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자궁탈출증은 자궁이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면서 자궁의 일부 혹은 전체가 질을 통해 탈출하는 것으로, 증상이 없을 때는 치료를 요하지 않지만 증상이 있을 경우 보존요법 또는 수술요법을 이용해야 한다. 연구자는 2021년 10월 4일부터 10월 8일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실습을 하면서 여러 가지 질환 중 자궁탈출증이라는 질병이 생소하였기에 이에 대해 연구해보고 관찰하고자 하는 호기심이 생겼다. 연구자는 어렸을 때 할머니와 친구들의 대화에서 "아무개는 밑이 빠졌다"라는 말을 들었던 기억이 있었는데, 이것이 바로 자궁탈출증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서 이 질병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 따라서 연구자는 자궁탈출증 환자를 관찰하며 문헌고찰을 통해 질병의 원인, 증상, 치료 방법 등을 자세히 공부하고, 대상자의 사정을 통해 간호문제를 발견하고 간호진단을 내려 적합한 간호 수행으로 질병 완화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1.2. 연구대상 및 방법
연구대상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5병동에서 1주간의 실습 동안 입원환자 중 Prolapse of Uterus, 자궁탈출증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및 입원과정을 관찰하면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021. 10. 4 ~10. 8일까지 OOOO병원에서 실습을 하면서 여러 가지 질환 중 자궁탈출증이라는 질병이 실습자에게 생소한 질병이라 연구해보고 관찰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였다. 어렸을 때 할머니와 친구분들의 대화중에 "아무개는 밑이 빠졌단다." 라는 말을 들었던 기억이 있었는데 그 질환이 바로 자궁탈출증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연구하고자 하는 호기심이 생겼다. 자궁탈출증 환자를 관찰하며,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원인, 증상, 치료방법을 자세히 공부하고 대상자의 사정을 통하여 대상자의 간호문제를 발견하고 간호진단을 내림으로 대상자에게 적합한 간호수행을 통해 질병의 완화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자궁탈출증은 자궁을 지지해 주는 인대의 접착부인 질상부(supravaginal portion; 질 윗부분)의 지지가 좋지 않아 자궁이 정상 위치에서 아래쪽 또는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자궁의 일부 혹은 전체가 질을 통해 빠져 나오는 것을 말한다.
자궁탈출증의 가장 대표적인 원인은 자연분만이다. 자궁은 골반 근육, 인대 등으로 고정되어 있는데, 자연분만 시 아기 머리가 나오는 과정에서 근육과 인대가 손상 받게 된다. 이렇게 생긴 손상은 스스로 개선되지 않아 자궁을 지탱하던 힘이 약화하면서 자궁이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출산횟수가 많을수록 골반저근의 손상이 반복되면서 자궁탈출증이 더 심해지게 된다.
그 밖에도 무거운 물건 들기, 비만으로 인한 압력, 만성 기침, 변비 등이 골반저근에 무리를 주게 되면서 자궁탈출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피부조직의 노화 역시 근육의 탄성에 영향을 주어 자궁탈출증을 유발할 수 있다.
2.1.2. 질병의 병태생리
자연분만과 자궁탈출증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자궁은 골반 근육, 인대 등으로 고정되어 있는데, 자연분만 시 아기 머리가 나오는 과정에서 근육과 인대가 손상을 받게 된다. 이렇게 생긴 손상은 스스로 개선되지 않아 자궁을 지탱하던 힘이 약화하면서 자궁이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출산횟수가 많을수록 골반저근의 손상이 반복되면서 자궁탈출증이 더 심해지게 된다"" 자궁탈출증은 0~4등급으로 나뉘어지며, 등급이 높을수록 탈출 정도가 심하다. 0도는 자궁탈출이 없음, 1도는 자궁경부가 질 내에 있을 경우, 2도는 자궁경부가 처녀막 위치까지 내려왔을 경우, 3도는 자궁경부가 처녀막 위치 밖으로 나왔을 경우, 4도는 전 자궁이 탈출된 경우를 의미한다.
2.1.3. 진단방법
자궁탈출증의 진단방법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과거 산과력을 사정하여 자궁탈출증의 위험요인을 확인한다. 자연분만 횟수가 많을수록 골반저근육의 손상이 반복되어 자궁탈출증 위험이 높아진다.
시진과 내진을 통해 자궁, 방광, 직장 등 탈출된 장기와 그 정도를 확인한다. 자궁경부가 질 안쪽에 있는 1도, 처녀막까지 내려온 2도, 처녀막 밖으로 나온 3도, 전 자궁이 탈출된 4도 등으로 분류된다.
복압을 가하여 자궁하수와 자궁 탈출증의 정도를 진단한다. 복압이 증가하면 자궁이 더 많이 밑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진단에 활용된다....