2. 벨로택시
3.3. 국궁체험
3.4. 달빛동행
4. 수원화성 주변의 관광 자원
4.1. 먹거리
4.2. 볼거리
4.3. 추천 관광코스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수원화성의 이해
1.1. 수원화성의 개요
수원화성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수원화성은 조선 정조 시기에 지은 수원시의 성곽 건축물과 이를 중심으로 한 계획도시이다. 오늘날에도 수원시의 상징이자 랜드마크로 그 자리를 위용있게 지치고 있다. 수원화성은 1997년 12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조선 22대 왕인 정조대왕이 1794년(정조18) 1월에 착공하여 2년 9개월 후인 1796년(정조 20) 9월에 완공하였다. 화성 성곽의 전체 둘레는 대략 5.7km이고 40여개의 성곽 시설물들이 중간중간에 들어서 있다. 정조대왕이 화성을 건설한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의 이상적인 도시를 만들기 위함이었다고 한다. 정조는 자신이 꿈꾸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대신들과 의논하며 철저하게 서로 계획하고 실천하였으며, 정교한 석축술을 보여준 것이 이 화성이다. 정조가 꿈꾸던 이상향의 계획도시를 바로 수원에 건설하려 한 것이다.
1.2. 수원화성 건축의 역사적 배경
수원화성 건축의 역사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수원화성(水原華城)은 조선 제22대 왕인 정조대왕이 1794년(정조 18년) 1월에 착공하여 2년 9개월 만인 1796년(정조 20년) 9월에 완공한 성곽이다.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를 양주의 배봉산에서 수원의 화산(華山)으로 옮기면서 그 아래에 새로운 계획도시를 건설하고자 화성을 축조하였다.
정조는 자신이 꿈꾸는 이상적인 도시를 실현하고자 화성 건설을 계획하였다. 그는 대신들과 의논하며 철저하게 계획을 수립하고 실천에 옮겼다. 화성 축성에는 당대 실학자들의 학문적 성과가 반영되었는데, 특히 정약용이 고안한 거중기와 같은 신기술이 활용되었다.
화성은 조선 후기 성곽 건축 기술의 정점으로 평가받는다. 석축과 토성의 장점을 모두 활용하였고, 돌을 길게 다듬어 쌓는 전통기법을 통해 견고한 성벽을 구축하였다. 또한 화포와 같은 신무기 방어에 적합한 구조로 설계되었다. 이처럼 화성은 조선시대 성곽 건축 기술의 최고 수준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1.3. 수원화성의 주요 시설물
1.3.1. 장안문
장안문은 수원화성의 북문으로서, 화성의 주출입구이자 상징적인 건축물이다. 1794년(정조 18년) 축성 당시 건설된 이 대문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2층 누각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붉은 색의 기와지붕과 화려한 장식적 요소들이 돋보이는 웅장한 모습을 자아내며, 수려한 옹성과 물길 위의 홍예교가 더해져 아름답고 기념비적인 인상을 준다.
장안문은 화성 성곽의 주요 출입구로서, 육로를 통해 서울에서 수원으로 통하는 핵심 통로였다. 성문 좌우에 배치된 적대(敵臺)는 문 앞에 접근하는 적을 측면에서 공격할 수 있게 하는 방어시설이었다. 또한 성문 내부에는 각종 무기와 보급품을 보관할 수 있는 창고와 군사 지휘소가 마련되어 있어, 성곽 방어에 필요한 기능을 겸비하고 있었다.
장안문은 한국 전통 성문 건축의 정수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중국과 일본의 성문 양식을 참고하면서도 독자적인 미학과 공간 구성을 보여주며, 조선시대 성곽 축조 기술의 정점을 보여준다. 199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수원화성의 핵심 시설물인 장안문은 이후 여러 차례의 복원 작업을 거쳐 원형에 가까운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1.3.2. 팔달문
팔달문은 수원화성의 남문으로, 서울에서 내려오는 주요 동선상에 위치하고 있어 수원화성의 관문 역할을 했다. 팔달문은 규모가 장안문과 동일한 2층 누각 형식으로 지어졌으며, 보물 제402호로 지정되어 있다.
팔달문은 한국전쟁 당시 피해를 입지 않고 원형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조선시대 성곽 건축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로 평가받고 있다. 문루 전면의 반월형 옹성과 홍예문, 그리고 2층 누각의 아름다운 조화가 ...
참고 자료
유적으로 보는 우리 역사, 이종호, 북카라반, 2015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유홍준, 창비, 2011
역사를 품은 여행, 심상섭, 책과나무, 2021
한국사의 이해, 운경호, 청목출판사, 2012
한국사의 이해, 충북대 한국사연구실, 개신, 1998
다시 찾는 우리역사, 한영우, 경세원, 2003
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왕의 역사, 신재석, 삼양미디어, 2011
전쟁으로 읽는 한국사, 김광일, 은행나무, 2013
한국의 전투와 무기, 신현득 외, 현암사, 2008
전쟁과 역사, 임용한, 혜안출판, 2001
1. 최준식 외, <유네스코에서 보호하는 우리문화유산 열두가지>, 시공사, 2002
2. 김동욱, <수원 화성>, 대원사, 1998
3. 김동욱, <18세기 건축사상과 실천 : 수원성>, 도서출판 발언, 1996
4. 이건하, <日本의 城郭>, 국학자료원, 2003
5. 신영훈, <우리문화 우리역사 답사기2>, 대한교과서, 1999
6. 수원화성 행궁일대 역사문화환경 가꾸기 계획
7. 길지혜(2005), 수원 화성행궁 일대 역사문화환경 가꾸기 계획,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김동훈(2003), 역사적 문화유산 화성경내의 보존과 회복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권 2호
9. 문화재청 : http://www.ocp.go.kr
10. 화성연구회 : http://www.hwasung.org
11. 수원문화원 : http://www.suwonsarang.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